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el regression analysis

검색결과 726건 처리시간 0.029초

The Effects of Trading-Hour Regulations on Large Stores in Korea

  • Kim, Woohyoung;Lee, Hahn-Shik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8호
    • /
    • pp.5-14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sale changes in large retail stores directly resulting from increased controls on those stores. More specifically, we discuss the economic impacts on Korean regulations that restrict trading hours and mandate statutory store closure 'holidays' twice per mont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attempt to empirically analyse the economic effects of trading hours regulation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ales revenue data of large retail stores. We introduce the data and methods of empirical analysis used to analyse the economic effects of trading-hour regulations on large retail stores. We use a panel regression to analyse the sales losses of large retail stores caused by the new constraints on business hour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ales of large retail stores fell by the average of 3.4% per month during the regulation periods. However, regulations affecting large retail stores have various economic impacts, including variations in sales,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nd influences on consumer welfare and national economy. Conclusions - Such changes may also be captured by other metrics: accordingly,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measure the impact of regulations on economic indicators such as employment and GDP.

출산여성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 결정요인과 형평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and Equity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 Utilization)

  • 사공진;박다혜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4-314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postpartum care services to women after birth,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se, and examine the extent of income-related inequality in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using Korean Health Panel data between 2010 and 2013. Methods: The panel data of the year 2010-2013 of the 247 women after birth were used. First, EuroQoL-5D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stpartum care service to women's quality of life. Seco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determinants of the use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s. Finally, concentration index and HIwv (horizontal equity) index were used to find that the concentration index for the inequality in the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showed negative sign, which implied pro-rich. Results: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utilization of the postpartum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women after birth. Also age, area of residence,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urn out to be the factors of using postpartum services. And there are inequality in the use of postpartum care services whose HIwv index showed positive sign, which implied pro-rich. Conclusion: Therefore, the government's policy of the postpartum care service is necessary to be expanded and diversified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quity of the women after birth.

한국 제조산업의 IT투자 대비 경제적 효과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for Korean Manufacturing Firm's IT Investment Effect to Economic Performance)

  • 고중걸;한현수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5-25
    • /
    • 2005
  • As implied by the terms of IT productivity Paradox, measur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contribution to economic performance has been one of the challenging issues to both policy makers and business professionals. As such, diverse attempts with sophisticate analy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to analyze the effect of IT contributions. In this paper, we follow Growth Accounting Method to measure the IT contribution effect to manufacturing firm's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 Various regression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es are applied with fourteen years of industry Panel data. Using the Cobb-Douglas function, time lag analysis is made to understand IT effect to economic growth. Instead of capturing data from individual firm, industry level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Bureau is used for IT capital, non-IT capital, and so on. Statistical analysis following the panel unit test and Panel co-integration test was performed to reveal the exact effect of IT contribution to economic performance. Empirical testing results for non-stationary nature of IT investment effect are reported as well as IT contribution to manufacturing industry's economic performance.

빅 데이터를 활용한 대학의 지역·권역별 학과의 미충원 파급구조 연구: 패널회귀모형과 토빗회귀모형의 응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semination Structure of Unfilled Positions in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using Big Data: Using Panel and Tobit Regression Model)

  • 채동우;정군오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1호
    • /
    • pp.33-52
    • /
    • 2023
  • This study observes the difference in the actual regional ripple effect of the decrease in admission resources due to the decrease in school age population, which has been weak in empirical studies, and how much the decrease in competition rate by department nationwide provides a significant shock to the decrease in enrollment rate in the population unit. An empirical quantitative analysis was attempt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anel-tobit regression model, a clear gap was confirmed in the decrease in the registration rate due to the decrease in the competition rate both nationally and in the provinces, and in particular, a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derived with the decrease in the recruitment rate. In particular, the sensitivity of the risk of unrecruitment due to a decrease in competition rate was the highest in the Jeolla region (0.499), followed by the Gangwon region (0.475) and the Gyeongsang region (0.471), and the metropolitan region (0.158) was confirmed to be the most stable. This suggests that the gap in insufficient funding has gradually widened by region over the past 10 years, and that the shock wave becomes more pronounced in the provinces farther away from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is study, if we deviate from the standardized application of university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metropolitan area and regional universities, and present a customized higher education strategy for each region,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vent local extinction due to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achieve coexistence with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regions at the same time.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Andersen's Behavioral Model (A Convergenc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Paid Care Service: Andersen's Behavioral Model)

  • 김한결;김성국;심현진;이희명;이현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27-337
    • /
    • 2017
  • 현재 입원환자 및 환자 가족의 사적 고용으로 시행되는 유급 간병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자료 (2011-2014)를 활용하였으며, 연간 1회 이상 입원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5,1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을 위해 STATA 12.0 SE를 활용하였으며, 입원환자들의 기본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특성에 따른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 및 t-test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입원환자들의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Andersen's Behavioral Model의 3 범주를 단계적으로 모형에 투입하는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유급 간병서비스 이용은 여성, 고연령, 장기입원 및 장애가 있을 경우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적고용에서 중요한 가구소득 변수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현재 논의 중에 있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대상자 선정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대상자 선정에 관한 세부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등록금 및 장학금이 대학생 휴학률에 미치는 영향: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Influence of tuition and scholarship on the stop-out rate: An empirical analysis using panel regression model)

