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4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7초

반밀폐형 온실 내에서 탄산가스 시비에 따른 광강도와 엽온에 반응한 토마토 잎의 최대 카복실화율, 전자전달율 및 광합성율 실측값과 모델링 방정식에 의한 예측값의 비교 (Comparison of Measured and Calculated Carboxylation Rate, Electron Transfer Rate and Photosynthesis Rate Response to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Leaf Temperature in Semi-closed Greenhouse with Carbon Dioxide Fertilization for Tomato Cultivation)

  • 최은영;정영애;안승현;장동철;김대현;이동수;권진경;우영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1-409
    • /
    • 2021
  • 본 연구는 반밀폐형 토마토 재배 온실에서 광합성율 극대화를 위한 적정 탄산가스 시비 농도를 구명하고자 광합성 모델을 이용하여 잎의 최대 카복실화율(Vcmax), 최대 전자전달속도(Jmax), 열파괴, 잎 호흡 등을 계산하고 실제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다양한 광도(PAR 200µmol·m-2·s-1 to 1500µmol·m-2·s-1)와 온도(20℃ to 35℃) 조건에서 CO2 농도에 대한 A-Ci curve는 광합성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모델링 방정식으로 아레니우스 함수값(Arrhenius function), 순광합성율(net CO2 assimilation, An), 열파괴(thermal breakdown), Rd(주간의 잎호흡)를 계산하였다. 엽온이 30℃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Jmax, An 및 thermal breakdown 예측치가 모두 감소하였고, 예측 Jmax의 가장 최고점은 엽온 30℃였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생장점 아래 5번째 잎의 광합성율은 PAR 200-400µmol·m-2·s-1 수준에서는 CO2 600ppm, PAR 600-800µmol·m-2·s-1 수준에서는 CO2 800ppm, PAR 1000µmol·m-2·s-1 수준에서는 CO2 1000ppm, PAR 1200-1500µmol·m-2·s-1 수준에서는 CO2 1500ppm을 공급했을 때 포화점에 도달하였다. 앞으로 광합성 모델식을 활용하여 과채류 온실 재배 시 광합성을 높일 수 있는 탄산시비 농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증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과 정상인 자궁내막에서 uPA, uPAR mRNA 발현의 차이에 관한 연구 (mRNA Expression Differences of uPA, uPAR in Eutopic Endometrium of Advanced Stage Endometriosis Patients)

  • 허성은;이지영;이운정;문혜성;정혜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4호
    • /
    • pp.229-236
    • /
    • 2006
  • 목 적: 자궁내막증에서 그 병태생리를 연구함에 있어서 fibrinolytic system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증이 아닌 대조군의 자궁내막에서 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u-PA)와 urokinase typ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u-PAR)의 mRNA의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한국인 여성 중 수술을 통해 자궁내막증을 진단 받은 33명의 환자와 난소 낭종 등의 양성 질환으로 개복술이나 골반경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자궁내막증이 없음을 확인한 여성 32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각각의 대상으로부터 얻은 자궁내막 조직에서 RNA를 추출하여 RT-QC PCR을 시행하여 얻고자 하는 대상의 mPNA 양을 정량화하여 두 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생리주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 과: u-PA와 u-PAR의 mPNA는 자궁내막증 환자 및 대조군에서 모두 발현하였으며, 자궁내막증 환자에서의 u-PA mPNA는 증식기 자궁내막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됨을 관찰하였다. u-PAR mPNA는 두 군 사이에서 생리주기 전반에 걸쳐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자궁내막증의 병태생리와 관련하여 u-PA와 u-PAR의 mPNA 발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u-PA mPNA가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었고 이것은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의 성격이 좀 더 침습적이고, 이로써 복막에의 침습에도 더 유리한 역할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자궁내막증에 대한 기본적인 병태생리로 볼 때, 자궁내막 자체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보며, 이를 단백질 분해능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때, u-PA 발현의 dysregulation이 자궁내막의 침습에 중요한 병태생리라고 생각된다.

