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PITATION

검색결과 6,960건 처리시간 0.031초

우리나라 사계절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Changes in Seasonal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최광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8-1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40년간(1973~2012) 우리나라 기상청 산하 61개 관측지점의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1~5일 누적 최대 강수량에서 추출한 각 계절별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 공간적 발생 패턴과 변화 양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계절 중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 자체는 여름철에 가장 크지만, 계절 강수량 증감에 따른 극한강수현상 규모 변화민감도는 가을철에 더 높게 나타난다. 장기간 시계열에 나타난 선형 추세 분석에 따르면, 1~5일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는 동일하게 사계절 중 여름철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 특히, 경기도와 강원영서,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여름철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규모가 크고 뚜렷하게 나타나고, 1일에서 5일로 누적 기간이 길수록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경향은 이들 지역이외에 소백산맥 주변지역에서도 관찰된다.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이러한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 증가추세는 일부 관측지점에서는 겨울철에도 1~2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한편, 극한강수량이 계절 강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추세를 분석해보면, 사계절 중 겨울철에 증가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은 여름철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의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 공간적 변화에도 대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가리킨다.

  • PDF

고창 지점의 강수량계 설치 환경에 따른 겨울철 강수량 관측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Winter Precipitation by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for the Weighing Precipitation Gauge in Gochang)

  • 김병택;황성은;이영태;신승숙;김기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14-523
    • /
    • 2021
  • 고창 표준기상관측소(Gochang Standard Weather Observatory, GSWO)에서 3년간(2014-2016년) 관측한 겨울철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겨울철 관측환경에 따른 강수량 관측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치환경이 다른 강수량계 4종인 NS(No Shield), SA(Single Alter), DFIR(Double Fence Intercomparison Reference), PG(Pit Gauge)를 사용하여, DFIR을 기준으로 누적 강수량 차이, 강수 유형별 특성, 풍속 변화에 따른 수집효율을 분석하였다. 강수 유형은 고창 종관기상관측장비(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의 기온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강우, 혼합 강수, 강설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겨울철 누적 강수량은 SA, NS, PG 순으로 DFIR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통계 분석 결과에서는 SA가 DFIR과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겨울철 강수량 관측에서는 SA가 기준 강수량계와 가장 유사하게 관측되었으며, PG는 겨울철 관측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점 강수량과 내삽기법을 이용한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의 오차 분석 (Error analysis of areal mean precipitation estimation using ground gauge precipitation and interpolation method)

  • 황석환;강나래;윤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053-1064
    • /
    • 2022
  • 현행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 방법인 티센 방법은 정확한 유역평균 강수량 산정에 있어 심각한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 강수량계의 관측 정확도 외에, 강수량계 배치와 호우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도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유역이 작고 관측소 밀도가 희박한 경우 시뮬레이션 및 관측 사상 모두에서 티센 방법은 첨두 전후로 10분 사이에 유역평균 강수량이 계속 급격히 증감이 반복되는 특이한 경향 보였다. 그리고 티센 유역평균 강수량은 첨두 시점이 강우레이더와 다르게 나타났다. 유역이 작지만 관측소 밀도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티센 방법에 의해 톱니모양의 과대 첨두치의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고 시간에 따른 변동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강우레이더 관측치와 지상 강수량계 관측치 유역평균 강수량 사이에 약 10분 정도의 연속적인 시차가 발생하였다. 강우레이더 유역평균 강수량의 지상보정 효과를 검토한 결과, 보정 후 면적평균 강수량이 보정 전 면적평균 강수량에 비해 오히려 상관이 낮게 나타나, 현행 강우레이더 지상보정 알고리즘 보정 효과가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화가 강수사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Analysis of Precipitation Events According to an Urbanization)

  • 오태석;문영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4B호
    • /
    • pp.413-427
    • /
    • 2010
  • 도시화란 급격한 인구의 증가와 산업화를 의미하며, 도시화로 인해서 수문학적 물순환과정은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강수사상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강수사상은 도시화의 효과 이외에도 여러 기후학적인 인자와 기상학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한반도의 여러 지점에서 관측된 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대상자료는 연강수량, 지속기간 1일최대강수량, 강수일수, 10 mm 이상 강수일수, 80 mm 이상 강수일수, 계절별 강수량 및 계절별 강수일수이다. 분석방법은 군집분석을 통해 강수특성이 비슷한 4개의 군집을 구분하여, 군집별로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서 발생한 강수사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도시화 지점과 비도시화 지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호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80 mm 이상 강수일수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시간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수량을 산정하고, 지속시간별 재현기간별 확률강수량을 초과하는 강우사상을 분석하였다. 도시지역이 비도시지역에 비해서 수공구조물 설계에 이용되는 확률강수량을 초과하는 횟수가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Washout Removal Efficiencies of Major Air Pollutants by Precipitation

  • Kim, Dong-Sool;Lim, Deuk-Yong;Heo, Jeong-S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8권E2호
    • /
    • pp.97-10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washout removal efficiencies of criteria air pollutants such as SO$_2$, TSP, PM10, CO, NO$_2$, and O$_3$corresponding to the amounts and durations of precipitation. The removal patters by washout were studied with air pollutants data and the corresponding precipitation data in Seoul, Korea during the periods of 1990 to 1999. In addition, washout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our seasons and four time Bones, i.e., night,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In this study, natures of air pollutants by sequential precipitation were also intensively studied by examining th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removal efficiencies and the amounts and durations of precipitation for each pollu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O$_2$, TSP, and O$_3$were rapidly removed by initial precipitation; however, NO$_2$was slowly removed 2-hour after precipitation. Both CO and PM10 were weakly removed by washout and their removal patters showed to be irregular.

