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C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5초

Lysine 결핍에 따른 섭식반응과 뇌의 역할 (The Role of Brain and Feeding Response on Lysine Devoid Diet)

  • 김창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21-232
    • /
    • 2002
  • 시험은 사료내 필수아미노산 결핍이 rat의 사료섭취량과 혈액 및 뇌내 전이상엽피질(PPC)의 유리아미노산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뇌내 섭식조절 메카니즘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모든 사료의 질소원은 순수 아미노산 혼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질소수준은 15%로 하였다. 사료는 하루 6시간 동안 섭취하도록 훈련을 시켰으며(17:00-21:00, meal feeding method),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은 사료급여 7일째부터 매시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사료섭취량과 증체량을 사료급여 후 매시간 측정하였으며, 혈액 및 PPC의 아미노산 농도는 사료급여 11일째의 0, 1, 2, 3, 6시간 후에 관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complete diet에서 11일째에 lysine 결핍사료로 교체하여 사료섭취량, 증체량 및 혈액 및 PPC의 아미노산 농도는 실험 1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complete diet 급여에 따른 사료섭취량은 7일째부터 일일섭취량(15g/day)을 충족하였다. 또한 11일째의 혈액 및 뇌의 유리 아미노산 농도는 사료급여 한시간 후에 증가하였으나, 그 후에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반면, 실험 2에서는 complete diet에서 lysine 결핍사료로 교체함에 따른 사료섭취량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P$<$0.05), 혈액 및 PPC의 유리 lysine 농도는 lysine 결핍사료 급여 2시간 후에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누적 사료섭취량은 사료급여 4시간째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아미노산 결핍사료 섭취에 따른 혈액과 PPC의 해당 아미노산의 농도 감소는 사료섭취량의 감소에 비하여 빠르게 반응하였고,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사료중 아미노산 결핍에 반응하는 부위의 일부분으로 뇌내 PPC가 직접적인 관여를 한다고 판단된다.

재생골재 및 섬유 혼입률에 따른 포장용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for Permeability Pavement with Recycled Aggregate and Fiber Volume Fraction)

  • 성찬용;김영익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1호
    • /
    • pp.69-77
    • /
    • 2010
  • Research on permeable pavement like asphalt and concrete pavement with porous structure has been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need such as reduction of run off and flood, and increase and purification of underwater resour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permeability, strengths and durability of permeable polymer concrete (PPC) using recycled aggregate that is obtained from waste concrete. Also, 6mm length of polypropylene fiber was used to increase toughness and interlocking between aggregate and aggregate surrounded by binder. In the test results, regardless of kinds of aggregates and fiber contents,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of all types of PPC showed the higher than the criterion of porous concrete that is used in permeable pavement in Korea. Also, strengths of PPC with increase polypropylene fiber volume fraction showed slightly increased tendency due to increase binder with increase of fiber volume fraction. The weight reduction ratios for PPC after 300 cycles of freezing and thawing were in the range of 1.6~3.8 % and 2.2~5.6 %, respectively. The weight change ratio was very low regardless of the fiber volume fraction and aggregates. The weight reduction ratios of PPC with fiber and aggregate were in the range of 1.3~2.7 % and 2.2~3.2 % after 13 weeks and was very low regardless of the fiber volume fraction and aggregates.

Apoptosis of Human Hepatocarcinoma (HepG2) and Neuroblastoma (SK-N-SH) Cells Induced by Polysaccharides-Peptide Complexes Produced by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Cordyceps sphecocephala

  • Oh, Jung-Young;Baek, Yu-Mi;Kim, Sang-Woo;Hwang, Hye-Jin;Hwang, Hee-Sun;Lee, Sung-Hak;Yun, Jong-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512-519
    • /
    • 2008
  • Three different polysaccharide-peptide complexes (PPC, named as Fr-I, Fr-II, and Fr-III) were produced by submerged mycelial culture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Cordyceps sphecocephala, and their anticancer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human hepatocarcinoma (HepG2) and neuroblastoma (SK-N-SH) cells.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s of PPC on both HepG2 and SK-N-SH cells were achieved with Fr-I, whereas Fr-III with low molecular mass showed lower inhibition effects. Interestingly,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three fractions were increased after protease digestion, suggesting that the inhibitory effects resulted mainly from the carbohydrate moiety, at least in the case of Fr-II and Fr-III, of PPC. The results of DNA fragmentation in PPC-induced apoptotic cells were confirmed by both DNA ladder assay and comet assay. Our investigation also showed that PPC-induced apoptosis of both cancer cells was associated with intracellular events including DNA fragmentation, activation of caspase-3, and modulation of Bcl-2 and Bax. We conclude that PPC has potential as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both HepG2 and SK-N-SH cancer cells without any cytotoxicity against normal cells.

