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orama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5초

가상환경을 위한 파노라마 생성에 관한 연구 (Panoramic Image Generation for the Virtual Environment)

  • 김태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65-37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환경 탐색을 위한 영상 기반 환경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모자이크 기법을 제안 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투영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한 영상 위에 다른 영상을 합성 한다. 특징 모델을 기반한 정합을 이용하여 영상을 모자이크를 구현하고 구맵핑을 통해 시각에 따라 변형되어 몰입감을 주는 영상 기반 환경을 생성한다, 특히, 취득한 영상간의 카메라 회전 성분에 강건한 기준 특징 벡터 필터링 방법을 제안하며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한다.

  • PDF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한 가상 도자기 전시실의 구현 (Virtual Pottery Gallery Using Panorama Images)

  • 박경남;김응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73-17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요즘 학습자들의 다양한 능력 수준과 심리적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VRML 저작툴을 이용한 가상전시공간을 설계하였다. 감상학습을 현실감있게 하고, 상호 작용적이며, 흥미로운 학습동기를 유발하고자 Photo Vista, Object Modeler, Reality Studio 등의 3D WBI 저작툴을 이용한 Panorama Image와 3D Object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상 전시공간이 학생들의 미술교육에서 현실감있는 작품감상으로 학생들의 심미적인 면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360° 3D 파노라마 기술을 적용한 VFT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using 360° 3D Panorama Technique)

  • 김희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93-205
    • /
    • 2015
  • In this study, a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VFT) learning program using 3D panorama virtual reality techniques was developed to learn about the Gongju city 7 area located in Chungcheongnam-do, Korea. The developed $360^{\circ}$ 3D VFT program can show every face of observational points and interact as zoom-in, zoom-out and image rotation. For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terials, it is provided with a compass, a protractor, enlarged images, pop-up windows, etc..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lass of 35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responses of the students were 90% or more. When geological field trip problems like cost, safety, distance occur in geological learning procedure of middle school science, this VFT program can become as a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 and a solution.

특징점을 이용한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의 블라인드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 (Blind Digital Watermarking Methods for Omni-directional Panorama Images using Feature Points)

  • 강이슬;서영호;김동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85-799
    • /
    • 2017
  • 최근 가장 넓은 응용분야를 갖고 있는 영상매체 중 하나로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영상은 초부가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영상의 지적재산권이 보호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이 영상에 대한 블라인드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촬영된 원영상 각각의 소유권자가 다를 수 있다고 가정하고, 각 원영상에 서로 다른 워터마크 데이터를 삽입하고,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이 서비스되는 형태인 투영된 영상에서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의 주된 타겟 공격은 전방위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상왜곡이다. 그 방법에 있어서, 스티칭에 사용되지 않는 영역의 SIFT 특징점들을 사용하며, 각 특징점 주위의 데이터에 워터마크 데이터를 삽입한다.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데이터로 2차원 DWT 계수와 공간영역 데이터를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는데, 두 방법 모두 QIM방식으로 워터마크 데이터를 삽입한다. 실험을 통하여 이 두 방법이 파노라마 영상 생성과정에서 발생하는 왜곡에 강인함을 보이며, 추가적으로 JPEG 압축 공격에도 충분한 강인성을 보인다.

광각 파노라마 영상획득 방법 (Wide FOV Panorama Image Acquisition Method)

  • 김순철;이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17-2122
    • /
    • 2015
  • 한 장의 영상에 보다 많은 영상정보를 담기 위해서는 넓은 시야각이 필요하다. 넓은 시야각을 갖는 영상은 보안, 감시, 원격화상회의, 이동로봇 등의 산업분야에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각의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쌍곡면 실린더형 반사체를 이용한 영상획득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응용 예에서 수직화각 보다 수평화각이 중요하므로 수직방향으로는 평면거울과 같고, 수평방향으로 쌍곡선 형태를 갖는 실린더형 반사체를 설계하였다. 광학적 성능 분석을 위해 광선추적법을 통해 본 쌍곡면 실린더형 반사체 영상계의 영상획득 모델을 구하였으며, 쌍곡면 실린더형 반사체를 실제 제작하였고, 영상 실험을 통해 광각 영상획득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영상 시스템은 기존 방법에 비해 경제적이며, 별도의 영상처리 없이 수평화각 210도에 이르는 광각의 실시간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깊이지도를 이용한 3D 파노라마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 Panoramic Generation using Depth-map)

  • 조승일;김종찬;반경진;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831-838
    • /
    • 2011
  • 컴퓨터 그래픽스 적용분야에서 표현되는 모습들은 현실 세계의 모습을 기반으로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분야에서는 사실적인 3D(Dimension) 모델 또는 가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3D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입체감 있는 3차원 가상현실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소실점 위치에 따른 깊이지도 생성 기법을 이용하여 3D 파노라마 시스템을 제안했다. 3D 파노라마는 사용자에게 마치 촬영 장소에 서서 주위를 살펴보는 것과 같은 입체감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3D 파노라마 시스템은 넓은 영역에 대해 근거리의 사물과 원거리의 배경에 대한 자유로운 시점과 변함없는 고화질의 사진과 같은 현실감 있는 3차원 입체영상이 제공된다.

