• 제목/요약/키워드: Parent-Children Relation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2초

예비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발달적 접근과 이야기 치료적 관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Pre-father Education Program - Based on Developmental Approach and Narrative Therapeutic Perspective -)

  • 최현숙;이기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177-19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which aims at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parenthood, establishing a desirable value of being a parent and preparing for being a good father positively affecting children, and determine effects of the program on unmarried men who are in the so-called stage of 'not belonged youth'. The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titled 'My father, 'I will be a father, too', 'Being a good father I', 'Being a good father II' and 'I will be a respectable father'. 7 unmarried men surveyed her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held at B church located in Busan from Oct. 3 to Nov. 7, 2004,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ests were carried out with the father acceptance-rejection scale and the scale of confidence in father's role'. For each of the sessions, a process evaluation was performed.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tests with the father acceptance-rejection scale showed some changed recognition that father's attitude of child raising would be more acceptable and unrejectable. This indicates that the program made some achievements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and reestablishing relations with fath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fidence in father's rol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specially, anxiety about father's role as a sub-area of such confidence was most considerably reduced. In conclusion, such objectives of the program as removing vague anxiety about father's role, establishing a desirable view of fatherhood and improving confidence about being a father proved to be achievable through getting skills of child understanding with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narrative therapy based.

일본 기혼여성들과 친정부모간의 세대관계: 동거여부 및 대화빈도를 중심으로 (Relations of Married Women and their Own Parents in Japan: Coresidence and Contact Frequency)

  • 김정석;조윤주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55-72
    • /
    • 2012
  • 일본의 성인자녀와 노부모간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기혼여성과 이들의 친정부모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세대간 동거여부와 대화빈도를 통해 이러한 세대관계를 접근하고 있다. 일본 기혼여성과 친정부모간 세대관계는 기혼여성들의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시부모 그리고 친정부모의 상황에 따라 차별적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일본 2003년도 제2회 전국가족조사>를 이용해 친정부모와 시부모 양가의 일원이 모두 생존해 있는 30~40대 기혼여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친정부모와 동거할 확률(시부모와의 동거를 통제한 상태)은 부인의 형제자매수가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특히 남자형제가 있는 경우 친정부모와의 동거확률은 두드러지게 낮았다. 이와 함께 친정부모 모두가 생존한 경우보다는 친정아버지만 생존한 경우에 해당 동거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친정부모와의 동거여부를 통제한 상태)는 시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 낮았으며, 형제자매수가 많을수록 낮았다. 한편, 해당 대화빈도는 친정부모 중 한 분만 생존한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편보다 부인의 학력이 높거나 친정부모에 대한 남편의 태도에 만족하는 경우에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형제자매수가 많으면 동거가능성도 낮아지지만 대화빈도도 낮아지는 결과는 형제자매간에 세대간 동거나 대화가 어느 정도 분담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홀로된 친정부모와의 동거가능성이 높고 대화빈도가 많은 점은 노부모에 대한 다양한 지원과 자녀로서의 마음쓰임을 보여준다. 친정부모와의 대화빈도가 시부모와의 동거여부 그리고 부부간 학력차이나 남편의 친정부모에 대한 태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은 기혼여성들이 시부모와 남편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들은 기혼여성들의 세대간 관계를 분석하는 작업에서 다양한 가족관계를 동시에 고찰하고 고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의 환경요인 특징 탐색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atalysts of the Disadvantaged Gifted in Music)

  • 김성혜;이경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629-65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된 환경요인이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에게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 19명을 대상으로 설문 형식의 자기평가와 자기소개서,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주로 면담 자료를 Gagn$\acute{e}$의 환경요인을 기반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의 주변 환경은 대체로 학생들의 음악활동과 학습에 좋은 자극을 주지 못했다. 그리고 부모가 음악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경제적 심리적 지원을 하지만 음악영재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조언 등을 제공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또한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들은 자신을 가르치는 교사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연구대상이 이수중인 지역교육프로그램과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은 음악영재교육의 특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음악영재에게 중요한 수상 경험이나 연주기회, 결정경험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 부모교육의 필요성, 음악영재 교사교육 강화, 음악영재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학습동기와 성취동기 고취를 위한 다양한 기회 제공 등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의 가족건강성, 의사소통능력과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Family Forest Education Program on Family Strengths, Communication, and Parenting Efficacy)

