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1

검색결과 1,395건 처리시간 0.025초

PP-g-IA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PP/EVOH 블렌드의 상용화 효과 (Preparation of PP-g-IA and its Compatibilizing Effects in PP/EVOH Blends)

  • 김정수;장지훈;전동규;김동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225-2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필렌 (PP)과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의 블렌드에 있어 발생하는 상분리 현상을 방지하고자 PP에 itaconic acid (IA)가 그라프트 된 PP-g-IA 를 상용화제로 이용하였다. PP-g-IA 상용화제는 PP base에 IA의 투입량을 1, 2, 5, 10 wt.% 로 달리하면서 투입하여 제조하였으며, FT-IR과 $^1H$ NMR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PP에 IA가 그래프트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그래프트율이 1% 로 가장 높게 나타난 PP-g-IA 상용화제를 PP/EVOH 블렌드 연구에 적용하였다. 신규 상용화제가 적용된 PP/EVOH 블렌드는 SEM을 이용하여 모폴로지를 관찰하였고, DSC 와 UTM를 이용하여 열적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P-g-IA 상용화제는 PP/EVOH 블렌드의 계면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상용화제로써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Protein phosphatase 4 dephosphorylates phosphofructokinase-1 to regulate its enzymatic activity

  • Jaehong Park;Dong-Hyun Lee
    • BMB Reports
    • /
    • 제56권11호
    • /
    • pp.618-623
    • /
    • 2023
  • Most cancer cells utilize glucose at a high rate to produce energy and precursors for the biosynthesis of macromolecules such as lipids, proteins, and nucleic acids. 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Warburg effect or aerobic glycolysis- this distinct characteristic is an attractive target for developing anticancer drugs. Here, we found that Phosphofructokinase-1 (PFK-1) is a substrate of the Protein Phosphatase 4 catalytic subunit (PP4C)/PP4 regulatory subunit 1 (PP4R1) complex by using immunoprecipitation and in vitro assay. While manipulation of PP4C/PP4R1 does not have a critical impact on PFK-1 expression, the absence of the PP4C/PP4R1 complex increases PFK-1 activity. Although PP4C depletion or overexpression does not cause a dramatic change in the overall glycolytic rate, PP4R1 depletion induces a considerable increase in both basal and compensatory glycolytic rates, as well as the oxygen consumption rate, indicating oxidative phosphorylation. Collectively, the PP4C/PP4R1 complex regulates PFK-1 activity by reversing its phosphorylation and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treating glycolytic disorders and cancers. Targeting PP4R1 could be a more efficient and safer strategy to avoid pleiotropic effects than targeting PP4C directly.

PP/펄프 복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말레인산무수물 그래프트 PP의 영향 (Effect of Maleic Ahydride Grafted PP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P/Pulp Composites)

  • 이종원;김원길;김연철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566-572
    • /
    • 2014
  •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의 종류에 따라 말레인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MAH) 함량과 스티렌(SM)/MAH 몰비를 변화시키며 MAH가 그래프트된 PP(MAH-g-PP)를 제조하였다. PP의 종류로는 이소탁틱(isotactic, iPP), 블록(block, bPP), 랜덤(random, rPP)에 대해 용융지수(melt index, MI)가 10 그리고 25 g/10 min이 사용되었고, 개시제로는 dicumyl peroxide(DCP)가 사용되었다. MAH의 그래프트 정도는 FTIR을 이용하여 $1700cm^{-1}$ 근처에서 나타나는 카르보닐기(C=O) 신축진동 피이크의 존재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PP/MAH-g-PP/pulp 복합체의 열적특성을 시차주사열용량분석기(DSC)와 열중량분석기(TGA)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복합체의 열적특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복합체의 인장특성과 인장시험 후 파단면의 SEM을 측정한 결과, MAH-g-rPP를 상용화제로 적용한 경우 인장특성 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MAH 함량 1.0 wt%, SM/MAH 몰비 1.0, MI = 25 g/10 m인 경우가 최적으로 평가되었다. 복합체의 유변학적 특성은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복소 점도와 전단박하 그리고 함수량의 경우 펄프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PP 분말/CNF 1 wt% 슬러리 복합체의 CNF 분산 및 물성에 대한 개질 PP의 영향 (Effect of Modification PP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NF Dispersion of PP Powder/CNF 1 wt% Slurry Composite)

