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red T-Test

검색결과 2,829건 처리시간 0.03초

관절염환자의 동통,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아로마 요법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rthritis Patients)

  • 김명자;남은숙;백승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6-19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feelings of satisfaction in life of arthritis patients. Method: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The sample consisted of 40 patients, enrolled in the Rheumatics Center, Kangnam St. Mary's Hospital, South Korea. The essential oils used were lavender, marjoram, eucalyptus, rosemary, and peppermint blended in proportions of 2:1:2:1:1. They were mixed with a carrier oil composed of almond (45%), apricot(45%), and jojoba oil(10%) and they were diluted to 1.5% after blend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 Aromatherapy significantly decreased both the pain score and the depress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aromatherapy didn't increase the feeling of satisfaction in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aromatherapy has major effects on decreasing pain and depression levels. Based on our experiment's findings, we suggest that aromatherapy can be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for arthritis patients.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불확실성, 스트레스 및 돌보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regiver's Role Improvement Program on the Uncertainty, Stress, and Role Performance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 정은;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70-80
    • /
    • 2017
  • Purpose: In this study a caregiver's role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and tested to identify the effect on uncertainty, stress, and role performance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a non-synchronized design. Thirty-three caregiv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3 to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5 2016 to April 10 2016. For the experimental treatment, each individual was given on-site education with situated learning (given 30 minutes each, for 2 sessions), and self-repetition learn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from the e-book.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2-test$,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level of uncertainty and stress decreased, and role performance level improved for these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using on-site education through situated learning and self-repetition learning with an e-book as in the caregiver's role improvement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herefore, utilizing the caregiver role improvement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recommend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지속에 관한 연구 (Retention of CPR knowledge in the police)

  • 백미례;이인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71
    • /
    • 2001
  • Retention of CPR knowledge was assessed in a group of 86 police officers who participated in first aid and emergency rescue program on February, 2001 and 3 months later. Police officers were taken written test about CPR knowledge by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2000 and competence level.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paired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post-test, the highest question was a rechecking time of circulation sign(98.8%), the lowest was a check for signs of circulation(17.4%), in 3months later, the highest question was a chest compression(94.2%), the lowest was a check for signs of circulation(1.2%), and a retention of CPR knowledge was a 71.7%. In 3months later, knowledge level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post-test(t=-9.09, p=.000). 2. In 3months later, the competence level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post-test(t=3.09, p=.003).

  • PDF

역량강화프로그램이 흡연청소년의 니코틴의존도, 흡연유혹 및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Temptation, Self-esteem, Depression in Adolescents Who Smoke)

  • 박남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empowerment program on nicotine dependency, tempta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s who smoke.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9 adolescents who smoked. Twenty-six adolesc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 weeks. Chi-square test, t-test, paired-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program, scores for self-esteem (t=5.560, p=.014),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scores for depression (t=-2.111, p=.040)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adolescents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 indicate that the empowerment group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decreasing depression and could be considered as a positive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for adolescents who smoke.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자아존중감, 영적안녕,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of Adults)

