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onia lactiflora Pall.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작약근(芍藥根) 생육년수(生育年數)에 따른 성분(成分) 함양(含量) 변화(變化) (The Changes of Bioactive Compone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Aged-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강광희;곽용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3-199
    • /
    • 1999
  • 한국산 재배작약 중 "의성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을 대상으로 작약근의 주 활성물질로 평가되는 paeonilforin, albiflorin 및 5종의 phenolic compounds 함량의 생육년수별 변화양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년수별 의성작약의 생근굵기는 1년생이 5.3mm, 2년생이 10.3mm, 3년생이 15.6, 4년생이 19.1mm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생육년수에 따라 일정한 경향으로 생근의 굵기가 증가 하였다. 생육년수별 paeoniflorin, albifiorin, (+)-catech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가는 뿌리인 1년생의 함량이 높았고, gallic acid, (+)-taxifo.in 3-O-${\beta}-D$ glucoside 및 (-) -epicatechin 함량은 굵은 뿌리인 $3{\sim}4$년생의 함량이 더 높았다. 의성작약에 함유된활성 물질 증 (-) -epicatechin을 제외한 paeoniflorin, albiflorin 및 phenolic compounds의 각 함랑은 껍질이 있는 유피근이 껍질을 제거한 거피근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작약꽃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항염 및 광노화 억제 효능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hotoaging Activities of Hydrolyzed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Flower)

  • 이경주;김유아;박병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9-2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작약꽃을 가수분해하여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인 peonidin 배당체를 비배당체로 전환하여 생리 활성을 증대시키고 신규 화장품 소재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품종별 작약꽃을 추출하여 유효성분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을 선정하였으며, 해당 품종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농도의 hydrochloric acid (HCl) 처리가 가수분해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가수분해는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작약꽃 가수분해물에는 붉은색을 나타내는 안토시아닌계 화합물인 peonidin 배당체가 peonidin으로 전환되어 63.3 ppm 함유되어 있음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작약꽃 가수분해물의 생리 활성을 확인해본 결과, 가수분해물이 일반 작약꽃추출물 대비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nitric oxide (NO)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 효과가 증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ultraviolet A (UVA)에 의한 피부 섬유아세포 손상을 감소시켜 광노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작약꽃 가수분해물이 화장품 산업에서 신규 항노화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청강의감』의 구성과 내용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CheongKangEuiGam")

  • 오준호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3-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CheongKangEuiGam" and raise interests in study on Oriental Medicine in the 20th century. Songjae, LeeJongHyeong was a disciple of Cheongkang and published this book in 1984 by organizing the medical theory of Cheongkang, KimYoungHoon who lived in the turbulent period from the late period of Joseon to a chaotic state of Korea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Even though it is relatively recently published, it is a very important clinical book as well as historical material to look at the aspects of Oriental Medicine in the 20th century. The book contains several notable medical thoughts. First, you can look at one perspective of the 20th century Oriental Western medical study which is initiated b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edicine in classification schemes and description of disease symptoms. In addition, he uses medicinal herbs such as Cyperus rotundus L., Pinellia ternate(Thunb.) Breit., Poria cocos Wolf, Angelica gigas Nakai, Cnidium officinale, and Paeonia lactiflora Pall as important items, it is found that qi and blood depressed gallbladder is considered as the main pathology of the disease. In terms of names and meaning of prescriptions, he prefers to use mild medicinal herbs rather than intense medicinal herbs. It seems that he tries to help people's lives with cheap and effective medicinal herbs.

