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 patien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 내원자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 우울 증상 및 신체질환 이환율 (The Stress Perception, Depressive Symptoms and Medical Comorbidity in Healthcare Center)

  • 심인보;조숙행;함병주;한창수;정현강;고영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1권1호
    • /
    • pp.27-43
    • /
    • 2013
  • 연구 목적 일반 인구에서 스트레스, 우울 정도, 신체질환 간의 관계와 우울증의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일반인 1,764명에서 인구역학 자료를 조사하고 PSS와 PHQ-9 설문지를 시행하였다. 스트레스군, 우울군, 신체질환군을 구분하여 스트레스, 우울, 신체질환 간의 상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1,476명의 연구 대상자 중 198명(11.8%)이 우울군에 해당되었으며, 평균 PSS 점수(23.19점)와 평균 PHQ-9 점수(12.95점) 모두 정상군에 비해 높았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질환이 많을수록 우울 점수도 증가하였다. 여성, 최근의 건강이상으로 내원한 사람, 불규칙적인 운동과 흡연력, 협심증과 뇌경색 기왕력이 있는 군에서는 우울증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PSS, PHQ-9은 건강검진센터에서 정신건강 선별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유용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신체질환이 많을수록 우울증의 위험도가 증가하므로, 신체질환이 동반되었거나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을 지닌 개인에서 정신질환 선별검사가 필요하겠다.

  • PDF

Evaluation of Women with Myofascial Abdominal Syndrome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Mitidieri, Andreia;Gurian, Maria Beatriz;Silva, Ana Paula;Tawasha, Kalil;Poli-Neto, Omero;Nogueira, Antonio;Reis, Francisco;Rosa-e-Silva, Julio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31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used semiology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to investigate vital energy (Qi) behavior in women with abdominal myofascial pain syndrome (AMPS). Methods: Fifty women diagnosed with chronic pelvic pain (CPP) secondary to AMPS were evaluated by using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theories of "yin-yang," "zang-fu", and "five elements". We assessed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illness: symptomatology; specific location of myofascial trigger points (MTrPs); onset, cause, duration and frequency of symptoms; and patient and family history. The patients tongues, lips, skin colors, and tones of speech were examined. Patients were questioned on various aspects related to breathing, sweating, sleep quality, emotions, and preferences related to color, food, flavors, and weather or seasons. Thirst,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excreta (feces and urine), menstrual cycle, the five senses, and characteristic pain symptoms related to headache, musculoskeletal pain, abdomen, and chest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Patients were between 22 and 56 years old, and most were married (78%), possessed a elementary school (66%), and had one or two children (76%). The mean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were 26.86 kg/cm2 (range: 17.7 - 39.0) and 32.4% (range: 10.7 - 45.7), respectively. A large majority of women (96%) exhibited alterations in the kidney meridian, and 98% had an altered gallbladder meridian. We observed major changes in the kidney and the gallbladder Qi meridians in 76% and 62% of patients, respectively. Five of the twelve meridians analyzed exhibited Qi patterns similar to pelvic innervation Qi and meridians, indicating that the paths of some of these meridians were directly related to innervation of the pelvic floor and abdominal region. Conclusion: The women in this study showed changes in the behavior of the energy meridians, and the paths of some of the meridians were directly related to innervation of the pelvic floor and abdominal region.

영아기 심실중격결손의 개심술 (Open Heart Surgery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Infancy)

  • 조준용;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71-277
    • /
    • 1996
  • 영아기에는 수술에 따른 위험 도가 높기 때문에 가능하면 수술을 피 해야 하지만, 제한된 경우에서 비 교적 큰 심실중격결손을 가진 영아에서도 개심술을 시행하게 된다. 따라서, 난치성 울혈성 심부전, 폐동 맥고혈압, 발육부진, 그리고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개심술을 시행하게 된다.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31례의 영아 심실중격결손환아에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연령분포는 6개월에서 12개월까지 였고 평균연령은 9.2개 월이 었다. 31례중 남자가 23례 였고, 여자가 8례 였다. 평균 체중은 7.4킬로그램이 었다. 심실중격 결손의 가장 흔한 형 태는 막상주위 형 (64.5%)이었으며, 동반 심기 형은 17례 (55.8%)에서 있었다. 승모판 폐쇄부전이 가장 많았으며 (16.1%), 동맥관개존이 그 다음이 었다 (12.8%). 심 도자검 사결과에서 폐-체 혈류량비, 폐-체 혈압비, 폐-체저 항비는 각각 2.1∼3.0, 0.70이상, 0. 1∼0.25사이 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적응증에서는 폐동맥고혈압이 20례, 울혈성 심부전이 3례,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이 10El,그리고 발육부전이 14례로 나타났다. 가장혼한심장절개법과수술방법은우심방 절개 (58%)와 다크론패취봉합(94%)이 었다. 술후 합병증은 10례 (32%)에서 있었으며, 사망률은 12.9% (4례)이었다 사망례는8개월, 8킬로그램이하의 영아에서 있었다.

