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n control

검색결과 2,943건 처리시간 0.032초

복합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청소년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BDNF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BDNF in Obese Adolescents)

  • 신석민;김철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31-1236
    • /
    • 2012
  • 비만은 여러 가지 질환을 유발하는데 이중에서도 뇌신경세포의 활성 및 생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 청소년의 BDNF 개선을 위한 운동 효과를 검증하고자 12주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구성, 혈중지질, BDNF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체중 및 비만 청소년 18명을 복합운동군 9명, 대조군 9명으로 무선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통계적으로 집단간 차이를 보이며 체중(p<0.01), BMI (p<0.05), 체지방률(p<0.05), 체지방량(p<0.01)이 감소하고, 제지방률(p<0.05)이 증가하였다. 또한 TC와 LDL-C의 평균은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더 많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고, HDL-C는 두 집단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두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BDNF의 평균은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더 많은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12주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체중, BMI,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률은 개선시킬 수 있으나 혈중 지질 및 BDNF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12주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체중, BMI,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률은 개선시킬 수 있으나 혈중 지질 및 BDNF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mergency response team activation in the outpatient clinic of a single dental teaching hospital in Korea: a retrospective study of 10 years' records

  • Ha, Sang Woon;Choi, Yoon Ji;Lee, Soo Eon;Chi, Seong In;Kim, Hye-Jung;Han, Jin-Hee;Han, Hee-Jeong;Lee, Eun-Hee;Kim, Hyun Jeong;Seo, Kwang-Suk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77-83
    • /
    • 2015
  • Background: To prepare for possible emergency situations during dental treatment, it is helpful to know how often and what kinds of emergencies may arise. This study set out to evaluate the incidences, causes, treatments, and outcomes of emergency situations in the outpatient clinic of a dental teaching hospital in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an emergency situation and emergency response team activated in a selected outpatient clinic between November 2004 and November 2013.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cases was collected, including the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he frequency, types, treatments, and outcomes of the emergency situations. Results: We identified 35 instances of emergency situations in 2,890,424 patients (incidence = 0.012 per 10,000 outpatients). The number of cases was as follows: 10 (28.6%) in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10 (28.6%)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6 (17.1%)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4 (11.4%) in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2 (5.7%) in the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2 (5.7%)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1 (2.9%) in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Three (8.6%) of the emergency situations arose before treatment, 22 (62.9%) during treatment, 7 (20.0%) after treatment, and 2 (5.7%) in a patient's guardian. Conclusions: In accordance with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nd more aggressive dental procedures, the number of emergency situations may increase in the future. We recommend that clinicians keep in mind airway management and the active control of emergency situations.

원심성 운동 전 진동 훈련이 하퇴근육의 지연성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bration Training Pre-eccentric Exercise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of Triceps Surae)

  • 김은숙;김미화;조유미;이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89-5796
    • /
    • 2011
  • 본 연구는 왼쪽 하퇴삼두근의 원심성 운동으로 인한 지연성 근통증에서 진동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전에 규칙적인 하지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21명의 신체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진동훈련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통증척도, 발목 족저굴근의 근력, 하퇴삼두근의 둘레, 혈중 CK 수치를 원심성 운동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통증척도는 지연성 근통증 유발 후 48시 시점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족저굴근의 근력은 진동훈련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하퇴삼두근 둘레는 진동훈련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혈중 CK 수치는 진동훈련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에 따라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결과로 원심성 운동 전 진동훈련은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익숙하지 않은 활동을 하거나, 스포츠 활동에서의 지연성 근통증을 예방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해자극에 의한 개구반사와 말초신경 흥분전도에 미치는 건간과 세신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ZINGIBERIS RHIZOMA AND ASIASARI RADIX EXTRACTS ON THE JAW OPENING REFLEX PROVOKED BY NOXIOUS STIMULI AND THE PERIPHERAL NERVE CONDUCTION)

