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AR${\alpha}$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31초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Agrimonia pilosa Ledeb. in 3T3-L1 Preadipocytes)

  • 이정아;안은경;홍성수;오좌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1-16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및 adipogenesis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출물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면서 농도별(50, 100 ${\mu}g/mL$)로 처리하였고, 그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켰다. 이 같은 활성에 대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PPAR${\gamma}$ 전사활성과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실험 결과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PPAR${\gamma}$ 전사 활성을 억제시켰고 PPAR${\gamma}$ 및 C/EBP${\alpha}$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adipokine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용아초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주요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효과가 있는 농도가 100 ${\mu}g/mL$로 천연물질로써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항비만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O-1 Induced by Cilostazol Protects Against TNF-${\alpha}$-associated Cytotoxicity via a PPAR-${\gamma}$-dependent Pathway in Human Endothelial Cells

  • Park, So-Youn;Bae, Jin-Ung;Hong, Ki-Whan;Kim, Chi-Da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5권2호
    • /
    • pp.83-88
    • /
    • 2011
  • A large body of evidence has indicated that induction of endogenous antioxidative proteins seems to be a reasonable strategy for delaying the progression of cell injury. In our previous study, cilostazol was found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the antioxidant enzyme heme oxygenase-1 (HO-1) in synovial cells. Thu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whether cilostazol is able to counteract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induced cell death in endothelial cells via the induction of HO-1 expression. We expos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to TNF-${\alpha}$ (50 ng/ml), with or without cilostazol ($10{\mu}M$). Pretreatment with cilostazol markedly reduced TNF-${\alpha}$-induced viability loss in the HUVECs, which was reversed by zinc protoporphyrine IX (ZnPP), an inhibitor of HO-1. Moreover, cilostazol increased HO-1 protein and mRNA expression. Cilostazol-induced HO-1 induction was markedly attenuated not only by ZnPP but also by copper-protoporphyrin IX (CuPP). In an assay measur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 transcription activity, cilostazol directly increased PPAR-${\gamma}$ transcriptional activity which was completely abolished by HO-1 inhibitor. Furthermore, increased PPAR-${\gamma}$ activity by cilostazol and rosiglitazone was completely abolished in cells transfected with HO-1 siRNA.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lostazol up-regulates HO-1 and protects cells against TNF-${\alpha}$-induced endothelial cytotoxicity via a PPAR-${\gamma}$-dependent pathway.

갈근황련황금탕 부탄올 추출물의 혈중에서의 지질 개선효과 (Blood lipid lowering effect of butanol extract from Galkun-Whanglyeon-Whanggum-Tang)

  • 이경호;김충환;이기형
    • 생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7-401
    • /
    • 2013
  • The Galkun-Whanglyeon-Whanggum-Tang, an officially standardized mixture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used in Korea and China, consists of Pueraria lobata, Scullellaria baicalensis, Coptis chinensis and Glycyrrhiza uralensis at a ratio of 6:9:3:2.4.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lowering lipid accumulation in blood by treatment of Galkun-Whanglyeon-Whanggum-Tang in Apo E(-/-) atherosclerotic animal model. ApoE/mice fed with 1.25% cholesterol, 7.5% cocoa butter and 0.5% sodium cholate diet were orally given vehicle or Galkun-Whanglyeon-Whanggum-Tang(10, 100 and 300 mg/kg/day) for 12 weeks. Serum levels of triglyceride(TG), total cholestrerol(TC), low-density lipoprotein(LDL)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analyzed, and PPAR-${\alpha}$ and PPAR-${\gamma}$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Galkun-Whanglyeon- Whanggum-Tang decreased serum levels of TG, TC and LDL, but not HDL in ApoE/mice. In parallel, Galkun-Whanglyeon-Whanggum-Tang treatment showed the increased activity of PPAR-${\alpha}$ and PPAR-${\gamma}$ in hepatocytes. In summary, Galkun-Whanglyeon-Whanggum-Tang can reduce lipid accumulation in blood, and this effect might be accompanied by the upregulation of PPAR-${\alpha}$ and PPAR-${\gamma}$ in Apo E(-/-) atherosclerotic mouse model.

