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DIMETHYLSILOXANE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35초

Multi Acrylate기를 갖는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 코팅 액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dimethylsiloxane Modified Urea with Multi Acrylate Group Coating Materials)

  • 박승우;강호종;강두환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720-725
    • /
    • 2014
  • Hydride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과 allyl amine을 hydrosilylation 반응으로 aminopropylpoly-dimethylsiloxane을 합성하고, 이를 hexamethylenediisocyanate(HDI)의 고리화 반응으로 제조된 cyclic HDI trimer와 반응시켜 urea결합으로 결합된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을 제조하였다.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의 말단에 있는 isocyante기와 2-hydroxyethylmethacrylate를 반응시켜 말단에 multi acrylate기가 도입된 polydimethylsiloxane 변성 urea/acrylate(PUA)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화합물의 구조를 FTIR, $^1H$ NMR로 확인하였으며, PUA에 아크릴계 단량체, 광 개시제, 용매 등을 여러 가지 조성비로 혼합하여 코팅 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PET 필름에 도포하고 UV을 조사하여 고경도의 유연성을 갖는 코팅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코팅 막의 연필 경도는 3H, 접촉각은 $82^{\circ}$, bendability는 $7{\phi}$까지 scratch가 발생하지 않았다.

진공 압력차이법에 의한 나노 정밀도를 가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형상복제 (Fabrication Process of a Nano-precision Polydimethylsiloxane Replica using Vacuum Pressure-Difference Technique)

  • 박상후;임태우;양동열;공홍진;이광섭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305-313
    • /
    • 2004
  • 본 연구는 나노 복화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혹은 나노공정에 응용이 가능한 형상모형 제작공정 개발과 폴리디메틸실록산 (polydimethylsiloxane)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형상모형의 몰드로 나노급 정밀도의 폴리디메틸실록산 형상을 복제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나노 복화공정은 복잡한 형상모형 (pattern)이나 2차원 형상을 CAD 파일 없이 비트맵 그림파일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200nm 정밀도를 가지는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형상모형은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광자 흡수 중합법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형상의 정밀도는 레이저 범의 회절한계 이하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마스터 형상모형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진공압력차이법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몰드를 제작하여 기존의 제작방법에 비하여 정밀한 제작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또한 제작된 몰드를 이용하여 양각의 플리디메틸실록산 스탬프를 제작하였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실리콘 Segment Device 에서 헤파린 용출 (Heparin Release from Polyethyleneoxide-Polydimethylsiloxane Devices)

  • 김성호
    • 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06-310
    • /
    • 1986
  • The release of heparin from monolithic devices composed of different ratios of polyethylene oxide(PEO MW 20,000) and polydimethylsiloxane was investigated. Water soluble PEO plended into the polydimethylsiloxane proved a controlled release of heparin. The release rate of heparin could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content of PEO and loading dose of heparin. The release rate of heparin from the devices increased as the content of PEO and heparin in the devices increased. The release rate of heparin from devices were related to nature of solute(ionic strength) and temperature. The release mechanism may be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pore or domine through the devices the water-uptake and the change in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polydimethysiloxane network.

  • PDF

Methacrylate 말단기를 가진 Polydimethylsiloxane의 합성 및 안의료용 소재로의 응용 (Synthesis and Application for Ophthalmic Material of Polydimethylsiloxanewith Methacrylate Endgroup)

  • 예기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35-339
    • /
    • 2009
  • 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PDMS (polydimethylsiloxane)와 반응시켜methacrylate 말단기를 가진 PDMS prepolymer를 합성하였으며, 탄성 및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AIBN 개시제를 사용하여 BMA(butyl methacrylate)와 공중합시켰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함수율은 23%로 나타났으며, 가시광선 투과율은 83%, 산소투과율은 50 Dk/t 이상이었다. 이 중합체는 우수한 콘택트렌즈 재료로서의 특성을 보였다.

