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llel tunnel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평행근접터널의 상호거동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Interactions Between Parallel Tunnels)

  • Kim, Sang-Hwa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81-187
    • /
    • 2003
  • 이 연구는 기존터널과 근접하여 새로운 터널을 시공할 경우 이에 따른 터널의 상호거동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는 연약지반내에서의 근접터널 시공에 따른 기존터널 라이닝의 변위 및 응력 영향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터널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시험실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터널의 상호 거동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한 시뮬레이숀 기법 개발을 위하여 유한요소기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Arch 터널과 병렬 터널 접속부에서의 텐션볼트를 사용한 필라 보강 방법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Reinforcement Method of a Pillar Using Tension Bolts at the Connecting Part between 2-Arch Tunnels and Parallel Tunnels)

  • 박연준;최재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5호
    • /
    • pp.470-486
    • /
    • 2015
  • 2-아치 터널은 터널의 간격이 매우 좁아서 병렬 터널에 비해 점유 면적이 작으나 경제적이지 못하다. 병렬 터널은 경제적이긴 하지만 2-아치 터널보다 점유 면적이 커서 용지의 매입이 어려운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새로운 설계는 이 두 터널을 터널의 간격이 점차 증가하는 제3의 병렬터널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접속터널의 필라는 폭이 매우 좁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새로운 설계를 불량한 암반에 적용하려면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4등급 및 5등급 암반에 대해 2차원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2가지 방법으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 결과, 중앙 필라가 텐션 볼트로 적절히 보강된다면 터널 심도가 직경의 5배 이하인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하였다.

대단면 근접병설터널에서의 필러부 거동특성 검토 (Review of Mechanical Behaviors of Pillar in Large Parallel Tunnel)

  • 신영완;김영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3호
    • /
    • pp.131-144
    • /
    • 2010
  • 근접병설터널은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한 병설터널의 거동특성과는 구별되는 거동특성을 보이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안정성 평가방법을 대단면 근접병설터널 설계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대단면 근접병설의 경우 필러부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본 터널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검토에서는 대단면 근접병설터널 시공경험을 바탕으로 이격거리, 지반조건 및 굴착순서에 따른 필러부의 역학적 거동특성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여 대단면 근접병설터널 계획시 합리적인 터널설계 시공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병렬 쉴드터널의 이격거리와 적용사례 (Distance between the Parallel Shield tunnel and Application)

  • 곽철홍;김재영;김동현;이두화;이승복;김응태;심재범
    • 한국터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터널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5-232
    • /
    • 2005
  • The construction of parallel tunnel by using the shield TBM method was increased recently. Accordingly the application and the propriety of the parallel shield TBM tunnels were studi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cases herein. Also the behavior of tunnel structure and ground was evaluated by a numerical analysis with various ground conditio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rallel tunnel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a deep investigation as well as a ground reinforcement was required with a ratio(L/D)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arallel tunnels(L) to tunnel outer diameter(D) less than 0.5 because the Interference phenomenon was expected to occur.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application method of parallel shield TBM tunnel was validated through the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simulated the process of excavation after the ground reinforcement in the starting area of the OOO construction site with the ratio(L/D) of 0.35.

  • PDF

Parallel tunnel settlement characteristics: a theoretical calculation approach and adaptation analysis

  • Liu, Xinrong;Suliman, Lojain;Zhou, Xiaohan;Abd Elmageed, Ahmed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8권3호
    • /
    • pp.225-237
    • /
    • 2022
  • Settlement evaluation is important for shallow tunnels in big cities to estimate the settlement that occurs due to the excavation of twin tunnels. The majority of earlier research on analytical solutions, on the other hand, concentrated on calculating the settlement for a single tunnel. This research introduces a procedure to evaluate the settlement induced by the excavation of twin tunnels (two parallel tunnels). In this study, a series of nume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validate the analytical solution results. Two geological conditions were considered to derive the settlement depending on each case. The analytical and numerical methods were compared, which involved considering many sections and conducting a parametric study; the results have good agreement. Moreover, a comparison of the 3D flat model and 2D (FEM)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shows that in the fill soil, the maximum settlement values were obtained by the analytical solution. In contrast, the values obtained by the analytical solution in the rock is more conservative than those in the fill. Finally, this method was shown to be appropriate for twin tunnels dug side by side by utilizing finite element analysis 3D and 2D (PLAXIS 3D and PLAXIS 2D) to verify the analytical equations. Eventually, it will be possible to use this approach to predict settlement troughs over twin tunnels.

