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onia suffruticosa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Exogenous Sugars Involvement in Senescence and Ethylene Production of Tree Peony 'Luoyang Hong' Cut Flowers

  • Zhang, Chao;Liu, Miao;Fu, Jianxin;Wang, Yanjie;Li, D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18-724
    • /
    • 2012
  • Sugars play important roles in petal senescence of cut flowers. In the Expt. 1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lucose (60, 90, and $120g{\cdot}L^{-1}$) and sucrose (30, 60, and $90g{\cdot}L^{-1}$) application on the vase life, rate of flower diameter increase, rate of flower weight increase and ethylene production of cut tree peony (Paeonia suffruticosa 'Luoyang Hong') were evaluated. At the earlier stage, treatmen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sucrose all retarded the process of flower opening and inhibited the increase of flower diameter and weight, while senescence of flowers f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lucose was delayed at later stage. Flowers treated with $90g{\cdot}L^{-1}$ glucose displayed the longest vase life,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rom those of flowers with the control and sucrose treatments. All treatments with glucose or sucrose not only retarded the decrease of flower diameter and weight, but also suppressed the ethylene production at the earlier stage and delayed the peak of ethylene evolution.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exogenous sugar on the postharvest response of cut tree peony to ethylene, Expt. 2 was conducted. Cut flowers were treated with $90g{\cdot}L^{-1}$ glucose for 4 hours before (GE) or after (EG) exposed to $10{\mu}L{\cdot}L^{-1}$ ethylene for 4 hours. Generally, the opening process of flowers with GE and EG treatments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however GE treatment delayed flower senescence. Both GE and EG treatments improved flower diameter and weight, and GE treatment delayed the time of flower weight decrease. Besides, GE delayed climacteric ethylene evolution for 8 hours. All above suggest that exogenous sugars delay tree peony 'Luoyang Hong' cut flower senescence and extend flower vase life through their roles in the decrease of water loss and the suppression of sensitivity to ethylene and ethylene production.

Fragrance Composition in Six Tree Peony Cultivars

  • Zhao, Jing;Hu, Zeng-Hui;Leng, Ping-Sheng;Zhang, Hui-Xiu;Cheng, Fang-Y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617-625
    • /
    • 2012
  • Tree peony is a traditional famous flower of Chin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nese traditional culture. But the floral scent of tree peony in vivo is little known.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the floral composition of tree peony, floral volatiles of six cultivars, including Paeonia suffruticosa 'Zhaofen' (ZF), P. suffruticosa 'Luoyanghong' (LYH), P. ostii 'Fengdanbai' (FDB), P. ${\times}$ lemonei 'High noon' (HN), P. ${\times}$ lemonei 'Renown' (R), and P. rockii 'Gaoyuanshenghuo' (GYSH) were collected by dynamic headspace and then identified by Automated Thermal Desorp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floral fragrances of the six cultivars wer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istinct. A total of 105 volatiles involving ten categories were detected. But not all volatile categories were emitted from these cultivars. The six peony cultivars emitted some shared compounds and peculiar compounds. The total released amounts of volatiles emitted from six cultivars were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which was greatest for 'GYSH'.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s detected from 'ZF', 'LYH', 'FDB', 'HN', 'R', and 'GYSH' were respectively ${\alpha}$-pinene, 2,3-dihydroxy propanal, 3-methyl-1-butanol, 2-ethyl-1-hexanol, acetic acid 1-methylethyl ester, and 5-ethyl-2,2,3-trimethyl heptane. This result may contribute to exploring the biosynthesis and emission mechanism of floral scent in tree peony.

목단피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억제효과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 유진균;정미자;김대중;서동주;박정해;김태우;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2-296
    • /
    • 2009
  • Tyrosinase는 피부의 melanocytes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한다. 목단피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단피 물추출물의 항산화 능력과 tyrosinase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모델계와 a cell-free 모델계에서 알아보았다. MDP의 라디칼 소거작용은 DPPH assay로 알아보았고, MDP는 높은 DPPH 라디칼 소거작용을 보여주었다.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은 RT-PCR, 효소활성을 마우스 B16 세포내에서 측정함으로써 알아보았다. 24시간 목단피 물 추출물을 투여한 세포내에서 tyrosinase mRNA와 효소활성이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항산화력이 높고, 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목단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melanin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미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Screening for Anti-diabetic Effects of Prescribed Korean Traditional Medicines

  • Shin, Seon Mi;Jeong, Yong Joon;Park, Dae Won;Ko, Heung;Kim, Gi Tae;Kim, Ee-Hwa;Kim, Taeseong;Sohn, Eun-Hwa;Kwon, Jung-Eun;Koo, Hyun Jung;Kang, Se C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0-681
    • /
    • 2012
  • Herb extracts commercially used in Korea were screened for PPAR-${\gamma}$ agonist tes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ssay. Total 16 herb plants had a PPAR-${\gamma}$ agonist activity. Specially, Alisma orientale Juz (108.41%), Ephedra sinica (98.22%), Sasa japonica Makino var. purpurascens Nakai (140.68%),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106.79%) and Cnidium officinale Makino (113.00%) showed high PPAR-${\gamma}$ agonist activity rate compared with rosiglitazone's (167.46%). And Cornus officinalis S. et Z. (90.3%), Cinnamomum cassia Blume (89.2%), Psoralea corylifolia L. (89.8%),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92.4%) and Paeonia suffruticosa Andr (93.2%), showed high ${\alpha}$-glucosidase inhibition rates. These results support previous reports of the efficacy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used for diabetes mellitus.