라자레 동굴(니스, 프랑스) 유적에 나타난 전기 구석기시대 깨진 자갈등의 유물의 분석과 형식 분류 (L'analyse de la Fracure et la Typologie des Galets Casses Decouverts de la Grotte do Lazaret a Nice (France))

  • 한창균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
    • /
    • 1988
  • 라자레 동굴(니스, 프랑스)에서 발굴된 전기 구석기시대의 살림터에서는 깨어진 자갈 돌 유물을 비롯하여, 이를 이용하여 만든 석기도 나왔다. 깨어진 면의 생김새와 닳음새는 그러한 유물이 동굴 안에서 깨어졌음을 알려주고 있으며, 유적지 근처의 바닷가나 강가에서 이미 깨어진 상태로 있던 것이 당시 사람들에 의하여 굴 안쪽으로 옮겨진 다음 퇴적된 것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동굴 안에서 자갈들이 깨어지는 요인에는 압력, 충격, 열작용 따위의 자연현상과 석기의 제작 또는 그밖의 다른 목적을 이루려는 사람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라자레 유적의 살림터에서 동물화석 및 석기와 더불어 나온 깨어진 자갈 돌 유물은 그 모두가 석기의 제작과 관련되어 만들어진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오직 실험 가운데 1, 3, 5의 과정에서 나타난 깨진 자갈들 유물만이 사람의 의도적인 행위와 연관을 맺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OB Line형 LED를 사용한 PAR 조명의 제작 (Manufacturing of PAR Illumination Using COB Line Type LEDs)

  • 윤갑석;유경선;이창수;현동훈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8-454
    • /
    • 2015
  • In this paper, the band structural design that is typically in a line was arranged in a ring shape, so as to configure the high power LED lighting in such a way as to form a concentrated light distribution angle of less than 15 degrees. The parabolic aluminized reflector PAR38 that facilitates design using area and the area of the optical system to the same extent, applied a multiple light-source condenser lens optical system for the control of integration. The LED used here implemented a single linear light source using ans LED module with ans LED, flip-chip chip-scale package. The optical system was designed based on the energy star standard.

Trace Mercury Determination by Differential Pulse Anodic Stripping Voltammetry Using Polythiophene-Quinoline/Glassy Carbon Modified Electrode

  • Yoo, Kwang-Sik;Woo, Sang-Beom;Jyoung, Jy-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1호
    • /
    • pp.27-31
    • /
    • 2003
  • A Polythiophene-quinoline/glassy carbon (PTQ/GC) modified electrode wa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mercury in industrial waste water, natural water, soil, and other media. The electrode was prepared by the cyclic voltammetric polymerization of thiophene and quinoline on glassy carbon (GC) electrode by the potential application from -0.6 V to +2.0 V (50 mV/sec) in a solution of 0.1 M thiophene, quinoline and tetrabutyl ammonium perchlorate (TBAP) in acetonitrile. Optimum thickness of the polymer membrane on the GC electrode was obtained with 20 repeated potential cyclings. The redox behavior of Cu(Ⅱ) and Hg(Ⅱ) were almost identical on this electrode. The addition of 4-(2-pyridylazo)resorcinol (PAR) to the solution containing Cu(Ⅱ) and Hg(Ⅱ) allowed the separation of the components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u(Ⅱ)-PAR complex reduced at -0.8V,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Hg(Ⅱ) reduced at -0.5 V on a saturated calomel electrode (SCE). The calibration graph of Hg(Ⅱ) shows good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correlation factor of 0.9995 and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0.33 ㎂/㎠/ppb down to 0.4 ppb Hg. The method develope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mercury in samples such as river, waste water, and sea water.

PARWIG선의 공력특성에 관한 풍동실험 (Wind Tunnel Test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PARWIG Craft)

  • 전호환;장종희;백광준;신명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57-68
    • /
    • 2000
  • 이착륙 속력을 줄이기 위해 날개 밑으로 프로펠러 후류를 불어넣어 날개와 수면사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PAR(Power Augmented Ram) 효과는 해면효과익선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풍동실험을 통해 이러한 PARWIG(Wing in Ground)선의 공력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송풍기(blower)와 덕트(duct)를 사용한 제트분사를 프로펠러 후류로 대신하였다. 제트의 분사속도, 분사위치(수평 및 수직 방향), 분사각 및 덕트 직경 변화에 대해 20인승 PARWIG선의 1/25 축소 모형선의 지면과의 고도, 앙각 및 플랩각의 변화에 따른 양력, 항력 및 피치모멘트를 계측하여 공력특성을 비교하였다. 적절한 PAR효과의 사용은 양력을 크게 증가시키며 최대 4의 양력계수까지 얻을 수 있었다.