  • 김준석;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33권3호
    • /
    • pp.284-288
    • /
    • 2022
  • 폴리프로필렌(PP) 분말과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 1 wt% 슬러리 현탁액을 감압여과 및 오븐 건조한 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PP 분말/CNF 1 wt% 슬러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PP는 곁가지 및 극성기가 도입된 개질 PP를 사용하였다. 곁가지는 디비닐벤젠을 이용하여 도입하였고 극성기는 말레인산무수물(MAH)을 이용하여 개질하였다. CNF의 분산성 및 복합체의 물성을 검토한 결과 PP 분말/CNF 1 wt% 슬러리로부터 제조한 복합체의 경우 CNF 분말로부터 제조한 복합체와 비교 시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에서는 동등 이상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폴리프로필렌/옥수수전분 블렌드의 비등온결정화 거동 연구 (Study on the Non-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olypropylene/Corn Starch-MB Blends)

  • 김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125-1129
    • /
    • 2008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옥수수전분(corn starch) 마스터뱃취(MB)(전분 MB) 블렌드를 PP 함량을 90, 80, 70, 60 wt%로 변화시키며 실험실 규모의 Brabender mixer를 이용하여 $200^{\circ}C$에서 제조하였다. PP/전분MB 블렌드의 화학구조, 기초 열적특성 및 비등온결정화거동을 적외선분광기 (FT-IR), 시차주사열용량분석기(DSC) 그리고 열중량분석기(TGA)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PP/전분MB 블렌드의 제조는 수산기의 존재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다. 용융온도 및 엔탈피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블렌드의 분해온도는 전분MB 함량에 따라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PP/전분MB 블렌드의 비등온결정화 거동은 Avrami 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vrami 지수의 경우 PP는 2.71-3.97의 값을 나타내었고, PP/전분MB 블렌드의 경우는 1.48-1.99 값을 보여주었다. 활성화에너지는 Kissinger 방법에 의해서 계산되었고, PP의 경우 233 kJ/mol, PP90은 484 kJ/mol, PP80은 541 kJ/mol, PP70은 553 kJ/mol, 그리고 PP60은 422 kJ/mol이었다.

랜덤 PP의 반응압출 및 PP/Pulp 복합체 특성에 대한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 함량의 영향 (Effect of Styrene and Maleic Anhydride Content on Properties of PP/Pulp Composites and Reactive Extrusion of Random PP)

  • 이종원;김지현;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25권3호
    • /
    • pp.318-323
    • /
    • 2014
  •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 rPP)의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 MAH) 반응압출에 대한 MAH 함량 및 스티렌/MAH 몰비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MAH가 그라프트된 rPP(MAH-g-rPP)를 제조하였다. MAH의 함량은 0.5, 1.0, 3.0, 5.0 phr이었고, 스티렌/MAH 몰비는 0, 1, 2로 하였으며, 개시제로는 dicumyl peroxide (DCP)가 사용되었다. MAH의 그라프트 정도는 FT-IR을 이용하여 $1700cm^{-1}$ 근처에서 나타나는 카르보닐기(C = O) 신축진동 피크의 존재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3000cm^{-1}$ 근처의 C-H 신축진동을 기준으로 하여 정량한 결과 그라프트 반응이 MAH 함량이 3.0 phr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스티렌 몰비는 1.0일 때 최적을 나타내었다. MAH-g-rPP와 MAH-g-rPP가 5.0 phr 포함된 PP/MAH-g-rPP/pulp 복합체의 열적특성, 결정화 특성 등을 시차주사열용량분석기(DSC), 열중량분석기(TGA), X-선 회절분석(XRD), 편광현미경(POM) 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비등온 결정화온도는 rPP-g-MAH가 첨가되었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P/MAH-g-rPP/pulp 복합체의 인장특성과 인장시험 후 파단면의 SEM을 측정한 결과, MAH 함량 1.0 wt%, 스티렌/MAH 몰비 1.0일 때 상용화제로의 역할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체의 가공성 비교를 위해 복소 점도와 전단박하(shear thinning) 정도를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용화제를 가지는 복합체의 경우 낮은 멱수 법칙 지수(n)를 보여주었다.