  • 최한석;윤수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7권1호
    • /
    • pp.22-35
    • /
    • 199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organic extracts on the pain response provoked by noxious stimuli on dental nerve and the peripheral nerve conduction. Cats (2-2.5Kg regardless of sex) that were chosen as experimental animals were classified into control group, Asiasari radix application group and Zingiberis rhizoma application group. They were anesthetized with ${\alpha}$-chloralose, then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of both sides were exposed and wire electrodes were inserted for recording of Electromyogram (EMG). Cavities were prepared on canines until pulp of the teeth were exposed. And after the drugs solubilized for 2% and 4% concentration (W/V) in vehicle were applied, their effects were compared through the recording of EMG immediately after drug application, 30 minutes, 60 minutes, 120 minutes and 5 days after, respectively. And after both inferior alveolar nerves were exposed, 4% organic extracts of Zingiberis rhizoma and Asiasari radix were applied for 30 minutes then the change of jaw opening reflex provoked by noxious stimuli on pulpal nerves were observed immediately after washing out, at 30, 60 and 90 minutes after drug had been washed out. After saphenous nerve of both sides were exposed, one side of nerve was used for vehicle application and the other side was used for drug application for 30 minutes. Then conduction of action potential of A-${\delta}$ and C-fiders of saphenous nerves, which have changed with time, was recorded. With analysis of these recor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Organic extract of Zingiberis rhizoma (2% or 4% concentration) greatly suppressed EMG of digastric muscle provoked by noxious stimuli on pulpal nerve at five days after application, the suppressive: effect was greater than that of organic extract of Asiasari radix. 2. Organic extract of Asiasari radix (2% or 4% concentration) suppressed jaw opening reflex provoked by noxious stimuli on pulpal nerve, at 5 days after drug application. 3. Organic extract of Zingiberis rhizoma and Asiasari radix (immediately after 30 minutes application) suppressed neural conduction of A-${\delta}$ and C-fibers, the suppressive effect was greater on A-${\delta}$ fibers than on C-fibers. 4. Jaw opening reflex provoked by noxious stimuli on pulpal nerve in inferior alveolar nerve was greatly suppressed 30 minutes after drug application, this effect was greater by Zingiberis rhizoma than by Asiasari radix.

  • PDF

횡유륜 유두주위절개를 통한 이중포켓 유방확대술 (Transareolar-Perinipple Dual Pockets Breast Augmentation)

  • 이백권;김지훈;서병철;오득영;이종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93-98
    • /
    • 2007
  • Purpose: Many options are available for the incision and pocket selection in breast augmentation. Each method ha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o leave an invisible operation scar and to achieve easier pocket dissection by the central location of the incision on the breast, we made a transareolar-perinipple incision.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transareolar incision, originally advocated by Pitanguy in 1973, we modified the direction of incision line and dissection plane. Methods: To avoid the injury of 4th intercostal nerve responsible for nipple sensation, we made perinipple incision on the medial side of the nipple instead of trans-nipple incision and made the transareolar incision as 11-5 o'clock on the left side and 1-7 o'clock on the right side instead of 3-9 o'clock on both sides. To avoid the possible infection and breast feeding problem caused by the injury to the lactiferous duct, and the possible implant hernia caused by the incisions lying on a same plane of pocket dissection, we made a subcutaneous dissection just above the breast tissue medially down to the bottom of breast tissue and made a subglandular or subfascial pocket, which may avoid the injury of lactiferous duct and create different planes for skin incision and pocket dissection. Other advantages of the transareolar-perinipple incision include easier pocket dissection, less chance of hematoma, and as a result less postoperative pain because of the central location of the approach which allow finger dissection and meticulous bleeding control with direct vision, without any specialized instrument such as an endoscope or long mammary dissectors. As for pocket selection, we made dual pockets. We prefer subglandular or subfascial pocket. Also, we made a subpectoral pocket in the upper 1/4 of the pocket to add more volume on the upper part of the augmented breast, which can make aesthetically more desirable breasts in thin Asian women with small breasts. Possible disadvantages of our method are subclinical infection and scar widening, which could be overcome by meticulous operation techniques, antibiotic therapy, and intradermal tattooing. Results: From September, 2003 to August, 2005, 12 patients underwent breast augmentation using round smooth surface saline implants by our method.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13 month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hematoma, capsular contracture, and sensory change of nipple, and results were satisfactory. Conclusion: We suggest breast augmentation via transareolar-perinipple incision and dual pockets(subpectoral-subglandular or subfascial) as a valuable method in thin oriental women with small breasts.