The Regulatory Effects of Trans-chalcone on Adipogenesis

  • Han, You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3권1호
    • /
    • pp.29-35
    • /
    • 2018
  • It is noted that chalcone derivatives have characteristic diverse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hat precise evidence has been growing that they could regulate a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duced insulin resist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he identified chalcone derivatives on adipogenesis, and to fi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in that case. Consequently, we first investigated whether the chalcone derivatives could affect the identified $PPAR{\gamma}$-induced transcriptional activity on th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response elements (PPRE) at target promoters, and find that trans-chalcone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PAR{\gamma}$-induced transcriptional activity. Additionally, we confirmed that there were up-regulatory effects of trans-chalcone during the adipogenesis and lipid accumulation, and on the mRNA of adipogenic factors in 3T3-L1 cells. Next, we examined the effect of trans-chalcone on the inhibition induced by $TNF-{\alpha}$ on adipogenesis. To that end, we noted that the treatment with trans-chalcone attenuated the effect of $TNF-{\alpha}$ mediated secretion of various adipokines that are involved in insulin sensitivity. For this reason, we noted that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trans-chalcone enhanced adipogenesis, in part, by its potent effect on $PPAR{\gamma}$ activation and by its reverse effect on $TNF-{\alpha}$.

백출추출물이 TNF-α 유도 지방세포염증과 인슐린저항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 (Ameliorating Effec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on TNF-α-induced 3T3-L1 Adipocyte Dysfunction)

  • 빈창현;송춘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2권3호
    • /
    • pp.116-123
    • /
    • 2015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extracts(AMK) on the improvement of adipocyte dysfunction induced by TNF-${\alpha}$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AMK could directly influence the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3T3-L1 adipocytes. Methods : Potential roles of AMK in the lipolysis, production of inflammatory adipokines and ROS,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and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ults : Our data demonstrated that TNF-${\alpha}$ significantly increased lipolysis, levels of MCP-1, IL-6, and ROS and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while TNF-${\alpha}$ reduced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in adipocytes, suggesting that TNF-${\alpha}$ induced a condition with the occurrence of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Those alterations induced by TNF-${\alpha}$ were prevented by the treatment of AMK. AMK down-regulat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and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on TNF-${\alpha}$-induced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Conclusions : Thus, our results indicate that AMK can be used to prevent from the TNF-${\alpha}$-induced adipocyte dysfunction through MAPK, $NF{\kappa}B$ and $PPAR{\gamma}$ pathways.

한우(Bos taurus coreanae) 유래 myoblast에서 전사인자 과발현에 의한 지방세포로의 교차 분화 유도 (Effects of Ectopic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on Adipogenic Transdifferentiation in Bovine Myoblasts)

  • 문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16-1323
    • /
    • 2012
  • 본 연구는 한우유래 myoblast에서 지방세포분화 유도 전사인자들을 과발현시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 유래 satellite cell을 배양한 후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 KLF5등을 단독 또는 co-transfection을 실시하여 세포에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이들 세포들은 adipogenic differentiation medium에서 2일간 배양한 후growth medium에서 8일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 유무는 Oil-red O염색과 지방세포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으로 확인하였다. $PPAR{\gamma}$과 C/$EBP{\alpha}$를 각각 단독으로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myoblast에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PPAR{\gamma}$와 C/$EBP{\alpha}$을 co-transfection을 실시한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가 유도되었고, 세포내지방구형성, 지방세포 마커유전자의 발현, 근세포 마커유전자의 발현 감소 등이 확인되었다. KLF5 와 $PPAR{\gamma}$를 동시에 과발현할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볼 수 있었지만 KLF단독의 경우는 교차분화를 유도하지 못하였다. 할성형SREBP1c (tSREBP1c)의 경우, 단독으로 myoblast에 과발현을 처리한 경우만으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는 한우유래 satellite cell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이들 세포에 과발현 시킬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Signal crosstalk between estrogen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α on adiposity

  • Kim, Bang-Hyun;Won, Young-Suk;Kim, Dae-Yong;Kim, Bora;Kim, Eun-Young;Yoon, Mi-Jung;Oh, Goo-Taeg
    • BMB Reports
    • /
    • 제42권2호
    • /
    • pp.91-95
    • /
    • 2009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and estrogen are believed to be involved in metabolic changes leading to obesity. To test this relationship, we divided female wildtype and PPAR$\alpha$-deficient mice fed on a high fat diet into the following groups: mock-operated, ovariectomized (OVX), and $E_2$-treated. The visceral white adipose tissue and plasma cholesterol leve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wild type OVX and decreased in the $E_2$-treated group, but interestingly not in PPAR$\alpha$-deficient mice. The mRNA levels of lipoprotein lipase in adipose tissue were also increased in only wild type OVX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E_2$-treated mice. These novel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ignaling crosstalk between PPAR$\alpha$ and $E_2$, causing obesity in vivo.