도시화가 도시지역 강우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urbanization effect to a precipitation pattern in a urban area)

  • 오태석;안재현;문영일;정민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94-899
    • /
    • 2005
  •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시인 서울특별시 및 6대 광역시의 1973년부터 2003년까지의 31개년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량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강우량의 변화는 도시화 이외에도 엘니뇨 등의 기상 변화와 각종 기상 이변에도 큰 영향을 받으므로 도시 지역과 비교할 수 있는 비도시 지역을 선정하여 도시 지역의 강우량 변화와 비도시지역의 강우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도시 지역과 비도시 지역의 연강우량, 여름 강우량, 지속 시간 1시간 및 24시간 연최대 강우량에 대해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시 지역에서의 여름($6\~9$월) 강우량의 증가가 비도시 지역에 비해 두드러졌다.

  • PDF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강수특성(1954-2007)의 변화시점 및 변화유형 분석 (Change-point and Change Pattern of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using Bayesian Method over South Korea from 1954 to 2007)

  • 김찬수;서명석
    • 대기
    • /
    • 제19권2호
    • /
    • pp.199-211
    • /
    • 2009
  •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multiple change-point and change pattern in the 54 years (1954-2007) time series of the annual and the heavy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mount, days and intensity) averaged over South Korea. A Bayesian approach is used for detecting of mean and/or variance changes in a sequence of independent univariate normal observations. Using non-informative priors for the parameters, the Bayesian model selection is performed by the posterior probability through the intrinsic Bayes factor of Berger and Pericchi (1996).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s in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hange-point, the posterior probability and 90% highest posterior density credible intervals a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annual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amount, days and intensity) and the heavy precipitation intensity. On the other h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change has occurred around 1996 or 1997 in the heavy precipitation days and amount. The heavy precipitation amount and days have increased after the change-point but no changes in the variances.

윈드프로파일러 관측 자료를 이용한 장마철 강수 형태 분류와 관련된 종관장의 특성 분석: 2003년-2005년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Type Using the Wind Profiler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the Associated Synoptic Conditions: Years 2003-2005)

  • 원혜영;조천호;백선균
    • 대기
    • /
    • 제16권3호
    • /
    • pp.235-246
    • /
    • 2006
  • Remote sensing techniques using satellites or the scanning weather radars depend mostly on the presence of clouds or precipitation, and leave the extensive regions of clear air unobserved. But wind profilers provide the most direct measurements of mesoscale vertical air motion in the troposphere, even in the context of heavy precipitation. In this paper, the precipitation events during the Changma period was classified into 4 precipitation types - stratiform, mixed stratiform/ convective, deep convective, and shallow convective. The parameters for the classification of analysis are the vertical structure of reflectivity, Doppler velocity, and spectral width measured with the wind profiler at Haenam for a three-year period (2003-2005). In addition, the synoptic fields and total amount of precipit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Global Final Analyses (FNL) data and the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Project (GPCP) data. During the Changma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the stratiform type was dominant under the moist-neutral atmosphere in 2003, whereas the deep convective type was under the moist unstable condition in 2004. The stratiform type was no less popular than the deep convective type among four seasons because the moist neutral layer was formed by the convergence between the upper-level jet and the low-level jet, and by the moisture transport along the western rim of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anticyclone.

Sensitivity of India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to Parameterization Schemes

  • Singh, G.P.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10
  • The Indian summer monsoon behaved an abnormal way in 2002 and as a result there was a large deficiency in precipitation (especially in July) over a large part of the Indian subcontinent. For the study of deficient monsoon of 2002, a recent version of the NCAR regional climate model (RegCM3) has been used to examine the important features of summer monsoon circulations and precipitation during 2002. The main characteristics of wind fields at lower level (850 hPa) and upper level (200 hPa) and precipitation simulated with the RegCM3 over the Indian subcontinent are studied using different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s namely, mass flux schemes, a simplified Kuo-type scheme and Emanuel (EMU) scheme. The monsoon circulation features simulated by RegCM3 are compared with the NCEP/NCAR reanalysis and simulated precipitation is validated against observation from the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Centre (GPCC). Validation of the wind fields at lower and upper levels show that the use of Arakawa and Schubert (AS) closure in Grell convection scheme, a Kuo type and Emanuel schemes produces results close to the NCEP/NCAR reanalysis. Similarly, precipitation simulated with RegCM3 over different homogeneous zones of India with the AS closure in Grell is more close to the corresponding observed monthly and seasonal values. RegcM3 simulation also captur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eficient rainfall in 2002.

  • PDF

낙동강유역의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in Nakdong River Watershed)

  • 양정석;안태연
    • 지질공학
    • /
    • 제17권4호
    • /
    • pp.507-510
    • /
    • 2007
  • 지하수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낙동강 유역의 여러 관측소 자료를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강우자료와 강우관측소의 하류 방향으로 인접한 지하수위 관측소의 지하수위자료를 비교분석하였고 강우자료를 여러 범위의 기간 동안 이동평균하여 지하수위자료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최대상관계수를 가지는 이동평균기간을 구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강우와 지하수위의 분석에서 대체로 12월에서 4월까지 갈수기에서 지하수위의 현저한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고 지하수 위와 강우이동평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일에서 80일 범위의 이동평균값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