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FLUCTUA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9초

솔잎혹파리 발생예찰을 위한 우화기구개발에 관한 연구 I. 우화기구별 솔잎혹파리 보호효과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llection Traps of the Adult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 Comparison on the Efficiency of Adult Pine Gall Midge Collection with Newly Devised raps)

  • 우건석;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5-113
    • /
    • 1978
  • 본 실험은 솔잎혹파리의 성충우화수 조사기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경기도 안양시 안양리 산 160번지와 수원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솔잎혹파리의 우화기간은 5월 중순부터 8월중순이었고 우화최성기는 기구별로 차이가 있어 표준형은 5월 29일-6월 2일, Funnel-A형은 6월 3일-7일, Suction형 Trap은 6월 8일-12일간이었다. 2. 우화율은 실내실험구의 Funnel-A형에서 $41.06\%$였다. 3. Suction형 Trap은 밀도가 낮은 우화초기와 말기에 보호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4. 기존 표준우화상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Funnel-A형과 Suction형 trap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 PDF

Development of the Large-Scale Oligonucleotide Chip for the Diagnosis of Plant Viruses and its Practical Use

  • Nam, Moon;Kim, Jeong-Seon;Lim, Seungmo;Park, Chung Youl;Kim, Jeong-Gyu;Choi, Hong-Soo;Lim, Hyoun-Sub;Moon, Jae Sun;Lee, Su-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51-57
    • /
    • 2014
  • A large-scale oligonucleotide (LSON) chip was developed for the detection of the plant viruses with known genetic information. The LSON chip contains two sets of 3,978 probes for 538 species of targets including plant viruses, satellite RNAs and viroids. A hundred forty thousand probes, consisting of isolate-, species- and genus-specific probes respectively, are designed from 20,000 of independent nucleotide sequence of plant viruses. Based on the economic importance, the amount of genom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strains and/or isolates, one to fifty-one probes for each target virus are selected and spotted on the chip. The standard and field samples for the analysis of the LSON chip have been prepared and tested by RT-PCR. The probe's specific and/or nonspecific reaction patterns by LSON chip allow us to diagnose the unidentified viruses. Thus, the LSON chip in this study could be highly useful for the detection of unexpected plant viruses, the monitoring of emerging viruses and the fluctuation of the population of major viruses in each plant.

Impact of a Recombinant Biocontrol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pc78, on Microbial Community in Tomato Rhizosphere

  • Kong, Hyun Gi;Kim, Nam Hee;Lee, Seung Yeup;Lee, Seo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36-144
    • /
    • 2016
  • Pseudomonas fluorescens pc78 i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for soil-borne fungal diseases. We previously constructed a P43-gfp tagged biocontrol bacteria P. fluorescens pc78-48 to investigate bacterial traits in natural ecosystem and the environmental risk of genetically modified biocontrol bacteria in tomato rhizosphere. Fluctuation of culturable bacteria profil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potential horizontal gene transfer was investigated over time after the bacteria treatment to the tomato rhizosphere. Tagged gene transfer to other organisms such as tomato plants and bacteria cultured on various media was exa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gene specific primers. Transfer of chromosomally integrated P43-gfp from pc78 to other organisms was not apparent. Population and colony types of culturable bacteria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troduction of P. fluorescens pc78 or pc78-48 into tomato rhizosphere. Additionally,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rofiles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influence on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omato rhizosphere between non-treated and pc78-48-treated samples. Interestingly, rhizosphere soil treated with strain pc78-48 exhibited a significantly different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compared to that of non-treated rhizosphere soil. Our results suggest that biocontrol bacteria treatment influences microbial community in tomato rhizosphere, while the chromosomally modified biocontrol bacteria may not pose any specific environmental risk in terms of gene transfer.

댐호화된 하천의 조류 과다 발생원인과 해소 방안 - 낙동강 물금 지역의 수질 분석 데이터를 중심으로 - (Causes and Overcoming of the Algae Excess in a Dam Water - Based on the Data of Water Quality Analysis of Mulgum Area -)

  • 양시천;하첨첨;강태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term of decade of water quality data of the Mulgum intake station on the Nakdong river(dam) to find the cause of algal blooms and to set an alternative to prevent artificial lake water pollution. Our study shows that water quality changes have regular periodic regularity and there was a certain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analytical item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factor, the decline in precipitation was not the main reason for algal blooms. TP concentration had a slight effect on Chl-a concentration but was not a limiting nutrient of a bloom. TN concentration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Chl-a and strong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but was not a bloom's limiting nutrient, and was only a dependent variable. As the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hl-a concentration, it is found that the aspect of the ecological influence of the temperat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phytoplankton concentration change. The N/P ratio lies under a power function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by the TP concentration, and the phenomenon appeared to be the same as the results of two other comparative areas. This result confirms that TN is dependent on TP and the biota in the lake that TN is a dependent variable whose concentration is determined by TP it. In conclusion, the increase in lake bloom is the result of a food chain change, an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ecosystem by the food chain in the lake in order to reduce the lake's bloom.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keep the benthic ecosystem as wide as possible in the aerobic state.