소요산의 방론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oyo-san Prescription)

  • 이원융;정기훈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9-222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Soyo-san(SYS) prescription in order to obtain the evidence for clinical applications. Methods and Result : We interpreted on the SYS-related contents based on 25 classic books, analyzed it according to followed categories ; meaning of name, alteration of herbal composition according to age, usage, origin,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situation of SYS, description of each herbal drug Conclusion : 1. So(逍) mean diminish(消), 遙 mean roll(搖). It reflected feature of SYS, that alleviate depression without impairing vital energy(正氣). 2. SYS was first mentioned in the prescription of peaceful benevolent dispensary(太平惠民和劑局方), its essential application was harminizing liver depression and spleen deficiency(肝鬱脾虛) 3. SYS originated from Sayuk-san. Sayuk-san was appropriate for soothe the liver and regulate the spleen(疏肝理脾), while SYS was suitable for depressed liver and blood deficiency(肝鬱血虛) 4. Most medical literature insisted that application situation of SYS is blood deficiency(血虛), depressed liver(肝鬱), spleen deficiency(脾虛). And there is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ree factors. 5. Bupleurum falcatum L.(柴胡), Mentha arvensis L.(薄荷) alleviates liver depression as "pungent dissipate-qi uprais (辛散氣升)" nature. Angelica gigas Nakai(當歸), Paeonia lactiflora Pall.(白芍藥) emoliates the liver by nourishing the blood. 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白朮), Poria cocos(茯苓), Glycyrrhiza uralensis Fisch.(甘草), Zingiber officinale Roscoe(生薑) cultivate the basis as tonifying earth(補土).

Antioxidative activity of peony root

  • Lee, Seung-Chul;Kwon, Yong-Soo;Kim, Hyun-Pyo;Heo, Moon-You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61-61
    • /
    • 2003
  • The ethanol extract of peony root (Paeonia Lactiflora Pall, Paeoniaceae) and its major active components including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were evaluat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free radical generation and lipid peroxidation.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a mammalian cell line were performed. The ethanol extract of peony root (PRE),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were shown to possess the significant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gainst 1,1-diphenyl-2-picryl hydrazine (DPPH) radical generation and were revealed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peroxidation as expressed by malondialdehyde (MDA) formation. They were also found to strongly inhibit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from NIH/3T3 fibroblasts, assessed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Furthermore, oral administration of 50% PRE (50% ethanol extract),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potently inhibited micronucleated reticulocyte (MNRET) formation of mouse peripheral blood induced by KBrO3 treatment in vivo. Therefore, PRE containing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may be a useful natural antioxidant by scavenging free radicals,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protecting oxidative DNA damage.

  • PDF

『한정우기(閑情偶寄)』 「종식부(種植部)」를 통해 본 식물의 상징성과 완상(玩賞) 방식 (A Study on Symbolism and Appreciation of Plants through 'Xianqingouji Zhongzhibu')