  • 양호석;최재석;한준태;정진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631-638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2010~2013년까지 4년간의 패널자료를 구성하고 패널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4년제 대학의 등록금 및 장학금이 대학 휴학률에 미치는 영향을 국공립 대학과 사립 대학으로 나누어 파악했다.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 취업률, 학생 1인당 교육비, 평균 등록금, 1인당 장학금 등을 고려해 3가지 모델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공립 대학에서 등록금 및 순 등록금 (net tuition)이 낮을수록 대학 휴학률이 낮아지며, 1인당 교외 장학금이 높을수록 대학휴학률이 낮아졌으며, 사립 대학에서는 등록금이 낮을수록 대학 휴학률이 낮아졌으며, 1인당 장학금(교내+교외), 1 인당 교내장학금 및 교외장학금이 높을수록 대학 휴학률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도시공원 면적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 연구 (Causal effect of urban parks on children's happiness)

  • 권나연;김찬민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1호
    • /
    • pp.63-83
    • /
    • 2023
  •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도시공원을 비롯한 녹지와 유아 행복감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도출했다. 또한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시공원의 면적/근접성이 유아기의 행복감 증진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유추하였다. 하지만 관찰된 자료를 통한 인과효과 추정은 교란 변수의 적절한 조정을 필요로하고, 이런 관점에서 도시공원의 면적과 유아 행복감의 인과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공원의 면적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효과를 추정하였다. 교란 변수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회귀 모형을 이용한 조정(regression adjustment), 가중치 기법(weighting), 그리고 매칭(matching) 등을 이용하였고, 각 방법들의 중요 개념을 분석 결과에 앞서 기술하였다. 교란 변수의 선택에 있어서 유향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결론과는 다르게 도시공원의 면적과 유아 행복감 간에는 유의미한 인과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신체·정신복합질환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여부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패널 데이터 2018년 자료 활용 (The Effect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on Healthcare Utilization of People with Physical and Mental Illness: According to 2018 Korea Health Panel Survey Data)

  • 나리영;윤석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4-272
    • /
    • 2023
  • Background: Private health insurance supplements the coverag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Korea. In this situ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healthcare utilization of people with physical and mental illnesses according to private health insurance.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2018.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813 individuals with physical and mental illnesses (PMI).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bout the utilization of emergency, inpatient, and outpatient medical services of people with PMI depending on enrollment in private health insurance (PHI).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PHI utilized emergency and outpatient medical services less frequently compared to those without PHI. Conversely, having PHI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utilization of inpatient medical services compared to not having PHI.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dividuals with PMI who had PHI exhibited a higher frequency of visits to emergency and outpatient medical services compared to those without PHI.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trend was not observed in the ca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with PMI who had PHI showed a lower frequency of visits to inpatient medical services compared to those without PHI.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aving PHI and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in people with PMI.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considering the type of mental illnesses, length of stay, and health outcome of people with PMI depending on having PHI.

공간 패널 회귀모형을 이용한 양파 생산량 추정 (Onion yield estimation using spatial panel regression model)

  • 최성천;백장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5호
    • /
    • pp.873-885
    • /
    • 2016
  • 노지에서 재배되는 양파 생산량은 기후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특정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생산량 예측시 기상과 지역을 동시에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패널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기상변화에 따른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양파 주산지 13곳에 대한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상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공간시차를 반영한 공간자기회귀(spatial autoregressive)모형을 사용하였다. 공간가중치 행렬은 임계치 설정방법과 최근거리 설정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최근 3곳까지 거리 설정방법을 사용한 모형이 최종 모형으로 선택되었으며, 자기상관성이 유의함을 보였다. 하우스만 검정을 통해 채택된 확률효과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누적일조시간(1월), 평균상대습도(4월), 평균최저기온(6월), 누적강수량(11월) 등이 양파 생산량 예측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패널 분위회귀분석을 통한 한국의 미세먼지 국내외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PM10 & PM2.5 in Korea by Panel Quantile-Regression)

  • 김해동;김재혁;조하현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1호
    • /
    • pp.85-112
    • /
    • 2022
  •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하여 전국 및 지역별 패널 분위회귀분석을 진행하여, 국내 및 중국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2015년 5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일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국내 요인으로는 전력수요 및 교통량을, 중국 측 요인으로는 베이징 등 3개 도시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서풍의 교차항을 이용하여 패널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 미세먼지 농도가 높고 낮을 때 국내 요인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미세먼지 농도가 낮을 때, 전국분석에서 국내 화력발전의 대리변수인 전력수요량은 초미세먼지에 양(+)의 영향력을 미쳤다. 지역별 분석결과, 수도권 및 충청도 지역에서만 전력수요량이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전력수요량은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모두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그 추정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국 요인의 경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관계없이 우리나라에 항시 양(+)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향후 국내 초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4계절 항시 국제적 협력이 필요하며, 국내 화력발전으로 인한 초미세먼지 발생분에 대한 감축이 현재보다 강화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