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TP1B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Euglena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및 생리활성 분석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gracilis Extracts)

  • 유선녕;박보배;김지원;황유림;김상헌;김선아;이태호;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compound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Euglena gracilis를 hot water로 추출하고(HWE), 그 잔존물을 methanol로 추출(HWME)한 후,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을 측정하였다.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서 HWE 처리로 IL-1β와 TNF-α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되는 IL-6와 TNF-α 생성이 HW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α-glucosidas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 tyrosinase, xanthine oxidase (XO),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등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E. gracilis HWE 추출물에서는 α-glucosidase, tyrosinase, ACE에서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으나, HWME 추출물에서는 PTP1B와 XO에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E.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활성 뿐 만 아니라 당뇨와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통해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및 α-Glucosidase와 PTP1B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Glucosidase and PTP1B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and Fractions)

  • 황성우;이훈연;차지윤;김보람;박민;이보리;문광현;이정호;김대근;김욱;정경옥;이영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5-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화과에 속하는 Chrysanthemum indicum L.(CI)의 70% EtOH 추출물 및 분획물(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및 H2O)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ABTS 및 superoxide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생리활성 평가는 ${\alpha}$-glucosidase와 PTP1B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I 70% EtOH 추출물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0.20 mg 및 31.58 m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러 분획물 중 EA 분획물이 폴리페놀(87.87 mg)과 플라보노이드(65.12 m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EA 분획물의 DPPH, ABTS 및 SOD 소거능은 각각 93.84%, 93.38% 및 84.68%의 억제를 나타냈다. EA 분획물은 70% EtOH 추출물 및 다른 분획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EA 분획물($20{\mu}g/mL$)의 ${\alpha}$-glucosidase 및 PTP1B 억제 결과는 다른 시료에 비해 각각 30.29% 및 99.24%의 가장 높은 억제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감국의 EA 분획물이 70% EtOH 추출물 및 다른 분획물보다 많은 항산화 및 항당뇨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CI의 천연 항산화 물질 및 기능성 물질에 성능이 좋아 화장품 첨가제나 음료로도 개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erulate, an Active Component of Wheat Germ, Ameliorates Oxidative Stress-Induced PTK/PTP Imbalance and PP2A Inactivation

  • Koh, Eun Mi;Lee, Eun Kyeong;Song, Chi Hun;Song, Jeongah;Chung, Hae Young;Chae, Chang Hoon;Jung, Kyung J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333-341
    • /
    • 2018
  • Ferulate is a phenolic compound abundant in wheat germ and bran and has been investigated for its beneficial activiti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erulate against the oxidative stress-induced imbalance of protein tyrosine kinases (PTKs), protein tyrosine phosphatases (PTPs), and serine/threonine protein phosphatase 2A (PP2A), in connection with our previous finding that oxidative stress-induced imbalance of PTKs and PTPs is linked with proinflammatory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ctivation. To test the effects of ferulate on this process, we utilized two oxidative stress-induced inflammatory models. First, YPEN-1 cells were pretreated with ferulate for 1 hr prior to the administration of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AAPH). Second, 20-month-old Sprague-Dawley rats were fed ferulate for 10 days. After ferulate treatment, the activities of PTKs, PTPs, and PP2A were measured because these protein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promote $NF-{\kappa}B$ activat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in YPEN-1 cells, ferulate effectively suppressed AAPH-induced increases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F-{\kappa}B$ activity, as well as AAPH-induced PTK activation. Furthermore, ferulate also inhibited AAPH-induced PTP and PP2A inactivation. In the aged kidney model, ferulate suppressed aging-induced activation of PTKs and ameliorated aging-induced inactivation of PTPs and PP2A. Thus, herein we demonstrated that ferulate could modulate PTK/PTP balance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inactivation of PTPs and PP2A, which is closely linked with $NF-{\kappa}B$ acti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bility of ferulate to modulate oxidative stress-related inflammatory processes is established, which suggests that this compound could act as a novel therapeutic agent.

펨토셀 기지국 동기 획득을 위한 AGNSS-Packet Timing 하이브리드 표준화 (A standardization of AGNSS-Packet Timing Hybrid for a Synchronization of Femtocell)

  • 김정훈;이지훈;신준효;정석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611-1622
    • /
    • 2011
  • 동기 획득은 펨토셀 기지국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가져야 할 주요 기술적 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펨토셀 기지국의 경우는 설치되는 환경적 특수성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첫째 펨토셀 기지국이 위치하는 실내 환경에서의 전파 감쇄와 상호 간섭등의 제약 요인이다. 둘째, 펨토셀 기지국이 연결되는 백홀 네트워크에 따른 제약이 있다. 이 밖에도, 무선 연결성을 제공하는 다른 기술의 AP와 같이 기술 구성에 있어서 저 비용이 요구되는 기술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에서 위치 측위와 타이밍 획득을 위한 기술들을 살펴보고 AGNSS-Packet Timing 하이브리드 기술의 필요성 및 진행 중인 관련 표준화와 연관된 내용을 다루도록 한다.