  • 장림;양유선;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0-39
    • /
    • 2019
  • 본 연구는 이어(李漁; 1611-1680)의 "한정우기(閑情偶寄)" "종식부(種植部)"에 수록된 68종 식물 중 상징적 의미와 독특한 완상 방식을 지닌 27종의 식물을 추출하여 고찰했다. 해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물의 상징성이다. 1) 모란은 외적으로 꽃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강직하고 정직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화왕(花王)으로 삼는다. 모란과 겨룰 수 있는 꽃은 작약밖에 없으나 작약을 화상(花相)으로 비유한다. 이어는 작약도 마땅히 다섯 등급의 제후(諸侯) 대열에 속해야 한다고 했다. 2) 이어는 복사꽃과 동백꽃을 미인의 뺨으로 해당화, 재스민 꽃, 다화장미, 수선화, 개양귀비를 자태가 다양한 여인으로 비유하면서 이에 대한 사랑스러운 감정을 꽃에 투영하였다. 3) 이어는 연꽃을 꽃 중의 군자로, 황양목을 나무 중의 군자로 삼는다. 반대로 서향을 꽃 중의 소인(小人)으로 비유한다. 4) 감탕나무는 풍채가 있으나 절개를 과시하지 않는 까닭에 이어는 감탕나무를 은사로, 멀리서 바라본 능소화를 하늘 끝의 신선으로 비유한다. 둘째, 식물의 완상 방식이다. 1) 식물감상 시 보조 시설을 활용해야 한다. 야외에 나갈 때 천막을 휴대하야 하고, 정원에서 매화를 감상 시 종이 병풍을 활용해야 정취를 더욱 느낄 수 있다고 했다. 매화 이외에도 이어는 난초 옆에 감상할 수 있는 기물을 배치해야 더욱 다채롭게 식물을 향유할 수 있다고 했다. 2) 이어는 백일홍과 살구나무의 예를 들어 식물은 동물과 사람처럼 지각이 있다고 주장했다. 3) 오감으로 식물과 교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는 버드나무와 합환을 통해 가능하다고 했다. 연꽃과 매괴의 예를 들어 식물은 관상 가치뿐만 아니라 실용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4) 사물의 비유로, 일반 사람들은 계관화를 '닭 벼슬'로 보는 반면에 이어는 하늘의 상서로운 구름과 같다고 했다. 종합하자면 본 연구는 이어가 식물에 의미를 부여하여 인간의 다감각적 세계를 식물에 투영해서 인격화하고 식물에 대한 그의 사랑을 더해 독특한 식물 향유 방식을 표출해 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명말청초에 문인들이 아취(雅趣)의 삶을 추구했는데, 그의 식물의 상징성 및 식물 완상 방식은 그 당시 문인들의 아취의 삶을 반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화분에서 유래된 배의 발달과 분화식물체의 배수성 (Development of Pollen-Derived Embryos and Ploidy Level of Their Regenerated Plants in Paeonia ladctiflora Pall.)

  • 손재근;김광수;김경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5-220
    • /
    • 1994
  • 약배양에서 형성된 배를 GA$_3$가 첨가되지 많은 MS배지에 배양한 결과 발아률이 12.5%로 낮았으나, 0.3 mg/L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81.3%의 높은 발아률을 보였고 발아후의 생육양상도 양호하였다. 자엽출연기의 배를 GA$_3$ (0.3mg/L)가 첨가된 MS배지에서 20일 동안 전배양한 후 IAA, cytokinin 및 GA$_3$가 단용 또는 혼용된 배지에 배양한 바 배의 발아률은 모든 처리에서 72% 이상의 높은 발아률을 보였으나 발아후의 생육면에서는 2.0mg/의 BA 단용 또는0.1 mg/L의 kinetin과 0.3 mg/L의 G가 혼용된 배지에서 가장 좋았다. 0.5 mg/L GA$_3$가 첨가된 배지에 자엽출현기의 배를 이식하여 4$^{\circ}C$에 8주동안 저온처리하면서 저온처리 기간별 배의 발아률 및 발아후의 생육양상을 조사한 바 저온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작약의 발아률이 향상되어 8주동안 저온처리된 배에서 73.3%의 가장 높은 발아률을 나타내었고 발아후의 생육양상도 가장 양호하였다. 작약의 체배양에서 재분화된 식물체의 배수성을 조사한 바 분화식물체 개체 중 반수체와 이배체가 각각 낙.8%와 31.2%로 가장 많았고, 4배체5.2%)와 3배체(1.3%)도 있었으며 염색체수가 4개(1.3%) 또는 6개(5.2%)인 이수체 있었다.

