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5초

누에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섭취가 당뇨환자의 혈당저하능에 미치는 영향 (Hypoglycemic Effect of Paecilomyces japonica in NIDDM Patients)

  • 김현숙;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21-824
    • /
    • 2005
  • 누에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섭취 후 공복혈당은 $27.5\%$, 식후혈당은 $35.5\%$로 감소하였으며, 복용 중단 2주 후에도 실험전 혈당 수준과 비교할 때 각각 $18.2\%,\;27.2\%$ 저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복용할 때 뿐 아니라 복용 후 어느 정도 기간까지는 지속적으로 혈당 강하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남자 당뇨병 환자의 공복혈당은 $28.5\%$, 식후혈당은 $33.5\%$ 감소되었고, 여자 환자의 공복혈당은 $26.1\%$, 식후혈당은 $37.3\%$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누에 동충하초는 인슬린비의존형 성인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의 품질특성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Dongchunghacho Jelly with Assorted Increments of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 김애정;방인수;여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6
    • /
    • 2007
  • 본 연구는 건강지향적인 식품 소재로서 기능성과 효능을 지닌 동충하초를 이용하여 먹기 편한 젤리를 제조하기 위해 동충하초 분말을 각각 0%, 0.5%, 1%, 1.5%, 2% 첨가하여 만든 동충하초 젤리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색도, 물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충하초 젤리의 일반성분 함량에서 수분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반면에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고 동충하초 분말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이 대조군보다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이 높았다(p<0.05). 색도 검사에서 L값과 a값은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b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은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의 Hardness, Gumminess 및 Chewiness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동충하초 분말 1% 첨가군에서의 색,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가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지향적인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기호성과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충하초 젤리의 동충하초 분말 첨가량은 1% 첨가군이었으며 겔화제와 같은 첨가물에 따른 동충하초 젤리의 관능평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된다고 사료된다.

눈꽃동충하초균의 액체배양법 개선 (Improvement of Liquid Culture Methods of Paecilomyces japonica)

  • 남성희;정이연;조세연;한명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3-36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liquid culture methods of Paecilomyces japonica. The results show that the size of granular mycelium is smaller when the shaking speed is increased. Especially, the granular mycelium is the smallest at the shaking speed of 150rpm under the photoperiod of 12L-12D. Dry weight of mycelium was averagely 1.216 g in the Sikworm larva (SL) medium, and the weight was 2 times heavier than in the Potato dextrose (PD) medium. By adding 6 g of 6 mmbeads in the SL medium, the dry weight is increased to 1.332 g. The optimal addition of silkworm larval powder to the culture medium for gest harvest was 1.360$\pm$0.67 g in dry weight.

  • PDF

눈꽃과 번데기 동충하초 첨가가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 정명희;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3-748
    • /
    • 2002
  • 식빵에 단백질을 보강할 목적으로 눈꽃 동충하초와 번데기 동충하초의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과 눈꽃 동충하초 첨가군에서 구수한 맛, 입안에서의 감촉, 향의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J2군이 가장 높았으며 M4군이 가장 낮았다. 부피는 대조군에 비해 눈꽃 동충하초 첨가군은 커졌고 번데기 동충하초 첨가군은 감소하였으며, 동충하초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에서 명도 값(L)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동충하초 첨가군이 모두 낮았으며 특히 M4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적색도 값(a)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번데기 동충하초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양의 값을 가졌으며 눈꽃 동충하초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음의 값을 나타내 상반된 결과를 가져왔다. 황색도 값(b)은 대조군과 눈꽃 동충하초 천가군에 비해 M4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경도(Hardness)는 M4군이 가장 높았으며(p<0.001). 탄력성은 대조군에 비해 눈꽃과 번데기 동충하초 첨가 식빵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과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 명도는 관능항목의 색, 경도와 부의 상관관계(p<0.001), 적색도와 황색도, 경도는 관능항목의 색, 묵은 곡식가루 냄새, 경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부의 상관관계(p<0.001)를 보였다. 또한 기계적 검사의 응집성과 탄력성은 관능 항목의 색과 묵은 곡식가루 냄새, 경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눈꽃 동충하초의 경우 2% 첨가군이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기호도, 수분 함량과 부피에서 좋은 특성을 가졌다. 동충하초의 첨가량은 눈꽃 동충하초의 경우 4%까지도 무방하며, 번데기 동충하초의 경우 2%가 적절하였다.