일부 제조업 생산직 남성근로자들의 구강건강상태 및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and Oral health Status of Some Manufacturering Workers)

  • 차정단;장경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59-4967
    • /
    • 2011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증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상남도지역 일부 근로자 17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아우식증이 있는 군에서 지난 1년간 치과방문경험이 있거나 치석제거경험이 있다고 응답한자에서 치아우식증이 없는 군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아우식증이 있는 군에서 치아가 쑤시거나 욱신거리며 아픈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자가 51.3%, 잇몸이 아프거나 피가 난 경험이 있다 48.7%, 불쾌한 입냄새 경험이 있다 53.8%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치은염증이 있는 군에서 지난 1년간 치석제거경험이 없거나 치은염증이 없는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001). 치은염증이 있는 군에서 하루 칫솔질 회수는 3회이상이 9.6%, 취침전 칫솔질을 항상 했다 4.7%, 구강위생보조용품 이용은 대부분 했다 5.9%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치아우식증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주관적 구강증상, 치실 또는 치간칫솔 사용여부, 구취증상 변인으로 파악되었고, 치은 염증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취침직후 칫솔질 유무, 혀통증 증상, 구취증상, 시린치아증상, 스켈링경험여부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이상 구강검진을 통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켜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될 것이다.

충북 지역 결혼이주 여성 출신국가별 건강행태, 건강상태, 보건의료이용 실태 비교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y the homeland of th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mmigrants living in Chungbuk)

  • 전미양;김현숙;김희자;이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00-351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행태, 건강상태, 보건의료 이용 실태를 출신 국가에 따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7개 지역 다문화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결혼이주 여성 171명이며, 자료수집은 7개 언어로 번역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2010년 9월~11월까지 3개월간 실시하였다. 결혼이주 여성의 출신 국가에 따라 비교한 결과, 건강행태에서는 고강도 운동, 걷기 운동, 체중조절, 아침식사 횟수가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에서는 요통 발생율과 비만도가 차이가 있었으며, 보건의료 이용에서는 건강검진 경험, 주이용 의료기관, 의료기관 미방문 이유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 정책을 수립한다면 결혼이주 여성에게 가장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마 생물산업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for the Hemp Bioindustry)

  • 손호용;김문년;김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77-685
    • /
    • 2021
  • 대마(Cannabis sativa L.)는 삼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바람에 의해 수정되는 풍매화이면서 자웅이주식물이다. 대마는 중독성 마리화나와 비중독성 헴프로 구분 가능하다. 대마는 인류 역사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식물 중 하나로, 과거로부터 다양한 부위를 식용, 약용, 화장품, 섬유, 생활용품 등으로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대마꽃, 잎, 종실 등에 포함된 중독, 환각 성분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1977년 1월부터 시행한 [대마관리법]에 의거하여, 대마 줄기를 이용한 섬유산업 이외에는 실질적인 연구 및 산업화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최근 대마로부터 400여종의 cannabinoids 물질, terpene 및 필수지방산 등이 확인되고, 이들의 신경세포 보호, 항염증, 항혈전, 항균, 통증완화 및 뇌전증 치료 등의 유용 생리활성이 알려지고,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로 대표되는 환각 중독성 물질의 제거 및 저감화, 비환각성 물질의 분석, 정제 기술이 빠르게 보고되면서 2018년 12월 국내 의료용 대마의 합법화 및 2020년 12월 UN 마약위원회의 대마와 대마수지의 마약목록 삭제가 확정되었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대마의 다양한 부위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화장품, 의약품 개발이 시작되고 있다. 본 보에서는 국내 2021년 헴프 기반의 바이오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과 함께, 국내 대마생물산업의 현황과 대마산업 활성화를 위한 필수기술, 향후 전망을 제시하여 국내 대마 생물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홀로코스트' 서사의 한계와 스미스의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에 제시된 치유 서사의 가능성 (The Limitations of Holocaust Narratives and the Possibility of Healing Narratives Suggested by Smith's Fires in the Mirror)