  • 김복연;오청욱;강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56-16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설계는 비 동등 대조군 실험 연구이며, 충청북도 청주시의 C병원에서 2016년 01월 04일부터 13일까지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참가에 동의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22, 26 명의 참가자를 무작위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실험군의 참가자들(n=22)은 매 회 2 시간, 주 3회, 2 주간에 걸쳐 죽음교육을 받았다. 실험 처치 효과는 2 주간의 중재 전, 후에 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 통증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들은 t-test, chi-square test, Fisher Exact-test and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 주간의 중재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은 자아 존중감 (P<.002), 영적 안녕 (P<.01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증 (P<.014)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성인에게 효과적인 간호 중재로 보인다. 그러므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강점코칭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trength Coaching Program for First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홍주영;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39-143
    • /
    • 2020
  • 본 연구는 강점코칭이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실험군(n=22)과 대조군 각각 2주간의 첫 임상실습을 시행하였고, 기간 중 실험군에는 감정코칭을 시행하고, 대조군(n=21)은 2주간 임상실습 기간 종료 후 코칭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1월 7일부터 4주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2-test로,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 사후검정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감정코칭은 자아존중감과 임상 실습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 수행능력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감정코칭은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건강체조 프로그램이 낙상경험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alth Exercise Program on Walking ability, Depression and WHOQOL-BREF in the Fall experienced Women Elderly)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26-3732
    • /
    • 2010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여성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된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노인들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7년 4월에서 6월 동안 낙상 경험이 있는 여성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대상자에게 적용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은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및 백분율, paired t-test 등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상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중 '의자에서 일어나 앉기(t=2.291, p=.025)', '오른발 한발서기(t=2.236, p=.029)', '전후 보폭(t=4.015, p=.000)'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노인의 우울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044, p=.300)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t=3.528, p=.001)를 보였다. 삶의 질 하부영역에서는 전반적인 삶의 질(t=2.93, p=.005), 신체적(t=3.039, p=.003), 심리적(t=2.481, p=.016), 사회적(t=2.531, p=.014), 환경영역 (t=4.259,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근지구력 및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중재법으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 박효미;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04-31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실험 전 후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군 전후 실험 설계로 95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4개 영역들(1) 진로 탐색, (2) 자기 이해, (3) 진로 계획 수립 (4) 진로 계획 실천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담, 전문가 특강, 모의면접 및 면접결과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진로교육 중재 후 간호학생들의 진로 자기효능감 점수(t=4.48, p<.011)와 진로응성 점수(t=3.02, p=.003)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진로스트레스 점수(t=-2.45, p=.015)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 증가시키고 진로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진로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율동적 동작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중년여성의 정서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ance Movement Program on Psychological Health in Middle Age Women)

  • 이규은;최의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1-64
    • /
    • 1999
  • Dance movement program. Psychological wellbeing, Middle aged women, Wellbeing with depression tendency, 율동적 동작 프로그램, 우울성향 중년여성 %600an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Dance Movement Program on psychological health in middle-age women with depression tendency. 67 women with mile to moderate depression scoring between 16-25 were selected among 235 responded to CES-D (Radloff, 1977, Cho and Kim, 1993). The 46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assigned the control. 7 attritions occurred during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leaving thirty-nine subject : nineteen experimental and twenty control, for the final analysis. Research subjects revealed to be homogenous demographically and by health-related variables. The 50-minute Dance Movement Program was performed by the experimental group 3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from October 6 to November 29, 1997.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self efficac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course of Dance Movement Program. Plasma serotonin was measured to identify its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Homogeneity tests revealed satisfactory level on relevant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paired and unpaired t-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hypothesis that depresso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de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y t-test(t=2.20, P=.0021) 2) The hypothesis that life satisfactio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by t-test(t=1.42, P=.0049). 3) The hypothesis that self-efficacy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ll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y t-test(t=6.20, P=.0616). 4) The hypothesis that level of plasma serotonin will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by t-test(t=1.88, P=.0524) Thus, the effects of the Dance Movemen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gram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for the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tendency are scientifically confirmed by this study.

  • PDF

한국임상수의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통계분석 검토 (Statistical Issues in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박선일;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74
    • /
    • 2010
  • 본 연구는 2006-2007년 한국임상수의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과 보고방법의 오류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총 129편 중 94편이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세 집단 이상 비교 (53편, 56.4%), 두 독립표본 검정 (40편, 42.6%), 짝지은 표본 검정 (9편, 9.6%) 순으로 나타났다. 94편 중 62편 (66%)의 논문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통계적 오류가 발견되었다. 주요 오류로는 짝지은 표본에 대한 독립표본 검정, 세 집단 이상에 대한 t 검정의 반복, 카이제곱 검정에서 연속성 보정 무시, 분산분석에서 정규성 검토와 다중비교 방법 선택의 오류, 반복측정 자료에 대한 의존성 가정 무시, 통계분석 방법에 대한 부적절한 설명, 적용한 분석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회차원에서 통계처리와 기술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