누에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 방혜열;박무현;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4-49
    • /
    • 2004
  • 동충하초 분말 및 용매를 달리한 추출액을 고추장 총 무게의 15%,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후 $20^{\circ}C$에서 90일간 숙성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수분, pH, 아미노태질소, 색도, 생균수등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pH는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고 전 처리구에서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아미노태질소는 전 처리구에서 숙성 60일까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90일에는 소량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처리구 별로는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를 첨가한 고추장의 함량이 더 높았으며 숙성 30일과 60일에는 그 중에서 동충하초분말 첨가 고추장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이 각각 179.2 mg%와 282.2 mg%로 가장 높았다. 색도는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전 처리구에서 L, a, b 값이 감소되었고 대조군에 비하여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의 L, a, b 값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동충하초분말 첨가 고추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시킨 고추장을 30일 간격으로 색, 질감, 맛, 향미,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각 처리구의 색은 대조군이 선명한 붉은색에 가까운 것에 비하여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의 색은 어두운 적갈색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고 고추장의 진한 색에 대한 선호도는 낮았으며, 질감은 모두 윤기가 나고 부드러웠으며 이에 대한 선호도 역시 높았다. 짠맛은 대조군보다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이, 분말보다는 추출액을 첨가한 고추장이 더 강했고 매운맛은 동층하초를 첨가한 고추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풍미는 동충하초 첨가 고추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동충하초 분말 첨가 고추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선호도는 동충하초 열수추출액 첨가 고추장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EX> 저장시에는 대조구가 저장 15일에 $6.6{\times}10^4\;cfu/g$에 도달한 것에 비해 구기자 분말 첨가구는 저장 20일 이후에도 $4{\times}10^4\;cfu/g$에 도달하여 구기자 분말 첨가에 따라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결과를 보였다.. coli O157:H7, Y. enterocolitica를 포함한 다른 병원성세균은 분리되지 않았다. 시금치에서 분리한 S. aureus 5균주 중 2균주는 SET-RPLA kit에서 enterotoxin type A를 생성하였고 3균주는 enterotoxin을 생성하지 않았다. B. cereus 5균주는 CRET-RPLA kit에서 모두 enterotoxin을 생성하였다.수한 전통 식생활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동시에, 전통음식의 세계화가 촉진될 것으로 생각된다.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암 세포 SN12C에 대해서는 garlic$(82.88{\pm}0.53%)$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p<0.001)를 나타냈으며, ginger 및 cumin, cardamon이 p<0.01 수준에서 증식억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love의 경우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암 세포주 SNU-638의 경우 garlic$(71.63{\pm}0.38%)$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red pepper 및 ginger, fenugreek, SPC, cumin, MPC 등에서도 증식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p<0.001). 그러나 clove 및 nutmeg, turmeric, coriander는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폐암 세포 A549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대부분의 원료에서 세포독성이 없었으나 cassia(82.84 16.92%)가 가장 강한

누에분말 및 누에동충하초분말 함유 돈육 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Containing Silkworm Powder and Vegetable Worm (Paecilomyces Japonica) during Cold Storage)

