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bolic antenna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7초

파라볼라 안테나 부엽 왜곡 억제를 위한 부속 장치 위치 지정 방법 (Method to specify Subsidiary Device Positioning for Sidelobe Distortion Suppression of Parabolic Antenna)

  • 김승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53
    • /
    • 2018
  • 파라볼라 오프셋 안테나는 여러 통신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된다. 파라볼라 오프셋 안테나의 기본적인 구조는 급전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및 RF 장치들이 파라볼라 안테나 하단에 위치한다. 하지만 지지대 및 RF 장치들로 인하여 안테나 이득 패턴 상에서 부엽이 증가하게 된다. 지지대 및 RF 장치와 같은 부속 장치의 위치에 따라서 부엽 왜곡이 일어나는 각도가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광선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이득 패턴 부엽 왜곡 증가하지 않는 회피 구역을 지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광선 추적 기법을 이용해 회피구역에 대한 벡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벡터를 이용하여 3D로 이루어진 구역을 지정한다. 또한 회피 구역 내에 부속 장치가 존재할 때와 아니할 때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부엽에 대한 목표 각도를 설정한 뒤 목표 각도 이내의 부엽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산란체에 의한 오프셋 파라볼라 안테나 부엽 왜곡 분석 (Sidelobe Distortion Analysis of Offset Parabolic Antenna by Scatterer)

  • 김승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48
    • /
    • 2018
  • 파라볼라 오프셋 안테나는 위성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한편, 파라볼라 안테나를 급전하기 위해 혼 안테나를 파라볼라 안테나로부터 이격된 일정 위치에 고정하여야 한다. 하지만 혼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의해 파라볼라 안테나의 방사 패턴에서 부엽 이득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파라볼라 안테나 설계 시 안테나 방사 패턴에서의 부엽 수준을 예측할 수 있어야한다. 기존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면 장시간이 소요되거나 고가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를 간단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광선 추적기법을 이용하여 파라볼라 오프셋 안테나 지오메트리 상에서 계산하여 고각 부엽 각도를 예측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선추적기법을 이용하여 부엽 각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부엽 각도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예측 방법의 정합성을 보이며 임의의 산란체의 위치 및 각도에 따라 오프셋 파라볼라 안테나의 고각 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한다.

항공용 회전 방향탐지 소형 옵셋 파라볼릭 반사판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Spinning Direction-Finding Compact Offset-Parabolic-Reflector Antenna for Airborne Applications)

  • 박영주;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766-77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탑재 회전 방향탐지용 소형 옵셋 파라볼릭 반사판 안테나를 제안한다. 반사판 안테나의 급전부로는 초광대역 특성을 보유하며, $45^{\circ}$ slant 선형 편파를 갖는 LPDA 안테나를 적용하였다. 반사판은 고이득과 항공기 동체 배면 탑재를 위해 파라볼릭 형상을 기준으로 크기를 소형화시켰으며, 고각 기준으로 $5^{\circ}$ 기울어지게 설계되었다. S 대역에서 Ka 대역까지 20:1의 초광대역 구간에서 제안된 안테나의 평균 이득은 27.97 dBi, 평균 반전력 빔폭은 방위각 $4.55^{\circ}$, 고각 $4.3^{\circ}$로 측정되어 펜슬 빔(pencil beam)의 방사패턴을 가지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설계된 안테나는 제한된 영역 내에 장착되는 소형의 옵셋 파라볼릭 반사판 안테나로서 원하는 초광대역과 고이득 특성을 확보하여 항공기에 탑재되는 회전 방향탐지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타원 반사면 구조를 이용한 Low Profile Ku밴드 파라볼라 안테나의 설계 (A Design of Low Profile Ku Band Parabolic Antenna using Elliptical Reflector Shape)

  • 류다운;이경순;박대길;구경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66-471
    • /
    • 2017
  • SOTM(satellite communication on the move)는 이동 중 위성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량이나 무인항공기 외부에 장착하는 물체의 크기 및 중량 제한으로 SOTM 용 안테나의 소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스트립, 도파관, 어레이 안테나 등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안테나들은 구조적으로 편파 조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본 논문에서는 파라볼라 안테나 형태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안테나의 소형화를 위하여 일반적인 원형 형태의 파라볼라 안테나의 반사면을 상하로 잘라 크기 및 높이를 감소시켰다. 그로 인하여 입사된 전자파를 받아들일 수 있는 반사면의 면적이 줄어들어 이득의 저하 및 Spill-over로 인한 G/T지수의 감소로 수신안테나의 성능이 저하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부 반사면의 형태를 변형하여 안테나의 면적대비 효율 및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설계하였다.