Candidiosis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용 및 야생 식물의 항진균 활성의 검색 (Screening of anti-candidiosis agent from medicinal and wild plants)

  • 손호용;금은주;권윤숙;권기석;진익렬;권하영;권정숙;손건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04-617
    • /
    • 2003
  • 안전성이 확보된 식용, 또는 약용식물로부터 항캔디다 활성이 우수한 항진균 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298종의 천연물로부터 추출부위 및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384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의 항캔디다 활성을 disc-paper를 이용한 생육 저지환의 유무 및 크기 판정과 microbroth dilution법을 이용하여 C. albicans KCTC 1940과 S. cerevisiae IFO 0233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종 식물로부터 조제된 25종의 추출물이 우수한 항캔디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멍석딸기, 정향, 천황련, 작약, 모란, 대극잎 추출물은 강력 한 항캔디다 활성$(MIC=50 \mug/m\ell)$을 보였다. 특히, 멍석딸기(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정향(부탄올 추출물), 호장근(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작약(부탄올 추출물), 대극잎(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C. albicans에 높은 선택독성을 나타내어, 안정성이 확보된 식물 추출물로부터 새로운 진균 감염증 치료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한정우기(閑情偶寄)』 「종식부(種植部)」를 통해 본 식물의 상징성과 완상(玩賞) 방식 (A Study on Symbolism and Appreciation of Plants through 'Xianqingouji Zhongzhibu')

  • 장림;양유선;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0-39
    • /
    • 2019
  • 본 연구는 이어(李漁; 1611-1680)의 "한정우기(閑情偶寄)" "종식부(種植部)"에 수록된 68종 식물 중 상징적 의미와 독특한 완상 방식을 지닌 27종의 식물을 추출하여 고찰했다. 해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물의 상징성이다. 1) 모란은 외적으로 꽃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강직하고 정직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화왕(花王)으로 삼는다. 모란과 겨룰 수 있는 꽃은 작약밖에 없으나 작약을 화상(花相)으로 비유한다. 이어는 작약도 마땅히 다섯 등급의 제후(諸侯) 대열에 속해야 한다고 했다. 2) 이어는 복사꽃과 동백꽃을 미인의 뺨으로 해당화, 재스민 꽃, 다화장미, 수선화, 개양귀비를 자태가 다양한 여인으로 비유하면서 이에 대한 사랑스러운 감정을 꽃에 투영하였다. 3) 이어는 연꽃을 꽃 중의 군자로, 황양목을 나무 중의 군자로 삼는다. 반대로 서향을 꽃 중의 소인(小人)으로 비유한다. 4) 감탕나무는 풍채가 있으나 절개를 과시하지 않는 까닭에 이어는 감탕나무를 은사로, 멀리서 바라본 능소화를 하늘 끝의 신선으로 비유한다. 둘째, 식물의 완상 방식이다. 1) 식물감상 시 보조 시설을 활용해야 한다. 야외에 나갈 때 천막을 휴대하야 하고, 정원에서 매화를 감상 시 종이 병풍을 활용해야 정취를 더욱 느낄 수 있다고 했다. 매화 이외에도 이어는 난초 옆에 감상할 수 있는 기물을 배치해야 더욱 다채롭게 식물을 향유할 수 있다고 했다. 2) 이어는 백일홍과 살구나무의 예를 들어 식물은 동물과 사람처럼 지각이 있다고 주장했다. 3) 오감으로 식물과 교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는 버드나무와 합환을 통해 가능하다고 했다. 연꽃과 매괴의 예를 들어 식물은 관상 가치뿐만 아니라 실용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4) 사물의 비유로, 일반 사람들은 계관화를 '닭 벼슬'로 보는 반면에 이어는 하늘의 상서로운 구름과 같다고 했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는 이어가 식물에 의미를 부여하여 인간의 다감각적 세계를 식물에 투영해서 인격화하고 식물에 대한 그의 사랑을 더해 독특한 식물 향유 방식을 표출해 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명말청초에 문인들이 아취(雅趣)의 삶을 추구했는데, 그의 식물의 상징성 및 식물 완상 방식은 그 당시 문인들의 아취의 삶을 반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식물추출물의 파네실 전달효소 저해활성 검색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 강현미;이승호;유시용;손광희;양덕조;권병목
    • 생약학회지
    • /
    • 제34권1호통권132호
    • /
    • pp.91-99
    • /
    • 2003
  • Ras protein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involved in cell growth and the mutated twas genes have been found in thirty percent of human cancers. Ras proteins (H-, K- and N-Ras) are small guanine nucleotide binding proteins that undergo a series of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including the farnesylation onto cysteine 186 at C-terminal of Ras by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FPTase). This is a mandatory process for retention of transforming ability. Therefore, inhibitors of FPTase have a promising to be effective antitumor agents. In our screening program for FPTase inhibitors, the methanol extracts of 193 plants were screened for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FPTase partially purified from the rat brain. Extracts of 7species plants including Areca catechu, Saururus chinensis, Curcuma longa, Artemisa princeps, Paeonia suffruticosa, Spatholobus suberectus, Cinnamomum cassia, Cinnamomum japonicum inhibited more than 60% of FPTase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중국, 베트남산 약용식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저해활성 검색 (IV) (Screening of Herbal Medicines from China and Vietnam with Inhibitory Activity on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Formation (IV))