  • 김일석;진상근;조철훈;이무하;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1-528
    • /
    • 2008
  • 본 연구는 누에분말 및 누에동충하초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돈육 패티의 $5^{\circ}C$ 냉장저장 기간(0, 3, 6, 9일)동안의 품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저장 6일차까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pH값을 보였으며 육색의 경우 누에분말과 누에 동충하초 분말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L과 a값은 감소했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p<0.05). 누에분말과 누에 동충하초 분말 첨가가 보수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2 처리구에서 낮은 가열감량을 보여 0.4%의 누에분말이 가열감량을 억제하였다(p<0.05). 지방산패도는 누에분말과 누에동충하초분말 첨가구 및 혼합 첨가구에서 모두 대조구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그러나 누에분말과 누에동충하초분말 처리간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돈육 패티의 관능적 특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풍미의 경우 저장초기에는 처리구의 기호도가 높았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냄새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종합적기호도에서도 저장초기에 대조구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대조구에 비해 높거나 차이가 없었다. 누에분말과 누에동충하초분말 처리구간의 뚜렷한 기호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누에 및 누에동충하초분말은 돈육 패티의 pH값을 증가시키며 가열감량과 지방산패도를 억제시켰으며 보수력과 관능적 특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보이지 않아 추후 가공육제품의 첨가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동충하초 첨가에 따른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 박금순;박찬성;최미애;김정숙;조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4-362
    • /
    • 2003
  • 전통중편의 단백영양 보강을 위하여 동충하초를 첨가하여 증편의 이화학적, 기계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충하초 첨가량을 달리한 증편의 부피는 동충하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pH는 동충하초 5%첨가 증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분은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의 수분 함량이 낮았고 (p<.001) 동충하초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군보다 동충하초 첨가군이 높았으며 필수아미노산을 골고루 함유하고 특히 Leucine, Phenylalanine, Arginine이 높았다. 동충하초첨가 증편의 texture변화에서 색도 중 L값은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a,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texture 측정에서는 껌성은 5%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고, brittlenes는 7% 첨가군이 대조군과 다른 첨가군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texture에서는 웅집성이 5% 첨가군, 탄력성은 3%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flavor에서 stale grain flavor과 bitterness는 동충하초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충하초 증편의 제조에서 이화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종합했을 때 동충하초 농도를 3%, 5% 첨가시 최적농도임을 도출해 내고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시간에 따른 동충하초 첨가 증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 박금순;박어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03-1708
    • /
    • 2004
  • 전통증편에 영양강화와 이용도를 확대시킬 목적으로 눈꽃 동충하초 증편을 제조하여 발효시간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시간을 달리 하여 제조한 동충하초 첨가 증편의 반죽의 부피변화는 발효전보다 발효 3시간과 2차 발효 30분의 부피가 더 증가하였으며 발효가 더욱 진행될수록 부피는 감소하였다. pH는 발효 전 pH 5.1로 발효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며 수분은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명도와 황색도는 1차 발효 후의 증편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았다. 기계적 texture측정에서 견고성은 2차 발효 90분 후의 증편이 가장 높았으며 껌성과 부서짐성도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전자현미경 의 표면구조 관찰에서는 2차 발효 시간이 길어질수록 스폰지상의 조직이 파괴되어 기공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색의 강도는 2차 발효가 진행될수록 색의 강도가 강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단단한 정도, 질긴 정도, 쓴맛은 발효시 간이 길어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1차 발효만을 실시한 증편과 30분동안 2차 발효를 한 증편이 가장 좋은 선호도를 보여 동충하초 첨가 증편의 발효시간은 3$0^{\circ}C$에서 1차 발효 3시간 후와 35$^{\circ}C$에서 2차 발효 30분이 최적 발효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rdyceps miiitaris에 함유된 혈당강하 성분이 간세포 Glucokin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Cordyceps militaris Increases Hepatic Glucokinase Activities)

  • 김현숙;노영주;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8-161
    • /
    • 2005
  • 본 연구에서 는 P japonica와 c. mifitaris에서 혈당강하 기능성 성분을 분리하고 간세포내 glucokinase활성을 측정하여 항당뇨 작용 기전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동충하초에서 분리 된 fraction A의 간세포내 glucokinase 활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C. militaris는 371.4%, P. japonica는 379%로 증가하였다. Fraction B의 활성은 C. miliraris 314.2%, P. japonim는 147.4% 증가하여 C. milifaris에서 추출된 fraction B는 P. japonin와 비교했을 때 2배 이상의 glucokinase의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C. militaris의 혈당 강하 작용을 in vivo에서 검증한 결과 C. militaris 첨가군의 glucokinase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1300% 이상의 활성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C. militaris추출물은 간세포 내 glucokinase활성을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포도당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rdycepin이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흰쥐의 조직 과산화 지질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dycepin-increase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Tissues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Damage in Rat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04-912
    • /
    • 2013
  •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분말을 식이 중에 각각 3%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흰쥐에 급여한 후, 해부하기 2일 전에 2회 사염화탄소를 복강주사하여 급성 간손상을 일으켜 임상생화학적 특성 및 조직 내 항산화 활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 및 음료섭취량은 각 실험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손상 임상 지표인 AST, ALT, LDH 활성도 각 실험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분말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각 조직과 혈청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높은 과산화지질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조직 내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glutathione농도 또한 모든 조직과 혈청내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미네랄 함량 측정결과 지방의 산화를 촉진하는 비헴철과 항산화 성분인 아연이 정상수준까지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 독성을 저하시키며 혈청과 간지질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기능 개선과 지질대사 개선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