이열 하악관(Bifid Mandibular Canal): 방사선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 -증례보고- (Bifid Mandibular Canal: Radiographic Observation and Clinical Relevance -A Case Report-)

  • 이현우;김여갑;이백수;권용대;최병준;김영란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4-29
    • /
    • 2009
  • When performing the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surgeon often faced a difficulty of the surgical operation due to the incomplete anesthesia. One of the reason is the variety of mandibular canal anatomy. Up to now, there are some reports of index cases about bifid mandibular canal among mandibular canal anatomic variation, and some classification is applied according to anatomic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When surgical operation is performed involving mandible such as dantal implant treatment, extraction of an impacted third mo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etc, the position of mandibular canal should be considered. Bifid mandibular canal clinically causes troublesome cases of anesthesia when inferior alvelor nerve block, especially is performed extraction of an impacted third molar.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linicians to recognize the presence of bifid canals on radiographys. Nowadays, the position of mandibular canal can be measured precisely by using Dental CT. It is not found by panorama image but is found by Dental CT sometimes. Among the patients, which take panorama and Dental CT simultaneously, for tooth extraction of lower impacted third molar in our department, we report the case that did not identifying in panorama but identifying it in Dental CT.

  • PDF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멀티코어 환경에서 특징점 추출 병렬화 (Parallelizing Feature Point Extraction in the Multi-Core Environment for Reducing Panorama Image Generation Time)

  • 김건호;최태호;정희진;권범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3호
    • /
    • pp.331-33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멀티코어 환경에서 파노라마 이미지 생성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병렬화한다. 여러 장의 사진들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는 사진들 간의 겹치는 영역을 찾아내기 위해 각 사진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계산량이 많은 특징점 추출 단계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비대칭 멀티 프로세서 아키텍처인 CBE(Cell Broadband Engine)를 사용하여 특징점 추출 병렬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성능이 얼마나 향상되는지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개발한 병렬 알고리즘은 프로세서 수에 비례하여 성능이 높아지는 선형 확장성의 특징을 보였다. 이처럼 멀티코어 환경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작업 수행 시에 어떻게 하면 높은 성능의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지 알아본다.

도시환경과 건물 재생을 위한 파노라마 이미지 공간구성 방법 (A Study on the Panoramic Perception for Restoring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 전수경;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8-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noramic perception and space organization for restora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Panorama is a collective visual catalogue composed by series of perspective images. It is a product from continuous movements of viewer by defamilarizing real image and structuring order between city and build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panoramic image, the viewer is able to achieve the total image of the city. For example, achieving visual perception of the city by employing the panoramic view from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es, Berlin developed its urban characteristic by rebuilding panoramic view as an aesthetic device. First, this paper mention theory of panorama as an aesthetic device for shaping the city from the building. Second, this paper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panorama and historical contexts for why those panoramic views are valuable by mentioning the Altes Museum, the Berlin National Gallery, Museum of Modern Literature, and Folkwang Museum of panoramic view.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visual perception such as panoramic view is the valuable device for organizing the image of the city's own identity. Constructing vision of each city influences not only shaping the city but also mapping the mental views of the building. Also, historical conditions and open spaces are one of the inherent elements combined with panoramic view for establishing urban identity. In search for good place mak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historical context and fabric plan in shaping how a resident sees - literally, sees- their city with buildings. Berlin serve as excellent counter example in how the valuable place making panoramic mental views of urbanities take shape.

Pan-Tilt-Zoom 카메라를 이용한 파노라마 배경 생성과 객체 추적 (Panorama Background Generation and Object Tracking using Pan-Tilt-Zoom Camera)

  • 백인호;임재현;박경주;백준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3호
    • /
    • pp.55-63
    • /
    • 2008
  • 본 논문은 전 방향을 감시할 수 있는 Pan-Tilt-Zoom(PTZ) 카메라를 이용한 파노라마 배경 생성과 객체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연속되는 두 영상의 외곽 영역에서 미리 정한 지역만 위상정합(phase correlation)을 하여 카메라의 지역 움직임을 빠르게 추정하고 벡터 양자화를 통하여 움직임 추정 오차를 최소화 한다. 추정된 움직임 값을 이용하여 겹침 영역이 존재하는 영상들을 획득하여 실린더에 투영시키고 영상을 재 정렬함으로써 파노라마 배경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객체 추적은 미리 생성된 파노라마 배경과 입력 영상의 차분 방법을 이용하여 배경과 객체를 분리하고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제안된 객체 추적 방법은 PTZ 카메라를 이용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배경 생성이 가능하고, 전방향의 객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된 방법은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넓은 감시 지역에서 객체의 형태를 추적하거나 얼굴인식과 같은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