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atalysts of the Disadvantaged Gifted in Music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의 환경요인 특징 탐색

  • Kim, Sunghye (Kore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Gifted in Arts) ;
  • Lee, Kyungjin (Kore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Gifted in Arts)
  • Received : 2014.05.30
  • Accepted : 2014.08.24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atalysts which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music giftedness of the disadvantag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als with nineteen disadvantaged gifted in music and examines their self-evaluation test, personal statement, and interview. Based on Gagn$\acute{e}$'s environmental catalysts of differentiated model of giftedness and talent(DMGT),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conveys the milieu of the disadvantaged gifted hardly exerts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musical activities and studies. While concerning music and supporting their children financially and emotionally, parents unintentionally tend to exert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children for their misapprehension of giftedness and incompetent advice. On the whole, the disadvantaged gifted hardly admit their teachers as experts in music. In relation to provisions, most students participate in extra school and local program and none of them participates in music gifted program.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quality in educ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events such as crystallizing experience, award-winning, and performance, most students don't have enough events for inspiring their giftedness. As a conclusion, this study gives a proposition for a strategy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catalysts for the disadvantaged gifted in many different ways: the improvement of social recognition, the enhancement of parent consulting and teachers training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s of more qualified gifted programs and so 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된 환경요인이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에게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 19명을 대상으로 설문 형식의 자기평가와 자기소개서,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주로 면담 자료를 Gagn$\acute{e}$의 환경요인을 기반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의 주변 환경은 대체로 학생들의 음악활동과 학습에 좋은 자극을 주지 못했다. 그리고 부모가 음악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경제적 심리적 지원을 하지만 음악영재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조언 등을 제공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또한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들은 자신을 가르치는 교사가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연구대상이 이수중인 지역교육프로그램과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은 음악영재교육의 특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음악영재에게 중요한 수상 경험이나 연주기회, 결정경험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 부모교육의 필요성, 음악영재 교사교육 강화, 음악영재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학습동기와 성취동기 고취를 위한 다양한 기회 제공 등을 위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일 (2009). 또 하나의 영재: 장애를 넘어 드러난 예술영재. 서울: 학지사.
  2. 김미숙, 서지연, 김영아, 이희현, 전정민, 한은주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프로젝트 S & S: 선발도구와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김성혜 (2012).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4. 김성혜 (2013).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 선발모형 고찰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5.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I .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6. 송수지 (2007). 미성취영재를 위한 인지 . 정서적 교육개입 프로그램 개발. 정서행동장애연구, 23(3), 301-326.
  7. 원영실 (2012). 공연예술 영재성 의미에 대한 심리학적 조명.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62-75.
  8. 원영실, 신명희 (2011). 음악(국악)영재성 선별을 위한 부모 및 교사 관찰정보지의 타당화.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9. 이경진 (2011). 예술영재학교 설립 및 학교교육과정 개발모형: 숙의 과정과 반성적 고찰.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0. 이미경, 강병직, 조주현, 홍소영 (2006). 예술영재교육대상자 선발모형 개발연구( I ). 서울: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1. 이선영 (2010).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판별도구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2. 이재분, 유경재, 여승수 (2011). 소외계층 영재학생 사례 발굴 및 지원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이현주, 이화선, 이미나 (2010). 예술영재교육기관 교육평가체계 개발: 예술영재교육 포트폴리오 구성 및 내용 분석.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4. 정진원 (2011).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40(1), 1-31.
  15. 한수연 (2012). 잠재 예술영재 발굴 및 교육. 예술영재교육 교원연수자료집.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43-48.
  16.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7. Davidson, J. W., Howe, M. J. A., Moore, D. G., & Sloboda, J. A. (1996). The role of parental influences in the development of musical performanc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4, 399-412.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6.tb00714.x
  18. Freeman, C. (1999). The crystallizing experience: A study in musical precocity. Gifted Child Quarterly, 43(2), 75-85. https://doi.org/10.1177/001698629904300204
  19. Freeman, J. (1976). Developmental influences on children's perception. Educational Research, 19, 69-75. https://doi.org/10.1080/0013188760190108
  20. Gagne, F. (1999). Defining polyvalence operationally: The breadth versus depth dilemma. In N. Colangelo & S. G. Assouline (Eds.), Talent development III: Proceedings from the 1997 Henry B. and Jocelyn Wallace national research symposium on talent development (pp. 425-429). Scottsdale, AZ: Gifted Psychology Press,
  21. Gagne, F. (2003).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 theory. In Colangelo, N. & Davis, G. A.(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ition. Boston: Allyn: Bascon, 60-74.
  22. Haroutounian, J. (2002). Kindling the spark: recognizing and developing musical tal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 Lincoln, Y. S. &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24. McPherson, G. E. (2003). Giftedness and talent. In G. E. McPherson (Ed.), The Child as Musician (pp. 239-256). Oxo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5. Miles.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6. Renzulli, J.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7. Renzulli, J. (1999). What is this thing called giftedness, and how do we develop it? a twenty-five year perspectiv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3(1), 3-54.
  28.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New York: Macmillan.
  29. Walters, J. & Gardner, H. (1986). The crystallizing experience: Discovering an intellectual gift.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 306-33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