PDMS 기능성 박막을 이용한 적은 게이트 누설 전류 특성을 가지는 유기트랜지스터의 제작 (Fabrication of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Low Gate Leakage Current by a 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 Layer)

  • 김성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7-150
    • /
    • 2009
  • Polydimethylsiloxane (PDMS) 기능성 박막을 도입하여 적은 게이트 누설 전류 특성을 가지는 유기트랜지스터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UV/ozone 처리를 하여 PDMS 표면에 위치한 소수성의 메틸 그룹의 화학적 결합을 끊어 친수성 실리콘 산화막 성질로 표면을 변화시키고 선택적인 펜타신 증착을 유도하였다. Off 전압상태 ($V_g-V_t>0$)에서 게이트 전압에 의해 기인하는 누설 전류는 선형영역 ($V_d=-5\;V$)과 포화영역 ($V_d=-30\;V$)에서 ${\sim}10^{-10}$ A의 값을 보여주며 기존의 트랜지스터 보다 개선된 누설 전류 특성을 나타내었다.

PDMS-b-PMMA 공중합체 막의 제조 및 투과특성 (Preparation and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PDMS-b-PMMA Copolymer Membrane)

  • 강태범;조아라;이현경
    • 멤브레인
    • /
    • 제18권3호
    • /
    • pp.219-22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에 의해 polydimethylsiloxane (PDMS)와 methyl-methacrylate (MMA)로부터 polydimethylsiloxane-polymethylmethacrylate (PDMS-PMMA) block copolymer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DMS-b-PMMA copolymer막의 특성은 FT-IR, $^1H$ NMR, GPC, DSC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질소와 수소의 투과도는 각각 $1.2{\sim}l.5$ barrer와 $6.2{\sim}10.5$ barrer를 보였고, 질소에 대한 수소의 선택도는 $5.3{\sim}6.9$ 범위였다. PDMS-b-PMMA copolymer 막의 투과도와 선택도는 PDMS 막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고, PMMA 막보다는 높은 결과를 보였다.

Polydimethylsiloxane을 함유한 poly(N-isopropylacrylamide)? 합성 및 성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Polydimethylsiloxane)

  • 김용성;배민애;윤구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0-235
    • /
    • 2001
  • 양 밀단에 methacryl기를 함유한 polydimethylsiloxane(PDMS)을 가교제로 하여 poly(N-isopropylacrylamide)(PNIPAAm)을 합성하여 PDMS를 함유한 PNIPAAm을 얻었다. IR, DSC를 이용하여 그것들의 성질을 조사하였으며 DSC 조사결과 PNIPAAm과 PDMS는 각각 분리된 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PNIPAAm의 $T_g$는 PDMS의 함량이 증가하면 약간씩 감소하였다. 또한 온도에 따른 팽윤도를 조사한 결과 PDMS의 함량이 증가하면 팽윤도는 감소하였으나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LCST)는 큰 변화가 없었다. 수팽윤된 중합체의 DSC 측정결과도 LCST는 PDMS의 함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DMS 블레이드 코팅법을 이용한 종이-기반 바이오센서칩 제작 (Fabrication of Paper-based Biosensor Chip Using Polydimethylsiloxane Blade Coating Method)

  • 정헌호;박차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00-105
    • /
    • 2021
  • 본 연구는 적은 비용으로 분석 장치 없이 질병 진단 및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종이-기반 분석 장치(paper-based analytical device, PAD)를 제작하기 위해 polydimethylsiloxane (PDMS) 블레이드 코팅 방법을 제안하였다. PAD 디자인은 레이저 커팅 기술로 쉽게 몰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작된 몰드로 블레이드 코팅을 수행하여 완전한 소수성 장벽 형성에 필요한 조건을 확립하였다. 코팅 조건인 잉크의 두께와 종이와의 접촉시간에 따라 PDMS 소수성 장벽의 구조와 친수성 채널의 크기 변화를 분석하여 안정적으로 소수성 장벽을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최적화된 방법을 바탕으로 PAD를 제작하여 특별한 분석기기 없이 단백질, 당, 메탈이온을 검출하여 바이오센서에 응용가능함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