Aspirin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COX-2 expression and PGE2 production in porcine alveolar macrophages by modulating protein kinase C an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activity

  • Duan, Yuzhong;Chen, Fanglin;Zhang, Anmei;Zhu, Bo;Sun, Jianguo;Xie, Qichao;Chen, Zhengtang
    • BMB Reports
    • /
    • 제47권1호
    • /
    • pp.45-50
    • /
    • 2014
  • Aspirin has been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inhibiting COX-2 and $PGE_2$ in Alveolar macrophages (AMs). However, the mechanisms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pretreatment with aspirin inhibited LPS-induced COX-2 and$PGE_2$ upregulation, $I{\kappa}B{\alpha}$ degradation, NF-${\kappa}B$ activation and the increase of PKC activity, but elevated LPS-induced the decrease of PTP activity. The PKC inhibitor calphostin C dramatically reduced the COX-2 mRNA and $PGE_2$ levels, but the PTP inhibitor peroxovanadium (POV)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X-2 mRNA and$PGE_2$ levels. Furthermore, the PTP inhibitor mi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aspirin on COX-2 and$PGE_2$ upregulation and NF-${\kappa}B$ activation, whereas the PKC inhibitor enhanced the inhibitory effects of aspirin on the production of COX-2 and$PGE_2$. Our data indicate a novel mechanism by which aspirin acts as a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 in alveolus macrophages and ALI.

상황버섯,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의 비만 및 당뇨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Rice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on Obesity and Diabetes)

  • 김해섭;유제헌;조영철;이영재;박인배;박정욱;정명아;김영숙;김선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29-10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PL)과 상황버섯균사체를 접종시켜 20일간 배양한 상황버섯균사체배양쌀 추출물(PLM)의 항당뇨와 항비만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화유도 후 8일째에 Oil Red O 염색을 통해 세포 내 형성된 lipid droplet을 isopropanol에 용출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PL 3, 30, 100, $300{\mu}g/mL$에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농도 의존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CETP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PL $300{\mu}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100{\mu}g/mL$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M $300{\mu}g/mL$에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인슐린에 의한 세포내 신호전달에 있어서 인슐린의 효과를 저해하는 PTP1B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PL은 10, 30, $100{\mu}g/mL$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 $1,000{\mu}g/mL$에 있어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PLM은 대조군에 비하여 PLM $1{\mu}g/mL$에서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의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으며 PLM 3, 10, 30, 100, 300, $1,000{\mu}g/mL$에 있어서는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고지방식이에 PL과 PLM을 28일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총콜레스테롤은 HFD군에 비해 PL, PLM군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고(P<0.05), 혈청의 중성지방(triglyceride) 농도는 HFD군에 비해 PL군, PLM군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의 HDL-cholesterol은 HFD처리군보다 시료처리군에서 증가를 보였으며, PLM처리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LDL-cholesterol은 HFD군에 비해 PL군, PLM군에서 감소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상황버섯과 상황버섯균사체 배양쌀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PL과 PLM이 혈청 지질 조정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항비만, 항당뇨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에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호 지하부와 지상부 추출물의 주요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Main Compound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Roots and Aerial Parts Extracts)

  • 김솔;김하림;김상준;김선영
    • 생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77-83
    • /
    • 2021
  •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diabetes have been increased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Anthriscus sylvestris(L.) Hoffm and its main compounds. It was divided into root(R) and aerial part(AP) for comparative analysi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r in AP extract, but nodakenin content was higher in R(1169.13 ± 6.00 mg/g)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er in AP extract. To compare antidiabetic efficacy, we analyzed the effects of R and AP extracts on ɑ-glucosidase inhibition(AGI), dipeptidyl peptidase-4(DPP-4) an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PTP)1B activity. R and AP extracts showed similar effects on AGI and DPP-4 activity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there was no effect on PTP1B activation. Glucose uptake(139.51 ± 3.19%) in 3T3-L1 cells was more effective in the AP extract-treated group than the positive control, rosiglitazone, group. Both R and AP extracts were effective in protecting against pancreatic beta cell damage caused by hyperglycem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hriscus sylvestris(L.) Hoffm. could be used as a candidate for diabetes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