  • 김종민;김영숙;김주환;유정림;김진숙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8-393
    • /
    • 2009
  •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The AGEs inhibitors or cross-link breakers attenuate various functional and structural manifestations of diabetic complications. In this study, 64 herbal medicines from China and Vietnam have been investigated with an in vitro evaluation system using AGEs inhibitory activity. Of these, eight herbal medicines ($IC_{50}$<50 ${\mu}g$/ml) were found to have strong AGEs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with aminoguanidine (14 days, $IC_{50}$=75.98 ${\mu}g$/ml; 28 days, $IC_{50}$=88.27 ${\mu}g$/ml). Particularly, four herbal medicines, Buddleja officinalis (whole plant), Syzygium cuminii (leaf), Eugenia caryophyllate (seed), and Paeonia suffruticosa (root) showed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approximately 5-6 fold) than the positive control aminoguanidine.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의 처방 구성 및 용량 용법에 관한 문헌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s and Dosages of Yukmijihwang-Hwan by Literature Review on the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 황대선;신현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8
    • /
    • 2009
  • Objectives : The result is the followings after investingating composition, dosage and usage of Yukmijihwang-Hwan(六味地黃丸) in literature by country and Era. Methods : Investigated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that Yukmijihwang-Hwan is first described. Results : Found 42 literatures searching Yukmijihwang-Hwan in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Literature that Yukmijihwang-Hwan is recorded by first was Yinhaijingwei(銀海精微), but capacity has not recorded. Yukmijihwang-Hwan Medicinal Decoction that eat(Yukmijihwang-Tang: 5 times) as pill than eat(Yukmijihwang-Hwan: 37 times) was more. Literature that composition of Yukmijihwang-Hwan is recorded by Rehmannia glutinosa(熟地黃) is 8 Ryang(兩), Poria cocos(白茯苓) is 3 Ryang, Paeonia suffruticosa(牧丹皮) is 3 Ryang, Alisma Canaliculatum (澤瀉) 3 Ryang, Cornus officinalis(山茱萸) 4 Ryang, Dioscorea batatus(山藥) 4 Ryang was most. Conclusions : Yukmijihwang-Hwan wat difference in composition and capacity that Chinese and Korean Classics of Oriental Medicine. After Dongeuibogam of the Korea is published, composition and capacity are connected until today.

  • PDF

국내 자생 향장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Korea Endemic Herb Plants)

  • 차재영;하세은;심선미;박종군;정연옥;김현중;박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8-233
    • /
    • 2008
  • 본 연구는 60여 종의 자생 향장식물 및 한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페녹시에탄올을 처리한 군에서의 저해존의 크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적 비율을 분석한 결과 P. aeruginosa 에 대해서는 단삼과 황련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단삼의 경우 97%, 황련의 경우 84% 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스테비아, 때죽나무, 후리지아, 생강나무, 뽕나무, 오배자, 지유, 황금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S. aureus에 대해서는 오배자, 황련, 단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오배자의 경우 78%, 황련의 경우 99%, 단삼의 경우 92%에 해당하였다. 또한 작약, 찔레, 스테비아, 창포, 후리지아, 오디,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황금, 은행나무, 소나무, 인동초, 이나무에서 항균력을 나타냈다. C. albicans에 대해서는 황금의 경우 35%, 황련의 경우 33%의 항균 활성을 보였다. M. furfur에 대해서는 오배자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는데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57%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에도 작약, 찔레, 황련, 진피, 목단피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P. acnes 에 대해서는 황련, 단삼, 오배자, 작약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에서 보인 저해존의 황련과 단삼의 경우 99%, 오배자의 경우 87%에 해당하였으며, 작약의 경우 꽃에서 추출한 경우 89%, 줄기에서 추출한 경우 35%, 뿌리에서 추출한 경우 22%에 해당하였다. 또한 찔레, 스테비아, 창포, 오디, 오이, 은방울꽃, 생강나무, 구절초, 고삼, 관중, 지유, 후박에서도 항균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지리산 자생식물 중에서는 작약, 찔레, 생강나무, 구절초, 소나무에서, 한약재 중에서는 황련, 오배자, 지유, 단삼, 황금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관련되는 성분과 가능한 작용 방식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