  • PDF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Weekly Docetaxel, Cisplatin, and 5-Fluorouracil for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ECOG Performance Scores of 1 and 2

  • Turkeli, Mehmet;Aldemir, Mehmet Naci;Cayir, Kerim;Simsek, Melih;Bilici, Mehmet;Tekin, Salim Basol;Yildirim, Nilgun;Bilen, Nurhan;Makas, Ibrahi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985-989
    • /
    • 2015
  • Background: Docetaxel, cisplatin, 5-fluorouracil (DCF) given every three weeks is an effective, but palliative regimen and significantly toxic especially in patients who have a low performance score. Here,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a weekly formulation of DCF in locally advanced and metastatic gastric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64 gastric cancer patients (13 locally advanced and 51 metastatic) whose ECOG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PS) was 1-2 and who were treated with at least two cycles of weekly DCF protocol as first-line treatment were included retrospectively. The weekly DCF protocol included $25mg/m^2$ docetaxel, $25mg/m^2$ cisplatin, and 24 hours infusion of $750mg/m^2$ 5-fluorouracil, repeated every week. Disease and patient characteristics, prognostic factors, treatment response, grade 3-4 toxicity related to treatment,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evaluated. Results: Of the patients, 41 were male and 23 were female; the median age was 63 (29-82) years. Forty-one patients were ECOG-1 and 23 were ECOG-2. Of the total, 81.2% received at least three cycles of chemotherapy. Partial response was observed in 28.1% and stabilization in 29.7%. Overall, the disease was controlled in 57.8% whereas progression was noted in 42.2%. The median time to progression was 4 months (95%CI, 2.8-5.2 months) and median overall survival was 12 months (95%CI, 9.2-14.8 months). The evaluation of patients for grade 3-4 toxicity revealed that 10.9% had anemia, 7.8% had thrombocytopenia and 10.9% had neutropenia. Non-hematologic toxicity included renal toxicity (7.8%) and thrombosis (1.6%).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gastric cancer who were not candidates for DCF administered every-3-weeks, a weekly formulation of DCF demonstrated modest activity with minimal hematologic toxicity, suggesting that weekly DCF is a reasonable treatment option for such patients.

Conotruncal 기형 평가에서 전자선 단층 촬영 (EBT)의 정확성 (Evaluation of Conotruncal Anomalies by Electron Beam Tomography)

