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ket Loss

검색결과 975건 처리시간 0.027초

게임서버 가상머신을 위한 지연 제약 스케줄링 (Delayed-constrained scheduling for a game server virtual machine)

  • 강기욱;고철홍;홍지만;백두원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7-68
    • /
    • 2016
  • 게임 애플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점차 커짐에 따라 물리적인 게임 서버 자원은 점차 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서버의 I/O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게임 서버에 I/O 가상화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I/O 지연 시간이 수시로 변하는 게임 서버는 I/O 응답성을 쉽게 보장하기가 힘들다. I/O 가상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I/O 응답성 보장은 매우 중요하며 가상 머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I/O 지연 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I/O 스케줄링 기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 환경에서 최대 I/O 지연 시간을 보장하는 효율적인 지연 제약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기법을 이용하여 지연시간을 보장하는지 실험을 하여, 패킷의 손실량이 줄고 스케줄링의 공정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에서 해시 체인 기반의 효율적인 데이터 인증 기법 (An Efficient Data Authentication Scheme for Content Centric Networking)

  • 서석충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375-138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CCN(Content Centric Networking)에서 세그먼트 데이터 인증에 대한 연산 부하와 전송량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해시 체인 기반의 데이터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컨텐츠의 실제 정보를 담은 데이터 세그먼트들에 해시 체인 인증을 적용하고, 각 세그먼트들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메타 부분에 대하여 해시 체인과 MHT(Merkle Hash Tree)를 적용한 2계층 인증 방법이다. 해시 체인과 MHT를 적절히 사용하여 해시 체인 방법의 효율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해시 체인의 단점인 데이터 손실과 순서대로가 아닌(out-of-order) 전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CNx 라이브러리에 구현하여 100Mbyte 전송 시, 연산 부하와 전송량 부하를 측정한 결과, 약, 2.596%와 1.803%만을 발생시키며, 이는 CCNx 라이브러리에 기본 탑재된 패킷 별 서명(per-packet signing), MHT 기반 서명과 비교하여 크게 개선된 것이다.

IPv6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서 가상 학술회의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Virtual Conference System in the IPv6 Multicast Network)

  • 엄태랑;도진숙;이경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B호
    • /
    • pp.45-54
    • /
    • 2003
  • PIM-SM 방식에서는 RP(Rendezvous Point) 선정에 따라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 간의 지연, 패킷 손실 등의 요인으로 인해 QoS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주의 깊은 RP 선정 기법을 필요로 한다 QoS 기반으로 RP를 선정하는 기법에서는 대역폭, 지연 등과 같은 QoS 변수를 모두 만족하는 노드를 RP로 선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 기반 선정 방식에 속하는 새로운 RP 선정 방식을 제안한다 MCT(Maximum Cross Tree) 방식으로 불리는 새로운 알고리즘은 형상 기반 선정 방식과 그룹 기반 선정 방식의 장점을 취하여 구현한 방식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고속 선도망을 통한 IPv6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한 가상 학술회의 시스템의 멀티캐스트 트래픽 데이터를 측정하고, 제안된 알고리즘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 가지 형태의 네트워크 모델에 적용하여 결과를 확장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향상된 이동성 관리 프레임워크 (Enhanced Mobility Management Framework for Future Generation Networks)

  • 김문;문태욱;조성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7B호
    • /
    • pp.710-720
    • /
    • 2009
  •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이종 접속 시스댐들이 통합된 환경에서 vertical 핸드오버와 seamless 핸드오버를 지원하여야 한다. IEEE 802.21은 이를 위해 이종 접속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핸도오버 서비스를 지원하는 Media Independent Handover (MlH)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IETF는 호스트 이동성을 지원하고 핸드오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Fast handover for MIPv6 (FMIPv6) 기술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IH 서비스와 FMIPv6 기술을 융합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이동성 관리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구간에서 오버헤드로 작용하던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사용을 줄이고, 새로운 MIH 메시지 및 로컬 프리미티브를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던 많은 핸도오버 처리 절차들을 Serving Access Router (SAR)가 수행하도록 제안한다. 따라서 제안된 이행 관리 프레임워크는 기존의 프레임워크에 비해 핸드오버 시그널령 오버헤드, 핸드오버 지연 및 패킷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치해석과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를 검증한다.