  • PDF

작약(芍藥)의 개화촉진(開花促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Forcing of Herbaceous peony(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현태;박용진;성재덕;서형수;한상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7-192
    • /
    • 1996
  • 작약(芍藥)의 개화조절(開花調節)을 위(爲)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꽃눈의 분화과정(分化過程)과 동계(冬季) 가온재배(加溫栽培)시의 적정(適定) 가온시사(加溫時斯) 및 편온처리(偏溫處理) 효과(效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약(芍藥)의 꽃눈분화 과정을 보면, 6월(月)17일(日) 조사시(調査時) 눈의 분화는 이미 시작되어 있었고, 화기의 분화는 9월중순(月中旬)에, 꽃잎의 분화는 10월(月) 에 관찰되었으며, 이른 봄눈이 지상부(地上部)로 출현(出現)하면서 암술이 분화된 개체가 관찰되었다. 2. 동계(冬季)에 시기(時期)를 달리하여 가온재배(加溫栽培)한 결과, 밀양지역(密陽地域)에서 작약(芍藥)의 촉성재배(促成栽培)시 12月 상순(上旬)부터 가온재배(加溫栽培)하면 낙화(駱花)가 가능하였으며 12월(月) 하순(下旬) 가온낙시구(加溫駱始區)까지 출현소요(出現所要) 일(日) 수(數)가 현저히 감소(減少)하다가 그 후에는 差(差)가 없었다. 3. $5^{\circ}C$에서 1주간(週間) 저온처리를 한 후 가온재배(加溫栽培)를 하면 잎은 출현(出現)하였으나 개화(開花)하지 않았고 2과(過)이상 처리시 개화(開花)하였다. 2주(週) 이상 저온처리시 처리기간에 따른 폐화소요일수(閉花所要日數)의 차(差)는 미미(微微)하였으나 출현경수(出現莖數)와 폐화률(閉花率)은 처리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저온처리후 가온재배(加溫栽培)하면 동일가온재배(同一加溫栽培)시기의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출현소요일수(出現所要日數)가 크게 감소하였다. 저온처리에 의한촉성재배(促成栽培)의 경우빨리 개화(開花)한 것은 1월(月) 20일(日)이었고, 저온처리를 하지않은 것을 12월(月)에 촉성재배(促成栽培)할 경우 2월(月) 하旬(下旬)까지 개화(開花)가 가능하였다.

  • PDF

작약의 약 및 소포자 배양에서 Phenylacetic Acid [PAA]가 배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ylacetic Acid (PAA) on Embryo Formation in Anther and Microspore Culture of Paeonia lactiflora)

  • 권용삼;신영애;손재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93-198
    • /
    • 2002
  • 작약의 약 및 소포자 배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지 내에 첨가되는 PAA의 농도별 배형성 정도와 배의 형태적 변이 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작약의 약배양에서 배지 내에 첨가되는 PAA의 농도에 따라 소포자 유래의 배형성률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2 mg/L의 P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형성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AA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배형성를은 낮아진 반면 캘러스 형성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포자에서 유래된 배의 형태는 PAA의 농도에 따라 큰 변이를 나타내었는데 2개의 자엽을 가진 정상배의 출현빈도는 2 mg/L의 P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AA의 농도가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 오히려 비정상배의 출현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작약의 소포자 배양에서도 2 mg/L의 PAA 첨가 배지에서 10일간 전배양된 약을 PAA (2 mg/L)를 함유한 MS액체 배지에 배양했을 때 누출된 소포자 (shed microspore)의 수도 많았고 분열률도 높았으며, 이들 소포자로부터 형성된 배의 수도 가장 많았다.

적작약 추출물의 대식세포에 대한 염증억제 효과 (Suppression Effect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Macrophages by Paeoniae Radix Rubra Extracts)

  • 박종필;손정현;김용민;정준희;임강현;이은용;김이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73-379
    • /
    • 2011
  • Paeoniae Radix Rubra is a preparation consisting of desiccated roo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belonging to Ranunculaceae). Paeoniae Radix Rubra is used as a medicinal herb in Asian countries to treat many diseases. Ethanol- or water-based extracts of Paeoniae Radix Rubra were prepared and tested on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The expression of some pro-inflammatory proteins, includ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 and phosphorylated ERK1/2 was detected by Western blot analyses, while PGE2 expression was quantified by ELISA. Both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aeoniae Radix Rubra suppressed LPS-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exhibited cell toxicity in accordance with increased NO production. Also, both extracts reduced the expression of COX-2 and iNOS, and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ERK1/2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Extracts prepared from Paeoniae Radix Rubra contain anti-inflammatory agents that inhibit the iNOS and MAPK path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