  • 최병욱;박영환;최병인;최재영;김민정;유석종;이종균;설준희;이승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290-300
    • /
    • 2000
  • Background: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EBT(Electron Beam Tomography) in the diagnosis of conotruncal anomaly and to determine whether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cardiac angiography. Material and Method: 20 patients(11M & 9F) with TOF(n=7, pulmonary atresia 2), DORV(n=7), complete TGV(n=4), & corrected TGV(n=2) were included. The age ranged from 7 days to 26 years(median 60 days). We analyzed the sequential chamber localization, the main surgical concenrn in each disease category (PA size, LVED volume and coronary artery pattern for TOF & pulmonary atresia, the LV mass, LVOT obstruction, coronary artery pattern for complete TGV, and type of VSD and TV-PV distance for DORV, etc) and other associated anomalies(e.g., VSD, arch anomalies, tracheal stenosis, etc). Those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chocardiography(n=19), angiography (n=9), and surgery(n=11). The interval between EBT and echocardiography/angiography was within 20/11 days, respectively except for an angiography in a patient with corrected TGV (48 days). Result: EBT correctly diagnosed the basic components of conotruncal anomalies in all subjects, compared to echocardiography, angiography or surgery. These included the presence, type and size of VSD(n=20), pulmonic/LV outflow tract stenosis(n=15/2), relation of great arteries and the pattern of the proximal epicardial coronary arteries(16 out of 20). EBT proved to be accurate in quantitation of the intrapericardial and hilar pulmonary arterial dimension and showed high correlation and no difference compared with echocardiography, angiography, or surgery(p>0.05) except for left pulmonary arterial & ascending arterial dimension by echocardiography. LVED volume in seven TOF(no difference: p>0.05 & high correlation: r=0.996 with echocardiography), and LV mass in 4 complete TGV were obtained. Additionally, EBT enabled the cdiagnosis of subjlottic tracheal stenosis and tracheal bronchus in 1 respectively. Some peripheral PA stenosis were not detected by echocardiography, while echocardiography appeared to be slightly more accurate than EBT in detecing ASD or PDA. Conclusion: EBT can be a non-invasive and accurate modality of for the evaluation of most anatomical alteration including peripheral PS or interruption in patients with conotruncal anomalies. Combined with echocardiography, EBT study provides sufficient information for the palliative or total repair of anomalies.

  • PDF

최소압력보조 수준에서 추가적 1시간 T-piece 시도가 이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al 1 hour T-piece Trial on Weaning Outcome to the Patients at Minimum Pressure Support)

  • 홍상범;고윤석;임채만;안종준;박완;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13-822
    • /
    • 1998
  • 연구배경: 압력보조환기로 이탈시 발판 시기는 최소보조압력수준에서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 그러나 임상에서는 압력보조환기법에 의한 이탈시 기관내 관의 발관을 최소압력보조법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서도 기관내 관의 재삽관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때로는 T-piece 시도를 1 시간 더한 뒤 기관내 관을 제거하는 방법도 시행되고 있다. 이는 환자의 호흡예비력을 좀더 확실하게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관내 관 자체가 높은 기도 저항을 유발하므로 환자의 호흡 일이 증대되어 오히려 이탈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본 저자들은 최소압력보조치에서 1 시간 T-piece 추가가 이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5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서울중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이탈을 시도한 44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탈 대상이 되는 환자는 모두 압력보조환기방법으로 이탈을 진행하고 압력보조수준이 최소압력보조치에 이르면 환자를 무작위로 실험군 (1시간 T-piece 시도)과 대조군(즉시 발관)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전체 42회 이탈의 최소압력보조치는 7.6 [${\pm}1.9$, (4-13)] cm $H_2O$였다. 1. 환자들의 기저 상태 : 두 군간 환자들의 총 기계환기 시간, APACHE III 접수, 영양지표, 분당 호흡수, 얕은 숨지수, 호흡, 일 등에서 차이가 없었다. 2. 두 군간 성공률 및 호흡역학의 차이 : 실험군이 55%, 대조군이 70%로 즉시 발관한 군이 성공률이 높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p>0.05). 재삽관률도 실험군이 18%, 대조군이 20%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에서 1시간 T-piece 시도후 일회호흡 용적, 분당 호흡수, 얕은 숨지수, 호흡 일에서 악화된 소견을 보였으며(P<0.05), 특히 실험군내의 실패군에서는 일회호흡용적, 호흡 일, 압력시간곱의 악화가 심하였다 (P<0.05). 3. 성공군과 실패군 분석 : 전체 성공군에서 총 기계환기 시간이 유의있게 낮았고 ($246{\pm}195$ 시간 대 $407{\pm}248$ 시간, P<0.05), 일회호흡용적은 유의하게 높았다 ($0.43{\pm}0.11$ L 대 $0.35{\pm}0.10$ L). 결 론: 이상의 결과로서 최소압력보조치에서 1 시간 T-piece 추가는 환자의 호흡 일을 증가시키며 이탈 성공률에 있어 최소압력보조치에서 즉시 발관하는 방법에 비하여 차이가 없으므로 압력보조환기 양식으로 이탈을 시도할 때는 최소압력보조치에서 즉시 발관하는 것이 나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계 판막을 이용한 라스텔리 수술의 장기 성적 (Long Term Results of Rastelli Operation with a Mechanical Valve)

