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ked Bed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185초

$UV/TiO_2$ 충진 반응기에서 페놀의 광산화 반응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in $UV/TiO_2$ Packed-bed System)

  • 박길순;김종화;이상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39-945
    • /
    • 2005
  • 입상형/비드형(직경 = 5 mm) 광촉매가 충진된 고정상 반응기에서 유량별 광산화 반응속도를 고찰한 결과 유량이 400 mL/min 이상에서 페놀의 분해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비드형 광촉매의 경우에는 부식율과 코팅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광산화 반응속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광촉매의 종류별 페놀의 분해능을 비교한 결과 Degussa P25가 STS-02(Ishihaha사)와 $TiO_2$(N사)에 비해 높은 광산화 활성을 나타내 주었다. 유체의 전단력에 의한 표면의 마모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입상형 광촉매보다 $TiO_2$가 코팅된 비드형 광촉매를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활성을 오래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광산화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다.

충전상(充塡床) 호기성(好氣性) 생물막공법(生物膜工法)의 반응속도론(反應速度論)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Kinetics of a Pasked Bed Aerobic Biofilm Rrocess)

  • 조광명;정재기;손종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45-53
    • /
    • 1987
  •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충전상(充塡床) 호기성(好氣性) 생물막공법(生物膜工法)의 반응속도론(反應速度論)을 구명(究明)하는 것으로서, 폭기(曝氣)되는 충전상(充塡床) 반응조(反應槽)에 합성폐수(合成廢水)를 주입(注入)함으로써 실험(實驗)이 수행(遂行)되었다. 유리구슬을 매질(媒質)로 채운 반응조(反應槽)의 공칭체류시간(公稱滯留時間)은 5시간(時間)이었으며, 반응조내(反應槽內)에서의 흐름형태는 소금용액을 사용한 추적자(追跡子) 실험(實驗) 결과(結果) 완전혼합형(完全混合形)이었음이 알려졌다. 연구결과(硏究結果)에 따르면 유기물(有機物) 용적부하(容積負荷)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막(微生物膜)의 성장(成長)에 의하여 반응구내(反應構內)에서의 미생물량(微生物量)이 증가함으로 F/M는 거의 일정(一定)한 값으로 유지(維持)되었다. 또한 충전상(充塡床) 호기성(好氣性) 생물막공법(生物膜工法)이 슬러지반송(返送)이 있는 완전혼합(完全混合) 활성(活性)슬러지 공법(工法)의 반응속도론(反應速度論)에 의하여 해석될 수 있음이 구명(究明)되었다.

  • PDF

촉매-코로나방전을 이용한 NOx제거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NOx Removal Using Catalyst-Corona Discharge)

  • 고희석;박재윤;김종석;이수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33
    • /
    • 2004
  • 우리가 생활하는 거의 모든 곳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ludge)는 악취, 토양오염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폐기물은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처리되고 있으나 슬러지의 경우 두 가지 방법 모두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대체 처리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슬러지를 NOx제거용 촉매 펠렛(Pellet)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수돗물 정수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로 펠렛을 제작하여 $BaTiO_3$ 펠렛과 하이브리드 구조로 NOx제거용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작하였고, specific energy, 전압인가 방법, 슬러지의 양, 산소농도 변화에 따른 NOx제거 특성을 측정하고 슬러지 펠렛의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화학열펌프에 있어서의 무기수화물계 축열시스템에 관한 연구(III) -Ca(OH)2 탈수반응층의 전열해석- (A Study on the Heat Storage System for Chemical Heat Pump Using Inorganic Hydrates (III) -Numerical Analysis of Heat Transfer in Ca(OH)2 Dehydration Packed Bed-)

  • 박영해;이영세;김종식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181-1191
    • /
    • 1996
  • 본 연구는 고온용 열구동형 화학열펌프에 있어서 폐열 및 태양에너지를 유용하게 이용하기위한 목적으로 $Ca(OH)_2$ 탈수반응시 원주형 반응기 충진층내 핀을 주입 전열촉진한 경우의 전열 및 반응촉진효과에 대해 이론적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탈수흡열 반응시 반응층내 온도분포변화, 반응완결시간, 방열량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구리판 전열핀을 설치한 경우 입자 충전층의 탈수반응 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본 실험조건 하에서는 전열핀을 주입하지 않았을 때보다 탈수반응 소요시간이 1/2정도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석결과 열화학반응은 온도 및 농도에 주로 의존하였고, 경계조건과 입자충전층의 열전도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충진층 반응기에서 고정화 효소에 의한 난황 단백질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Egg Yolk Protein in a Packed Bed Reactor by Immobilized Enzyme)