무궁화 위성방송 수신용 마이크로스트립 어레이 안테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Microstrip Array Antenna for Koreasat Reception)

  • 전주성;이윤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44-552
    • /
    • 2000
  • 본 논문은 현재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로 사용중인 파라볼릭 안테나를 대체할 수 있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 나를 연구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로 무궁화 위성수신 실험에서 C/N비 19dB를 확인함에 따라 국내에서 월평균 9 99.9 %시간 동안에는 장우감죄에 관계없이 좋은 화질의 위성방송 수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결과를 통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이 파라볼릭 안테나와 유사한 수준까지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작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위성방송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파라볼릭 안테나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파라볼릭 안테나의 위치제어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Position Control System for Parabolic Antenna using Gyro Sensor)

  • 김명균;김진수;양오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5-91
    • /
    • 2013
  • In this paper, the parabolic antenna aims to the precise location of a moving ship or car that can be designed system using the gyro sensor. The parabolic antenna has controlled by stepping motor that is a lot of noise and slow response of speed. It has solved the problem which is noise and slow response using the BLDC motor. Also, in order to suppress the noise two-axis control and a separate encoder to the six degrees of freedom mo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a precise location. Generally, the gyro sensor is not required to system that doesn't move the six degrees of freedom motion system. But the system will be applied to the moving such as ships or cars. Finally, we presented the position control algorithm at the sometimes controlled both gyro sensor and BLDC motor. This system was tracking that the location of the antenna to the desired angle and errors almost didn't happen when the system was moved 6 degrees of freedom.

國內 放送 衛星을 위한 오프셋 파라볼라 안테나의 設計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Design of an Offset Parabolic Antenna for the Domestic Broadcasting Satellite)

  • 최학근;박성룡;박정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66-75
    • /
    • 1989
  • 오프셋 파라볼라 안테나의 輻射特性을 빠른 시간에 判定할 수 있는 近似式을 제시하고 數値計算 結果와 比較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本 論文에서 導出된 近似式을 사용하여 國內 地形 特性에 적합한 放逆衛星 搭載用 오프셋 파라볼라 안테나를 設計 製作하고 實驗했다. 實驗 結果는 비교적 設計 目標値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형 모서리 구조를 갖는 옵\ulcornerV 파라볼릭 안테나의 산란 특성 해석 (The Analysis of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a Prime-focus Offset Parabolic Antenna with a Shaped Edge Structure)

  • 박대성;김형규;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12-418
    • /
    • 1999
  • 기하학적 균일 회절 이론 (Uniform Geometrical Theory of Diffraction)을 이용하여 옵\ulcorner 파라볼릭 안테나의 산란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파추적법(Ray Tracing)에 의하여 음영경계를 나눈후, 각 영역에 존재하는 반사파와 회절파를 기하학적 균일 회절 이론을 이용해 구하였다. 또한, 옵\ulcorner 파라볼릭 안테나의 모서리(edge)의 형태가 전자파의 산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knife 모서리인 경우와 원형 캡을 부착한 경우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 PDF

측엽억제장치부포물형 공중선의 복사패턴 비교 (A Comparison for Radiation Pattern of Parabolic Antennas with Sidelobe Suppressor)

  • 이대영;손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9-44
    • /
    • 1984
  • 周邊端裝苛 拗物形 空中線과 水兵形 테두리附着 拗物形 空中線 및 후드附着形 拗物形 空中線等 세가지 形態의 拗物形 空中線을 同一條件下에서 製作하여 側葉 및 後葉特性을 比較하였다. 側葉 및 後葉의 抑制效果가 가장 優秀한 것은 후드 內部에 炭素粉末 混入 포리우레탄 스폰지를 內한 것을 附着한 것으로 E面上에서 側葉에 5내지 10dB, 그리고 後葉 15dB 效果를 얻었다.

  • PDF

초광대역(UWB) 통신을 위한 포물선 엣지 형태의 평면 모노폴 안테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rabolic Edge Planar Monopole Antenna for UWB Communication)

  • 장대순;허정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12-620
    • /
    • 2008
  • 본 논문은 UWB 통신을 위한 포물선 엣지(egde) 형태의 평면 모노폴 안테나에 대한 것이다. 평면 모노폴과 그라운드의 엣지를 포물선 구조로 하여 구조적으로 광대역 속성을 갖도록 하였다. 모노폴과 그라운드 엣지의 곡률을 변화시키면서 자기 상보(self-complementary) 구조에 가깝도록 설계하였다. 안테나는 모노폴과 그라운드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며, 동축 케이블 급전을 하였다. 유전 상수가 4.4인 FR4 유전체 기판을 사용하였고, 그 크기는 $26{\times}31{\times}1.6mm$이다. $3.1{\sim}10.6GHz$에서 10 dB 이상의 반사 손실을 얻을 수 있었다. 복사 패턴은 모든 주파수에서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패턴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측정한 결과에서 E-plane의 경우 최대 이득은 $1.37{\sim}6.02dBi$의 값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