  • PDF

DBD 반응기에서 솔-젤 법으로 제조된 Pt/TiO2 촉매를 이용한 메탄의 플라즈마 전환반응 (Plasma Catalytic Methane Conversion over Sol-gel Derived Pt/TiO2 Catalyst in a Dielectric-barrier Discharge Reactor)

  • 김승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5호
    • /
    • pp.455-459
    • /
    • 2007
  • 배리어(dielectric-barrier discharge: DBD) 반응기에서 솔-젤 방법으로 제조한 $Pt/TiO_2$를 넣고 플라즈마 에너지를 사용하여 메탄전환반응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조된 촉매는 기존 금속산화물과는 다른 방법으로 환원을 하였으며, 플라즈마를 사용한 환원방법(plasma-assisted reduction: PAR)이라고 명명하였다. $Pt/TiO_2$ 촉매는 Pt 담지량 및 소성온도에 관계없이 20분 이내에 환원이 완료되었다. 3 wt% $Pt/TiO_2$ 촉매와 5 wt% $Pt/TiO_2$ 촉매를 $600^{\circ}C$에서 소성하여 PAR 방법으로 환원했을 때 메탄의 전환율은 40%로 가장 높았다. DBD 반응기에서 $Pt/TiO_2$ 촉매를 사용하였을 경우 촉매가 없을 때보다 $C_2H_6$, $C_3H_8$$C_4H_{10}$과 같은 알칸의 선택성의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닭에서 동정된 플르오르퀴놀론 내성 대장균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luoroquinolone Resistant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Chickens in Korea)

  • 성지연;오지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371-3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닭에서 분리된 E. coli 균주들로부터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 동정하고 그 내성 기전과 유병률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을 이용하여 E. coli 균주들의 분자생물학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테스트에서 63.5% (54/85) 의 E. coli 균주들에서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률을 보였다. 또한 퀴놀론계 항생제 내성을 보이는 54개 모두에서 gyrA 유전자의 sense mutations과 parC 유전자의 $57^{th}$, $80^{th}$, or $84^{th}$residues에서 점돌연변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MLST를 통한 분석에서 E. coli ST는 parE 유전자의 염기치환과 깊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우리가 먹는 가축 및 가금류에 대한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은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와 유전변이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식용 동물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모니터링을 통하여 항생제 내성균의 확산방지를 통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99m}Tc$용 콜리메타의 성능과 SPECT 화상의 영향 (Comparison of SPECT Images with $^{99m}Tc$ Collimators)

  • 이만구;이정옥;박성옥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4권2호
    • /
    • pp.35-40
    • /
    • 2001
  • Performance of SPECT imaging systems which use a rotating gamma camera, are affected by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or-collimator assembly, the data acquisition method, and the filter used in imaging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age qualifies of SPECT with different types of low energy collimators. The SPECT imaging system in this study is a digital gamma camera system GCA-901A(Toshiba) and a data processing unit Scintipac-700(Shimadzu). The four types of collimators compared are UHR(ultra high resolution), LEHR(low energy high resolution), LEGP(low energy general purpose), and I-123 PAR(Parallel), with 0.27, 0.66, 1.00, and 2.06 relative sensitivity, respectively. In this case of the same collimators, the spatial resolutions measured in the slice plane showed a slight difference in the FWHM values(mean values of UHR, LEHR, LEGP, and I-123 PAR were 11.3 mm, 13.6 mm, 15.8 mm, and 20.4 mm, respectively) between the center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eld of view, in the radial direction, but a large differenc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with lower FWHM values(values of UHR, LEHR, LEGP, and I-123 PAR were 8.4 mm, 8.7 mm, 9.3 mm, and 10.8 mm at 12 cm from the center, respectively). In comparison of SPECT images with the four types of collimators, except for the I-123 PAR collimator, image qualities of UHR, LEHR, and LEGP collimators showed only a slight difference. From the point of for, it is expected that the LEGP collimator would be suitable for SPECT imaging with $^{99m}T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