일별, 월별 의도적 자해의 사망 양상에 관한 연구: 2011 인구동태동계자료 중심으로 (Daily and Monthly Death Pattern an Intentional Self-harm by Hanging, Strangulation and Suffocation in Korea, 2011)

  • 박상화;임달오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0-265
    • /
    • 2013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asonal variation of death from intentional self-harm by hanging, strangulation and suffocation (HSS: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6 code: X70) using the 2011 death registry data. Methods: The analysis was based on data of 8,359 HSS deaths from 2011 national vital statistics in Korea. Daily, weekly, and monthly death pattern on HS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seasonal variation and HSS deaths. Results: A total of 8,359 HSS deaths occurred in 2011, with a mean age of 50.6 years. The HSS death rate (per 100,000) was 25.5 in male and 10.8 in female. In one day 17.6 males and 8.0 females occurred HSS death on average. The number of HSS death per day was the highest on 8th June (45 deaths), and lowest on 1st February (7 deaths) during the period. The variations of daily HSS death showed wide fluctuation from a peak of 34 to 45 deaths (29th May to 9th June) to a trough of 17-26 deaths (10th-13th September: the Korean thank-giving consecutive holidays), 13-20 deaths (2nd-5th February: the new year's day by the lunar calendar) and 8-9 deaths (24th-25th December: Christmas holi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seasonal variation (month, season, and week). Conclusion: The mean number of HSS death per day was highest in June (30.6 deaths), and months with the lowest number of deaths was January and December (range, 19.4 to 19.6 deaths). HSS death were more prevalent during summer and spring and were less likely to occur during winter. On Saturdays (21.0 deaths), the number of HSS death per day was the lowest, and Monday (27.9 deaths) was the highest. HSS death was less likely to occur on holidays (21.4 deaths). There was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in HSS death by weekly and monthly (p<0.01).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발생예찰을 위한 효율적인 페로몬 트랩 및 설치높이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for Attracting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in Soybean Field)

  • 백채훈;이건휘;오영진;박정규;황창연;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9-65
    • /
    • 2009
  • 본 연구는 콩 포장에서 문제가 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예찰을 위한 효율적인 페로몬트랩 및 설치높이를 구명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발생예찰에 적합한 페로몬 트랩은 피쉬(통발)트랩이며, 지면으로부터 60 cm 높이에서 유인량이 가장 많았다. 페로몬 트랩에 유인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암수 성비는 1.5:1로 암컷 성충이 가장 많았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 트랩에 가로줄노린재도 동시에 포획되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 트랩에 대한 수입제품과 국내제품의 유인력을 조사한 결과, 수입제품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만 유인하였고, 국내제품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를 유인하였다. 합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은 8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 상순에 최대발생시기를 보였고, 포충망을 이용한 발생시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한국 논 토괴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I. 균류의 분포 (Fungus Flora of Paddy Fields in Korea I. Fungal distribution of paddy fields)

  • Kyung Hee MIN;Tadayoshi ITO;Tatsuo YOKOYAMA
    • 미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54-162
    • /
    • 1981
  • 서울근교 역곡동과 신원동의 논토양 시료들 중에서 계절별 균류의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평판회석법을 사용하여 토양 1g중 총균류의 평균수는 상층부(5cm 깊이)에서 $10^4$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중충부(15cm 깊이), 하층부(25cm 깊이)의 순서였다. 가장 많은 총 균류의 분포는 가을토양의 상층부로 평균 $11.0\;{\times}\;10^4$ 이었다. 또한 균류의 수는 논 토양의 깊이가 깊어질 수록 감소하였다. 균 분포의 계절적 변이는 겨울에는 낮으나 가을에는 가장 높았으며, 이 사실로 가을이 균 생장에 가장 좋은 환경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논 토양에서의 Talaromyces의 수는 겨울에 적은 반면에 특히 가을에 현저하게 많으며, 역곡동의 가을 시료의 경우에는 토양 g당 $6.5\;{\times}\;10^4$ propagules로 최고수를 나타냈고, 신원동의 겨울시료가 $0.5\;{\times}\;10^4$으로 최저의 수를 나타내었다.