차량 네트워크에서 V21 통신을 위한 안정된 라우팅 프로토콜 (Reliable Routing Protocol for 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s in VANET)

  • 김정훈;이수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8B호
    • /
    • pp.839-845
    • /
    • 2009
  • 차량들의 멀티 홉으로 구성되어 있는 Vehicular Ad-hoc Network (VANET)은 차량의 빠른 이동 속도와 빈번한 밀도 변화로 인하여 링크 연결 시간이 짧고 패킷 손실율이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VANET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차량의 속도, 이동 방향,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성을 예측하여 높은 링크 연결 시간을 가지는 차량으로 멀티 홉을 구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라우팅 경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링크 연결 시간을 증가시켰지만 릴레이 노드간 거리가 짧아져 라우팅 경로의 길이와 delay가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의 라우팅 경로의 길이와 delay가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교차로가 존재하는 시내 도로에서의 차량 이동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인 라우팅 경로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 결과를 통해 우리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GPSR)과 기존 연구 결과들에 비해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우선순위 버퍼 혼잡제어 알고리즘 (Congestion Control of a Priority-Ordered Buffer for Video Streaming Services)

  • 김승훈;최재원;최승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4B호
    • /
    • pp.227-233
    • /
    • 2007
  • 최근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용자들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실시간성과 동시성이 중요시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트래픽이 사용되고 있는데, UDP 트래픽은 현재의 인터넷 기반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트래픽과 경쟁 관계에 있어 네트워크의 혼잡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TCP 트랙픽은 네트워크의 혼잡제어를 수행하지만 수신자의 관점을 고려하지 않은 점이 있어서 스트리밍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고 수신자의 관점에서 RTP/RTCP(Real-time Trasport Protocol/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네트워크에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수신자의 버퍼를 고려한 혼잡제어 알고리즘인 POBA(Priority-Ordered Buffer Algorithm)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우선 순위가 없는 기존 네트워크에 비해 패킷 손실률과 버퍼 점유도 면에서 스트리밍 전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bile IPv4에서 VPN 게이트웨이 통과를 위한 AAA 기반의 인증 방법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AAA to Traverse the VPN Gateway in Mobile IPv4)