도로터널에서 적정한 필라폭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Determination of Proper Pillar Width in Road Tunnel Design Stage)

  • 양태선;김제경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87-194
    • /
    • 2010
  • 산악터널과 달리 도심지 지하도로는 대부분 평야지대에 위치하고 충적층이 두껍게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터널 입 출구부는 병렬터널로 분기되는 지점인 동시에 하향굴착을 하는 관계로 터널 시 종점의 위치선정에 따라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된다. 또한 병렬터널의 필라폭(PW)은 지하 보상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병렬터널의 안정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최소의 필라폭(PW)으로 터널을 계획하여야 한다. 국내 도로터널의 필라폭(PW)은 일반적으로 1.5D(D: 터널 최대폭)를 기준으로 하며 일부 터널의 경우 입 출구부 극히 한정된 구간에서만 1.5D(D : 터널 최대폭)이내의 필라폭을 적용한 사례가 있으나 보상비 문제가 아닌 선형계획측면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한 사례들이다. 본 논문은 NATM형식으로서 국내최초 도심지 지하도로 설계사례를 통해 선형 계획단계에서부터 지하 보상비 및 지반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 필라폭을 설계한 사례를 소개하고 도심지 병렬터널의 적정 필라폭 결정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적정 필라폭 결정은 설계 및 시공사례 분석과 수치해석을 통한 강도 감소법과 강도/응력비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터널간 초근접으로 인해 필라의 안정성이 불량한 터널 입 출구부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방법을 제시하고 수치해석을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수치해석에 의한 저토피 다층지반에서 근접 병설터널 필라의 안정성 분석 (The Stability Analysis of Near Parallel Tunnels Pillar at Multi-layered Soil with Shallow Depth by Numerical Analysis)

  • 임형민;손광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3-62
    • /
    • 2014
  • 기존 국내 병설터널의 이격거리는 지반조건에 따라 터널직경(D)의 2~5D 정도를 확보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대규모 절취에 따른 환경훼손 및 용지매입의 제약, 선형의 연속성 유지 등의 문제를 수반하게 되면서 터널 중심간격이 1D 이하인 근접 병설터널의 현장 적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터널 필라폭이 감소할 경우 필라(Pillar)의 안전성이 터널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주로 필라의 거동특성이나 설계 영향 인자들에 대한 분석에 국한되었으며, 실무에 적용 가능하고 정량적인 데이터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시공조건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안정성 평가기법 및 설계 지표를 제시하기 위해 현장조건으로 터널 간 근접도가 가장 높은 갱구부 구간의 지형 및 지층특성을 반영하고, 암반 및 완전풍화 상태의 다층지반조건 상태를 모사하였으며, 지반 강도별 필라폭 변화에 따른 수치 해석적 분석을 통해 필라의 안전성이 터널 전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지표침하비 및 간섭체적비, 평균강도/응력비 등에 대한 종합적 분석 결과와 Hoek & Brown(1980) 파괴기준을 토대로 실무에 적용이 가능한 근접 병설터널 필라의 안전율 평가식과 지반 강도별 최소 필라폭을 제시하였다.