  • PDF

경북지역에서의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와 솔잎혹파리기생봉의 개체군 변동 (Annual Fluctuations in Population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and its Parasitoids in Kyeongbuk Province, Korea)

  • 전문장;신상철;정영진;김철수;최광식;박일권;장정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56-260
    • /
    • 2006
  • 본 연구는 기생봉이 솔잎혹파리 밀도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남성동에 위치한 소나무림에서 우화트랩을 이용하여 1986년에서 2005년까지 20년간 솔잎혹파리와 각 종의 솔잎혹파리 기생봉 성충 밀도를 조사하였다. 1987년 이후 기주인 솔잎혹파리와 기생봉 개체군 동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기생봉 밀도는 기주 의존적이었다. 솔잎혹파리 개체군의 성비는 전체적으로는 암컷의 비율이 높았으나 연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솔잎혹파리 기생봉 개체군에서도 유사하였으나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emma seoulis) 개체군의 성비가 혹파리반뿔먹좀벌(Inostemma matsutama) 개체군 성비보다 암컷편기가 심하였다. 기주인 솔잎혹파리는 매년 5월16일~7월27일(우화최성기 : 5월27일-6월5일)에 우화하였고, 그 기생봉인 혹파리반뿔먹좀벌과 솔잎혹파리먹좀벌은 5월16일~6월11일(우화최성기 : 5월27-6월2일) 및 6월9일~7월27일(우화최성기 : 6월23일~6월28일) 이었다.

대관령지역의 연도별 진딧물 비래 및 PLRV 보독률 변동 (Yearly Fluctuation of Migrated Aphids and PLRV Transmission Rate at Daegwallyeong Highland Region in Korea)

  • 권민;박천수;함영일;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7-253
    • /
    • 2002
  • 본 시험에서는 ´77년에서 2001년까지 대관령지역 비래진딧물의 발생을 조사한 성적을 바탕으로 진딧물의 비래변동을 분석하였고, 2000-2001년간의 비래진딧물의 PLRV 보독률을 구명하여 ´89-´91의 보독률과 대조하였다. 각 연도별 자료는 5년 단위로 묶어서 평균 비래량을 계산하였고, 2000년까지 비래량을 비교하였다. 최초 ´76-´80 시기의 비래량은 평균 575.2마리였으나, ´91-´95에는 2959.4마리, ´96-2000 시기에는 2281.6마리로 비래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91-´95시기에 많은 비래량을 보인 것은 ´94, ´95년에 가뭄이 연속되어서 진딧물의 발생에 좋은 조건을 제공한 것으로 추측된다. 비래진딧물의 비래최성기는 6월 상-중순 사이로 아직까지 연도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지만,비래최성기의 우점종은 연도별로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는 복숭아혹진딧물이 우점 비래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목화진딧물의 비래가 가장 많았다. ´89-´91년에 수행한 PLRV 보독률 조사에서는 비래진딧물의 6.7-10.0%가 PLRV를 가지고 있는 보독진딧물로 밝혀진 바 있다. 그렇지만 2000년, 2001년 조사에서는 각각 10.1%, 11.0%로 조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과거 10년 전보다 진딧물의 비래량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있고 비래 진딧물의 종류도 다양해졌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보독률의 변동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토마토 반촉성 시설 재배에서 천적중심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 관리모델 (Greenhouse Whitefly and Thrips Management Model Using Natural Enemies in Semi-forcing Culture of Tomato)

  • 정태성;황미란;황세정;이재홍;이안수;원헌섭;홍대기;조점래;함은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03-412
    • /
    • 2017
  • 춘천지역 농가 및 강원도농업기술원 내 시험포장에서 반촉성재배토마토(2~6월)에서 트랩을 이용한 주요 해충의 발생밀도와 천적 등을 이용한 방제효과를 조사 하였다. 토마토 재배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제와 유기농자재의 천적곤충에 대한 독성평가도 수행하였다. 반촉성재배 시 발생되는 주요 해충은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와 총채벌레류이었다. 온실가루이의 경우 4월 중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 이후 발생이 증가하였고, 총채벌레류는 4월 상순 경 발생을 시작하여 6월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독성약제 선발시험을 통해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의 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대해 60% 이하의 독성을 보이는 살충제 1종(spiromesifen SC), 살균제 1종(cyazofamid SC) 및 님 추출물이 함유된 유기농자재 외 1종을 선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시한 천적중심 관리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토마토 반촉성 시설재배 시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