  • 최세훈;김관창;곽재건;김창영;이정렬;김용진;노준량;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00-905
    • /
    • 2006
  • 배경: 선천성 심장병에서 라스텔리 수술은 일반적으로 동종 혹은 이종의 조직판막을 이용하게 되며 이 경우 장기적으로 재수술이 요구된다. 반면 기계판막을 이용하여 라스텔리 수술은 보고가 많지 않으며 이번 연구는 이들 환자에서의 장기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2년 7월까지 기계판막을 이용한 라스텔리 수술을 받은 20명의 환자 중 조기 사망 1명을 제외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저질환으로는 교정된 대혈관전위증 4예, 대혈관전위증 2예,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폐동맥폐쇄증 9예, 총동맥간 2예,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에 동반된 폐동맥협착증 2예였다. 수술 당시의 평균 연령은 $4.6{\pm}3.4$년이며, 남녀비는 1.11:1이었다. 사용한 판막으로는 Carbomedics 16예, Bjork-Shiley 3예였으며 평균 크기는 $17{\pm}2mm$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2.8{\pm}2.7$년이었다. 결과: 19명 중 15명은 판막 도관에 대한 재수술을 받았으며,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5.3{\pm}4.7$년이었다. 재수술 시에는 전부 조직판막을 사용하였다. 5 yr freedom from reoperation은 53%, 10 yr freedom from reoperation은 37%였다. 항응고 치료는 와파린과 아스피린, 다이피리다몰을 사용하였으며 PT INR수준은 1.5에서 2.0으로 유지하였고, 심각한 수준의 출혈성 부작용이나 색전에 의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술 후 3년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의 판막도관의 실패원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3년 이전에 재수술을 받은 환자군(총 6예)을 분석하였을 때, 전부에서 판막 자체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었으며, 그 중 3예에서는 혈전에 의한 움직임 장애, 3예에서는 pannus 또는 fibromyxoid plaque에 의한 움직임 장애였다. 반면, 3년 이후에 재수술을 시행받은 9예에서는 1예를 제외하고 전부에서 도관 협착이 있었으며 판막 움직임은 정상이었다. 결론: 기계판막을 이용하여 라스텔리 수술의 경우 장기 성적을 좋게 하기 위해서 초기에는 엄격한 항응고 치료가 요구되며 장기적으로는 도관재질의 개선을 요구된다. 일부 환자에서는 10년 이상 특별한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였다.

말기암환자에서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생존기간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 and Survival in Terminally III Cancer Patients)

  • 최선영;최윤선;황인철;이준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2호
    • /
    • pp.120-127
    • /
    • 2015
  • 목적: 국내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혈중 vitamin D 농도를 측정하고,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확인해 본다. 방법: 2012년 5월부터 15개월 동안, 국내 일개 병원의 말기암환자 9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시행하였다. Vitamin D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vitamin D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수 분석으로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7.06{\pm}13.77$세였고, 모든 대상자가 ECOG PS 3점 이상이었으며 혈중25(OH)D 농도는 평균 $8.60{\pm}7.16ng/ml$였다. 3명(3.1%)만이 vitamin D 충분상태(혈중 25(OH)D 농도${\geq}30ng/ml$)였으며, 5명은 vitamin D 상대적결핍상태(혈중 25(OH) 농도 20~30 ng/ml)였고, 13명(13.5%)은 vitamin D 결핍(혈중 25(OH)D 농도 10~20 ng/ml), 75명(78.1%)은 vitamin D 중증결핍상태(혈중 25(OH)D<10 ng/ml) 였다.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1.2 mg/dl 이상인 경우 vitamin D 중증결핍과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OR=5.041; P=0.039).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높을수록 혈중 vitamin D 농도가 낮았으며, 고빌리루빈혈증인 환자는 vitamin D 중증결핍에 속할 위험이 더 크고(OR=18.476, P<0.05), 중앙생존기간도 유의하게 짧았다. Vitamin D 중증결핍인 경우 추정된 중앙생존기간은 짧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다변량 분석결과에서 vitamin D 중증결핍은 사망의 위험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말기암환자에서 혈중 vitamin D 결핍은 매우 심각하였으나, vitamin D 중증결핍이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