$A1_{0.15}$$Ga_{0.85}$N/GaN 박막의 광학적 특성 (Optical properties of the $A1_{0.15}$$Ga_{0.85}$N/GaN thin film)

  • 정상조;차옥환;서은경;김영실;신현길;조금재;남승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53-557
    • /
    • 1999
  • MOCVD로 성장된 $A1_x$$Ga_{1-x}$N/GaN 박막의 광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온에서 광발광(PL), 광전류)PC), 광단속에 의한 광권도도(PPC) 측정하였다. PL과 PC로 결정된 $A1_x$$Ga_{1-x}$N/GaN 박막의 광학적 에너지 간격은 3.7eV 이었다. PC측정 시 빛을 시료의 위쪽에서 조사시켰을 때에는 3.70, 3.40eV의 peak와 2.2eV 근방에서 broad한 peak가 관측되었다. 그러나 기판 쪽에서 빛을 조사시켰을 때의 PC 스펙트럼은 2.2eV 근방에서 broad한 peak와 3.43eV peak 만을 볼 수 있었다. PPC실험에서 관측된 photocurrent quenching과 비정상적인 PPC현상은 GaN 띠간격내에 형성된 전위나 vacancy 등의 결정결함 준위내에 전자들이 포획되고 오랫동안 포화되어 있다가 다시 방전되는 현상으로 보인다.

  • PDF

반추위 미생물이 가진 Phosphoenolpyruvate에서 Oxaloacetate 경로 조절기작의 대장균에서의 모사와 C4대사의 영향 (Imitation of Phosphoenolpyruvate to Oxaloacetate Pathway Regulation of Rumen Bacteria in Enteric Escherichia coli and Effect on C4 Metabolism)

  • 권영덕;권오희;이흥식;김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5-39
    • /
    • 2006
  • 높은 C4 대사활성을 보이는 반추위미생물이 가지는 포도당 발효대사 조절양식의 한가지를 대장균에서 모사하였다. 대장균은 glycolytic condition에서는 phosphoenolpyruvate(PEP) ${\leftrightarrow}$ oxaloacetate(OAA)간 반응을 phosphenolpyruvate carboxylase(PPC)에 의해, gluconeogenetic condition에서는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PCK)에 의해 촉매하도록 조절한다. 반면 반추위미생물은 glycolytic condition에서 PCK를 통하여 반응이 촉매된다. 이러한 조절양식의 차이점이 C4 대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며 ppc가 돌연변이되고 대신 인위적으로 PCK를 발현할 수 있는 대장균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PEP-OAA간 대사조절이 변이된 대장균 K12 ppc-/pck+는 야생형 K12보다 2.5배의 높은 C4대사활성을 보였다. 대장균에서의 C4 대사생리를 증가시키는 연구는 대사공학을 이용한 여러가지 유용물질(i.e. 숙신산, ALA)생산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한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Low Molecular-weight Poly (Propylene Carbonate)-Poly (Ethylene Glycol) Block Copolymers through $CO_2$/Propylene Oxide Copolymerization)

  • 이상환;;전종엽;이분열
    • 청정기술
    • /
    • 제17권3호
    • /
    • pp.244-249
    • /
    • 2011
  •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을 통하여 고분자 사슬 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공존하는 저분자량의 블록 공중 합체를 합성하였다. 고활성의 촉매를 사용한 이산화탄소/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 반응에 단말기로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분자량 조절제로 투입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단말기 한쪽 끝에만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EG-block-PPC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다이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지고, 단말기 양쪽 끝 모두 -OH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투입하였을 때는 PPC-block-PEG-block-PPC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제조된 블록 공중합체는 $^1H$-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구조 분석을 하였고 GPC를 통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Near-Infrared Photopolarimetry of Large Main Belt Asteroid - (4) Vesta

  • Bach, Yoonsoo P.;Ishiguro, Masateru;Takahashi, Jun;Naito, Hiroyuki;Kwon, Jungmi;Kuroda, Daisuke
    • 천문학회보
    • /
    • 제46권1호
    • /
    • pp.45.1-45.1
    • /
    • 2021
  • The polarization degree as a function of phase angle (the Sun-target-observer's angle), so-called the polarimetric phase curves (PPC), have provided priceless information on asteroids' albedos since B. Lyot (1929). Succeeding experimental works in 1970s have confirmed the Umow law: There is a universal and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lbedo and the PPC slope (slope of the tangential line at the zero of the PPC at phase angle ~ 20 degrees). Experiments in 1990s (ref [1]), on the other hand, have demonstrated that the negative branch of PPC is dependent on the size parameter (X ~ π * particle-size / wavelength), especially when X <~5. The change in particle size changed the minimum polarization degree, location of the minimum, and the width of the negative branch (called the inversion angle). From polarimetry[2] and spectroscopy[3], large asteroids are expected to be covered with fine (<~ 10 ㎛ size) particles due to the gravity. The size parameters are X ~ 30 at the optical wavelength (λ ~ 0.5 ㎛) and X ~ 10 in near-infrared (J, H, Ks bands; λ ~ 1.2-2.2 ㎛), if the representative particle size of 5 ㎛ is considered. Accordingly, the near-infrared polarimetry has a great potential to validate the idea in ref[1]. We conducted near-infrared photopolarimetry of the large asteroid (4) Vesta using the Nishiharima Infrared Camera (NIC) at Nishi-Harima Astronomical Observatory (NHAO). NIC allows simultaneous polarimetric measurements in J, H, and Ks bands, and thus the change of PPC is obtained for three different size parameters. As a result, we found a signature of the change in the negative branch in the PPC of asteroid (4) Vesta. We will introduce our observation and the results and give an interpretation of the regolith on Ves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