  • 최선혜;하시연;이윤주;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33-340
    • /
    • 2020
  • 본 연구는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가족의 건강성과 의사소통 능력,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횡성숲체원에서 1박 2일로 진행된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총 175명(부모 103명, 자녀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참여자들의 일반적인 사항, 참여 동기 및 만족도, 가족건강성, 의사소통, 부모효능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조사 및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자녀의 가족건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건강성과 관련이 높은 요인인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효능감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진행 목적에 맞게 가족의 건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이 가족의 건강성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통해 추후 가족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근거로 활용하고, 산림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고하여 산림교육의 혜택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

일부 초등학생에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 관련요인 (The Related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Seve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경미;김건엽;이무식;홍지영;배석환;황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59-764
    • /
    • 2011
  • 본 연구는 아토피의 증상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로는 아토피 피부염의 있는 학생의 어머니 27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06년 11월 한 달 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아토피 피부염의 중증도가 높았다(p<0.05). 유병기간이 길수록(p<0.01), 전신에 아토피 증상을 보일수록 중증도가 심했고(p<0.01), 식생활 습관에 있어서는 육식을 많이 할수록 피부염의 증상이 심했으며(p<0.05), 패스트푸드를 자주 섭취할수록 증상이 심해졌다(p<0.05).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정도를 종속변수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병기간이 길수록, 패스트푸드 섭취가 잦을수록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심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심할수록 치료를 위한 어머니의 노력정도나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해 자녀가 긁기 증상을 보일 때의 애정도, 월평균 관리비용, 부모정서 및 학생의 신체건강 정서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육식 위주의 식생활 습관의 교정과 패스트푸드 섭취 제한 등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아토피 피부염은 가족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여 어머니를 포함한 가족 모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신지체아동의 초경에 대한 어머니의 경험 연구 (Experience of Mothers of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Having Menarche)

  • 이명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6
    • /
    • 1998
  • Various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arise from having a mentally handicapped child in a family and these place many demands on mothers.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on these demands nor on what mothers go through with their mentally handicapped daughters' menarche and puber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others of mentally handicapped daughters, as it relates to their daughters' menarche and the beginning of puberty. With indepth interviews, both in person and by telephone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attempt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se mother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October 1995 to April 1996.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included nine mothers of mentally handicapped daughters whose ages ranged from 12 to 18 and who attended one of three special schools located in either Inchon or Seoul. The d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 meaningful statem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subjects raised by the mothers. Content Analysis was also applied to identify similar content and confirm common experiences. and to highlight concepts and categorized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ve categories were identified : mothers' emotional responses to their mentally handicapped daughters' menarche and menstration were of severe despair accompanied by anxiety, guilt, fear, anguish, shame and pity because the mothers were afraid their daughters would not be able to use appropriate hygienic measures during menstration and the mothers felt heavily burdened in having to look them. The mothers also had negative feelings about their daughters' physical development. The experience of mothers related to their daughters' possibilities for marriage and pregnancy were of powerlessness, distress, withdrawal, fear. pity and desperation and they were afraid that their daughters might be violated sexually. The mothers rejected the possibility of marriage and pregnancy for their daughters and instead planned very restricting futures for them. The mothers used various coping methods to bring meaning to their lives. Because the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of the mothers. nurses need to work to empower mothers to overcome these negative responses. Sex education can also play an important role especially for the daughters especially through the use of visual aids. Further, nurses should understand the tearing difficulties of mentally handicapped daughters, what mothers need and also what they experience with their mentally handicapped daughters. In conclusion, nurses should understand the negative experiences of the mothers in relation to their mentally handicapped daughters' menarche, help the mothers cope with the negative. emotions through real life education and counselling.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nursing interventions and an administrative system which will minimize the prejudices of society towards handicapped peo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