Numerical modeling of two parallel tunnels interaction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s Method

  • Nawel, Bousbia;Salah, Messast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9권6호
    • /
    • pp.775-791
    • /
    • 2015
  • Due to the extension of communication ways (metro, highways, railways), hence, to improve traffic flow imposes often the difficult crossing that generally drive to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works (tunnel, water conveyance tunnel...) plays a major role in the redevelopment of urban area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ssessment of the interaction response of parallel tunnels, so this study uses the results from the simulation of two tunnels to illustrate a few observations that may aid in practical designs. In this article, simultaneous drilling of highway's twin tunnels is simulated by means of Finite Element Method (FEM) implemented in Plaxis program. So the treated subject appears in a setting of geotechnical where one can be to construct several tunnels sometimes in a ground of weak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numerically the interaction effects caused by construction of two parallels tunnels. Thi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tudy of the total answer of the problem interaction between parallels underground works. The importance of the effects transmitted is function of several parameters as the type of the works, an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tunnel size, depth, and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wo tunnels, lining thickness...). This article describes numerical analyses of two parallels tunnels interaction.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a real case of a section tunnel T4 of the highway East-West (Algeria); the study presented below comprises a series of numerical simulations of two tunnels using the computer program Plaxis which is used in the analyses is based on Finite Element Method.

기존 병설터널의 확폭에 따른 터널 거동 및 필라 안정성 분석 (Behavior and pillar stability of enlarged existing parallel tunnels)

  • 이명한;김범주;장연수;윤지남;박현곤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537-546
    • /
    • 2013
  • 최근 교통량의 증가와 차량의 대형화로 인해 기존 터널에서 상습적인 정체가 발생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일환으로 기존 터널을 확폭하는 경우는 신설 터널을 건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용지매입 비용의 절감과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일본과 유럽 등 해외에서는 기존 터널을 확폭 시공하는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서 국내에서도 향후 기존터널의 확폭 시공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까지는 기존 터널의 확폭에 관한 실적과 경험이 많지 않아 이에 관한 기반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과 기존의 이론, 경험식 등을 이용하여 기존 병설터널을 확폭하는 경우 확폭방식과 그에 따른 필라폭 변화가 터널의 거동과 필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조사 결과, 필라폭은 동일하나 편측과 양측으로 확대하는 경우의 차이에 따라 편측 확대 터널의 천단침하는 양측 확대 터널에 비해 약 5~20%의 큰 값을 보이는 한편, 최소 필라폭을 갖게되는 편측 확대 터널에서 숏크리트 응력이 최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도/응력비의 경우 조사된 네 종류의 확폭 패턴에 대하여 모두 1.0 이상을 나타내었고 Matsuda의 방법이 Peck의 방법에 비해 약 50% 정도 강도/응력비를 크게 산정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삼병렬 터널의 안정성 검토를 위한 모형실험 연구 (A Study for the Stability Investigation of Three Parallel Tunnels Using Scaled Model Tests)

  • 김종우;배우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4호
    • /
    • pp.300-311
    • /
    • 2008
  • 삼병렬 터널은 3개의 터널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형태의 터널이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간 이격거리, 터널단면 형상, 지보조건, 지반조건 등이 서로 다른 7가지 삼병렬 터널 모형들에 대한 축소모형실험을 통하여 모형별 균열개시압력과 터널 주변지반의 변형거동을 조사하였다. 터널간 이격거리가 작은 모형일수록 낮은 압력 수준에서 필러의 파괴가 일어나고 터널의 내공변형량도 증가하여 터널의 안정성은 감소하였다. 터널단면의 형상이 아치형, 편평아치형, 사각형인 모형들 중에서 사각형 단면을 가진 터널의 안정성이 가장 작았으며, 천반곡률반경이 작은 아치형 터널이 편평아치형 터널보다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터널의 천장부에 모형 록볼트를 설치한 모형은 무지보 터널 모형에 비하여 균열개시압력이 클 뿐만 아니라 천단침하량도 적게 나타나 지보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방성 암반내 터널 모형은 등방성 모형과 매우 다른 변형거동을 나타내었으며, FLAC을 사용한 수치해석 결과는 모형실험의 결과와 정성적으로 부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