  • 정순국
    • 비교문화연구
    • /
    • 제43권
    • /
    • pp.377-404
    • /
    • 2016
  • 본 논문에서 필자는 1993년 출판된 애나 디비어 스미스의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에서 기술된 인종간의 긴장과 갈등을 분석하려고 한다. 이 책은 1991년 뉴욕에서 발생했던 유대인과 흑인간의 충돌을 주요한 소재로 다루고 있는데, 이 사건은 이미 일인극의 형식과 텔레비전 연극시리즈로 방영된 적이 있다. 필자는 스미스의 인터뷰에 응한 많은 인물들이 여전히 홀로코스트와 노예제도의 담론이 지니고 있는 논리를 반복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뉴욕의 크라운 하이츠에서 흑인 공동체와 유대인 공동체는 끔찍한 상실감을 공유하고 있지만 서로의 고통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이 속한 문화, 인종의 집단정체성을 고집한다. 그들의 서사는 자신이 속한 집단이 과거에 경험한 역사적 사건에 수사학적으로 매여 있는 것이다. 필자는 스미스가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에서 자기 모순적인 독백들을 병치시킴으로써 노예제도와 홀로코스트 같은 담론들이 여전히 인종적, 민족적 공동체를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고 생각한다. 필자의 의도는 유대인 공동체와 흑인 공동체간의 갈등만을 전적으로 조사하는데 있지 않다. 대신, 필자는 유대인 홀로코스트와 흑인 노예경험을 포함한 '홀로코스트 수사학'이 내포하고 있는 비평적, 이론적 담론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이러한 이해는 '홀로코스트 수사학'이 실패하는 지점을 드러내며 그것이 감추고 있는 폭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홀로코스트와 노예제도의 경험을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서 그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형성하는 것이다. "거울 속에 반영된 분노"는 독자에게 자신의 맹목을 너무 쉽게 노출하는 '홀로코스트' 담론의 자기 모순적인 방식을 거울처럼 비춘다. 독자는 이와 같은 서사의 틈 속에서 과거의 상처가 치유되고 새로운 서사가 창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목격하게 된다.

장 천공을 동반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골 골절에서 전산화 단층촬영 전 시행한 혈관색전술의 지혈효과: 증례보고 (Emergency preoperative angioembolization without computed tomography to treat unstable pelvic fractures with bowel perforation)

  • 박찬용;강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17-422
    • /
    • 2019
  •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골 골절 환자의 사망율은 40-60%에 이를 정도로 매우 높다. 하지만 이러한 환자들을 어떻게 치료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다. 저자들은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골 골절 환자에서 빠른 응급 혈관조영술을 통해 효과적으로 지혈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78세 여자가 넘어져서 발생한 골반 통증을 주소로 응급실을 통해 내원하였다. 내원 후 시행한 단순골반촬영에서 골반골 골절이 관찰되었으며, 혈압은 60/40 mmHg였다.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지 않고 곧바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빠른 지혈을 위해 세부적인 출혈 혈관을 선택하지 않고 양측 내장골동맥에 대해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색전술 시행 후 혈압이 안정화되고 나서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이 검사에서 장천공을 의심할 수 있는 다수의 복강내 공기 음영이 관찰되었다. 응급 개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소견상 소장에 약 1 cm 크기의 천공이 관찰되어 봉합을 시행하였고, 골반 주변 후복막강에 혈종이 있었으나 더 이상 팽창하지 않고 출혈 소견이 보이지 않아 그대로 두고 수술을 종료하였다. 환자는 중환자실로 입원하여 집중치료 시행하였고, 수술 3일째 일반병실로 전실하였다. 저자들은 이 증례에서 출혈을 동반한 골반골 골절과 소장천공 대해 전산화 단층촬영을 생략하고 빠른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