  • 강병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56-1661
    • /
    • 2010
  • 난황단백질 가수분해를 위한 알칼리성 단백질분해효소를 5가지 담체 Duolite A568, Celite R640, Dowex-1, Dowex 50W 그리고 Silica gel R60 에 고정화하였다. Duolite A568의 경우에 24.7%의 최대 고정화 효율을 나타내었다. 자유 효소와 고정화 효소에 대한 최적의 pH는 각각 8과 9였고, 최적의 pH는 고정화에 의해 염기성으로 1만큼 증가하였다. 그러나 최적 온도는 자유 효소와 고정화 효소 모두 $50^{\circ}C$로 같았다. 고정화 효소가 자유 효소에 비해 높은 열 안정성을 보였다. 재사용 회분식 공정에서 10 cycle 동안 효소활성은 초기 활성의 86%를 유지하였다. 연속 공정을 위한 충진층 반응기에서 여러 유속에 대한 장기 조업에서 효소 활성의 안정성 평가하였는데 낮은 유속일수록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연속 조업에서 casein과 난황 단백질을 사용하여 원료에 대한 고정화 효소의 활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96시간 연속 조업에서 casein의 경우는 초기 활성의 83%를 유지하였고 난황 단백질의 경우는 초기 활성의 61%를 유지하였다.

이분산 구형 입자로 구성된 충전층을 흐르는 점성 유체 흐름의 투과도 (Permeability of Viscous Flow Through Packed Bed of Bidisperse Hard Spheres)

  • 손현진;구상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66-7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단단한 구형 입자들로 충전된 이분산(二分散) 충전층을 지나는 비압축성 유체 흐름의 투과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이론적으로 예측하는 문제를 다룬다. 작은 입자에 대한 큰 입자의 크기 비 ${\lambda}$가 1.25와 2인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여러 가지 입자 혼합 비율로 충전층을 만들고 그 공극률과 유체 흐름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이분산 충전은 입자 크기가 일정한 단분산 충전에 비해 공극률이 감소하고 투과율이 감소하나 입자들의 크기 비 ${\lambda}$나 혼합 비율 ${\gamma}$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두 가지 입자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공극률의 변화와 투과율의 변화 형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개별 충전 입자에 걸리는 항력 계산에 기초한 모델을 고안하여 투과도를 예측하는 간단한 이론식을 유도하였고 이 식을 이용한 예측값을 실험 결과 및 선행 연구 결과들과 비교한 결과, 이 이론식에 의한 투과도 예측값이나 입자 혼합 비율에 따른 투과도 변화 경향이 실험값에 가장 근사하였다. 이 이론식을 이용해 이분산 충전층을 지나는 유체 흐름의 투과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충진층 반응기에서 고정화 cellulase에 의한 셀룰로스 가수 분해 (Hydrolysis of Cellulose by Immobilized Cellulase in a Packed Bed Reactor)

  • 강병철;이종백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65-1370
    • /
    • 2013
  • 약 염기성 이온교환 수지에 cellulase를 고정화하였고 고정화 cellulase는 흡착 특성이 Langmuir 흡착 등온선을 잘 따랐다. pH와 온도에 대한 효소 활성은 고정화 효소가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열에 대한 효소 활성은 1차식으로 감소하였고 고정화 효소가 자유 효소에 비해 열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초기 속도법을 통해서 자유 효소와 고정화 효소의 Michaelis-Menten 속도 상수를 결정하였고 속도상수 Km은 고정화 효소가 큰 값을 나타내었다. 충진층 반응기에서 셀룰로스의 전환 공정을 재순환에 의해 측정하였다. 투입되는 셀룰로스의 유량 변화에 대한 셀룰로스의 변환을 연속 공정에서 조사하였다. 장기 운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7일 통한 연속공정을 실시하였고 고정화 효소는 48%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RESISTANCE TO AIR FLOW OF FRUITS IN BULK AND IN A CARTON

  • Yun, Hong-Sun;Cho, Young-Kil;Park, Kyung-Kyu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896-905
    • /
    • 1996
  • Pressure drop, as a function of air flow, was measured for tomatoes and mandarins in bulk with different sizes, stacking arrangements and bed porosities. Pressure drop was also measured on carton vent holes and on a carton of packed fruits . and the cumulative effects of air flow resistance of vent holes and packed fruits in bulk on the air flow resistance of a carton of fruits were evaluated . Equation were presented to describe pressure drop bulk fruits, of an empty carton and of a carton of packed fruits as related to the air velocity , the bed porosity, the fruit diameter and the opening ratio of the vent hole.

  • PDF

암모니아 가스 제거를 위한 포괄고정화 담체 개발 (Development of Encapsulated Media for Ammonia Removal)

  • 정미영;남궁형규;송지현;황선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06-310
    • /
    • 2009
  • Packed-bed reactor for removing ammonia was tested at different loading rates. Nitrifiers for ammonia removing was encapsulated in gel media which consisted of polyethlene glycol, alginate and activated carbon. The removal efficiency was nearly 100% when ammonia loading was $12g/m^3/hr$, and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y (EC) achieved on this study was $18g/m^3/hr$. The initial microbial portion of nitrifiers in the media was about 82% and it was increased to more than 90% at the end of the operation. Short-term shock loading test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stability of the media. The inlet loading rates were varied from 2 to $20g/m^3/hr$. The packed-bed reactor overcame the shock loading i.e. removal efficiency recovered rapidly from about 80% to almost 100% within 6 hrs. The results of Live/Dead cell test showed that nitrifiers maintained there activity in the encapsulated media during the test and also against ammonia shock 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