RAW 264.7 세포에 있어 t10c12-CLA의 ROS를 통한 TNF-${\alpha}$ 생산 및 NF-${\kappa}B$ 활성 조절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Modulat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and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Through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 박소영;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69-476
    • /
    • 2014
  • 본 연구는 염증상태에서의 CLA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LPS-자극 RAW 264.7 macrophages에 있어 ROS 생성과 TNF-${\alpha}$ 생산, NF-${\kappa}B$$PPAR{\gamma}$ 활성을 검토하였다. t10c12-CLA는 LPS로 자극하지 않은 비염증시의 RAW 세포에서는 ROS 생성을 증가시켜 TNF-${\alpha}$ 생산을 유도하였으며, 이 효과는 $PPAR{\gamma}$ 활성화에 의존해서 NF-${\kappa}B$ 활성 증가에 의해 매개되었다. 반면, LPS로 자극한 염증조건의 RAW 세포에서는 t10c12-CLA가 $PPAR{\gamma}$ 활성화에 의존하지 않는 경로로 ROS 생성 및 과도한 TNF-${\alpha}$ 생산을 억제하였다. 본 결과로부터 CLA는 ROS 생성을 통해 TNF-${\alpha}$ 생산 및 NF-${\kappa}B$ 활성을 염증 유무에 따라 조절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운동 강도 차이가 고지방식이 Sprague-Dawley Rat의 골격근 내 PGC-1α, PPAR-γ 및 인슐린 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PGC-1α, PPAR-γ, and Insulin Resistance in Skeletal Muscle of High Fat Diet-fed Sprague-Dawley Rats)

  • 정현령;강호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963-9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고지방식이와 지구성 운동이 골격근의 PGC-$1{\alpha}$, PPAR-${\gamma}$ 및 인슐린 저항성(glucose uptake, GLUT-4)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슐린 민감도 지표인 혈당내성검사에서는 일반식이와 비교하여 고지방식이에서 포도당 투여 후 30분과 60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집단에서는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 PGC-$1{\alpha}$, GLUT-4, PPAR-${\gamma}$의 결과에서는 일반식이에 비해 고지방식이집단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집단(저/중/고강도운동)에서는 일반/고지방식이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집단의 운동강도 차이에서 GLUT-4와 PPAR-${\gamma}$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과 PGC-$1{\alpha}$ 단백질 발현은 저/중강도 운동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4주간의 고지방식이는 whole body의 인슐린 저항성을 발생시켰으나 근육 내 인슐린 저항에는 영향을 미치는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추후 고지방식이의 함량, 섭취 기간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4주간의 지속적인 지구성 운동이 고지방식이로 인해 발생된 골격근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으로 나타났으나 운동 강도에 따른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 PGC-$1{\alpha}$, GLUT-4, PPAR-${\gamma}$의 변화가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시켰다고 설명하기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 형태(운동 기간, 운동강도)에 따른 골격근의 PGC-$1{\alpha}$와 insulin signalling pathway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수세포에서 PPARγ의 항 염증작용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PARγ ON HUMAN DENTAL PULP CELLS)

  • 김정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3호
    • /
    • pp.203-214
    • /
    • 2006
  • 치수는 상아질로 둘러싸인 간엽조직으로 다양한 세포와 기저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관과 신경조직이 분포되어 있다. 치수의 염증은 조직의 분해를 야기하며 이는 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세포 외 기질의 분해가 촉진되어 병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MMP와 inflammatory cytokine의 유도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에 의한 염증매개 물질의 조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람의 치수세포를 다양한 LPS농도에 노출시킨 후 24시간째 MMP-2, MMP-9의 변화를 보고 LPS에 의해 자극된 치수세포에서 ICAM-1, VCAM-1, $IL-1{\beta},\;TNF-{\alpha}$의 분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denovirus $PPAR{\gamma}\;(Ad/PPAR{\gamma})$$PPAR{\gamma}$ agonist인 rosiglitazone를 LPS로 자극된 치수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48시간째 MMPs와 Adhesion molecules, cytokines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사람의 치수세포에서 $PPAR{\gamma}$가 가지는 항 염증효과에 대해 지속적 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