  • 김미영;문영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4B호
    • /
    • pp.191-199
    • /
    • 2007
  • 이동 노드가 홈 망을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홈 에이전트로 등록해야 한다, 그러나 이동 노드의 홈 에이전트가 홈 망의 VPN 게이트웨이에 의해 보호되고 외부로부터의 비 인가된 엑세스가 차단되는 경우 이동 노드는 등록 절차를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데 이는 이동 노드가 외부 망으로부터 얻은 임시 주소(CoA)와 홈 망의 보안 정책간의 보안 협약(SA)의 부재로 인해 바인딩 등록 메시지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게이트웨이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Mobile IPv4 사용자가 VPN 게이트웨이에 의해 보호되는 인트라넷을 엑세스할 수 있도록 AAA 인프라 구조를 사용한 인증 및 키 교환 방법을 제시한다. 각 에이전트나 릴레이 엔티티를 위한 인증 및 터널 처리를 정의함으로써 이동 중인 노드가 안전한 방법으로 VPN 내부의 홈 에이전트로의 바인딩 등록 절차를 하였고, 이동 및 트래픽 특성에 따른 인증 비용 항목에 대해 일반적인 방식과 제안 방식을 비교하였는데 최대 40% 성능향상을 보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대규모 장애 적응적 라우팅 프로토콜 (Large Scale Failure Adaptive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좌형;선주호;정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1호
    • /
    • pp.17-26
    • /
    • 2009
  • 무선센서네트워크는 위험 지역에서의 데이터 수집 용도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위험한 지역에서는 다수 노드들에서 동시 다발적인 장애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대규모의 장애를 빠르게 복구시키기 위한 자가 복구 능력을 높여야 한다. 기존의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하나의 노드에서 발생한 장애는 빠르게 복구하지만 다수의 노드들에서 장애 발생시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장애 발생시 이를 빠르게 복구하기 위한LSFA(Large Scale Failure Adaptive Routing Protocol)을 제안한다. LSFA는 다수의 노드들에 장애가 발생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환경에서 장애를 빠르게 감지하고 라우팅 주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빠른 시간에 네트워크를 복구한다. LSFA는 패킷손실 정도를 장애발생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하며 장애를 감지하면 라우팅 주기를 짧게 하여 장애가 발생한 사실이 네트워크에 빠르게 퍼지도록 한다. 베이스스테이션으로의 경로를 유지하고 있는 노드가 주위에 장애가 발생한 사실을 감지하면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빠르게 전파시켜 장애 복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험을 통하여 LSFA가 다른 프로토콜들에 비해 적은 패킷을 사용하면서도 장애를 빠르게 복구함을 보인다.

Wireless Mesh Network을 위한 OTT 기반 핸드오프 알고리즘 (Handoff Algorithm based on One-way Trip Time for Wireless Mesh Network)

  • 박차희;유명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5호
    • /
    • pp.16-24
    • /
    • 2007
  •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기존 단일 홉의 AP를 통한 제한된 무선 서비스를 보다 넓은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확장된 서비스 영역에서 무선 사용자의 이동성 지원을 위해 핸드오프 연구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핸드오프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데이터 손실 및 서비스 끊김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성능 저하가 발생된다. 핸드 오프 지연시간의 증가는 주위 AP로부터 핸드오프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과 부정확한 핸드오프로 인한 잦은 핸드오프 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TT (One-way Trip Time)를 이용한 거리 측정 기반의 핸드오프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OTT의 장점을 활용하여 기존 선호세기 기반의 핸드오프 알고리즘에 비해 핸드오프에 필요한 정보를 짧은 시간에 획득할 수 있으며, 정확한 AP 선택 알고리즘을 통해 불필요한 핸드오프를 줄일 수 있다. 제안 알고리즘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성능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 높은 핸드오프 정확도과 핸드오프 지연 및 불필요한 핸드오프 수행의 감소 이득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lf-Similar 트래픽을 갖는 공유버퍼 메모리 스위치 네트워크 환경에서 호 수락 제어 방법 (Call Admission Control for Shared Buffer Memory Switch Network with Self-Similar Traffic)

  • 김기완;김두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4B호
    • /
    • pp.162-169
    • /
    • 2005
  • 패킷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트래픽이 전통적인 트래픽 모델인 포와송 분포와 마코비안 프로세스로 가정된 네트워크로부터 발생되는 트래픽과 상당히 차이가 나는 self-similar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고 또한 기존에 제안된 대부분의 호 수락 제어 방법에 대한 성능 분석은 스위치가 단독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트래픽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라우팅을 통하여 여러 스위치들을 거쳐야하므로 호 수락 제어 방법에 대한 성능 분석은 다단으로 연결된 스위치로 확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을 통하여 기존에 제안된 호 수락 제어 방법이 단일 스위치 환경 하에서는 적절하게 동작이 이루어지나 다단으로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뒤에 위치하고 있는 스위치에 필요 이상의 유효 대역폭을 할당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공유 버퍼 메모리를 갖는 다단 네트워크 스위치 환경에서 셀 손실률과 이용률 그리고 각 스위치 출력포트의 self-similarity를 분석하여 self-similar 트래픽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는 호 수락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