Functional identification of protein phosphatase 1-binding consensus residues in NBCe1-B

  • Lee, Kyu Pil;Kim, Hyun Jin;Yang, Dongk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1호
    • /
    • pp.91-99
    • /
    • 2018
  • Protein phosphatase 1 (PP1) is involved in various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as an extensive regulator. The PP1 catalytic subunit (PP1c) recognizes and binds to PP1-binding consensus residues (FxxR/KxR/K) in NBCe1-B. Consequently, we focused on identifying the function of the PP1-binding consensus residue, $^{922}FMDRLK^{927}$, in NBCe1-B. Using site-directed mutagenesis and co-immunoprecipitation assays, we revealed that in cases where the residues were substituted (F922A, R925A, and K927A) or deleted (deletion of amino acids 922-927), NBCe1-B mutants inhibited PP1 binding to NBCe1-B. Additionally, by recording the intracellular pH, we found that PP1-binding consensus residues in NBCe1-B were not only critical for NBCe1-B activity, but also relevant to its surface expression level. Therefore, we reported that NBCe1-B, as a substrate of PP1, contains these residues in the C-terminal region and that the direct interaction between NBCe1-B and PP1 is functionally critical in controlling the regulation of the ${HCO_3}^-$ transpor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ike IRBIT, PP1 was another novel regulator of ${HCO_3}^-$ secretion in several types of epithelia.

Regulation of type-1 protein phosphatase in a model of metabolic arrest

  • Ramnanan, Christopher J.;Storey, Kenneth B.
    • BMB Reports
    • /
    • 제42권12호
    • /
    • pp.817-822
    • /
    • 2009
  • Type-1 phosphatase (PP-1) was assessed in foot muscle (FM) and hepatopancreas (HP) of estivating (EST) Otala lactea. Snail PP-1 displayed several conserved traits, including sensitivity to inhibitors, substrate affinity, and reduction in size to a 39 kDa catalytic subunit (PP-1c). During EST, PP-1 activity in FM and HP crude extracts was reduced, though kinetics and protein levels of purified PP-1c isoforms were not altered. PP-1c protein levels increased and decreased in nuclear and glycogen-associated fractions, respectively, during EST. Gel filtration determined that a 257 kDa low $K_m$ PP-1$\alpha$ complex decreased during estivation whereas a 76 kDa high $K_m$ complex increased in EST. Western blotting confirmed that the 76 kDa protein consisted of PP-1$\alpha$ and nuclear inhibitor of PP-1 (NIPP-1). A suppression of PP-1 activity factors in the overall metabolic rate depression in estivating snails and the mechanism is mediated through altered cellular localization and interaction with binding partners.

The nonconserved N-terminus of protein phosphatases 1 influences its active site

  • Xie, XiuJie;Huang, Wei;Xue, ChengZhe;Wei, Qun
    • BMB Reports
    • /
    • 제41권12호
    • /
    • pp.881-885
    • /
    • 2008
  • Protein phosphatase 1 consists of a secondary structure arrangement, conserved in the serine/threonine protein phosphatase gene family, flanked by nonconserved N-terminal and C-terminal domains. The deletion mutant of PP1 with the 8 nonconserved N-terminal residues removed was designated PP1-(9-330). PP1-(9-330) had a higher activity and affinity than PP1 when assayed against four different substrates, and it also demonstrated a 6-fold higher sensitivity to the inhibitor okadaic acid. This suggested that the N-terminal domain suppresed the activity of PP1 and interfered with its inhibition by okadaic acid. The ANS fluorescence intensity of PP1-(9-330) was greater than that of PP1, which implies that the hydrophobic groove running from active site in the truncated PP1 was more hydrophobic than in PP1. Our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the nonconserved N-terminus of PP1 functions as an important regulatory domain that influences the active site and its pertinent properties.

폴리프로필렌으로 그래프트된 그래핀 옥사이드 제조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ropylene-grafted Graphene Oxide via "Grafting-to" Method)

  • 이종희;오창호;임정혁;김경민
    • 폴리머
    • /
    • 제39권1호
    • /
    • pp.180-184
    • /
    • 2015
  • 폴리프로필렌(PP)으로 그래프트된 그래핀 옥사이드(PP-grafted GO)는 2-bromoisobutyryl 그룹을 가진 GO(GO-Br)와 하이드록시 그룹을 가진 PP(PP-OH)와의 "grafting-to" 화학반응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GO-Br은 GO와 2-bromoisobutyryl bromide를 염기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얻을 수 있었고, PP-OH는 maleic anhydride가 그래프트된 PP(PP-MAH)와 ethanolamine과 반응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PP-grafted GO는 PP-OH에 비하여 녹는점이 높은 온도로 이동하였고, 열적 안정성은 GO와 PP-OH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래프트된 PP 고분자가 GO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P-grafted GO의 표면은 GO-Br에 비하여 거칠기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PP가 GO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PP-grafted GO의 분석은 FTIR, Raman, DSC, TGA, SEM과 같은 다양한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