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MP

Search Result 58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pplication of Sweetness Inhibitor, Na$\pm$2-(4-Methoxyphenoxy)propanoic Acid, to Modify Sweetness and to Improve Shelf Life and Texture in Pound Cake (파운드케익의 단맛조절과 보존기간 및 조직감 향상을 위한 Na$\pm$2-(4-methoxyphenoxy)propanoate의 응용)

  • Lee, Sung-Kyu;Baik, Moo-Yeol;Jang, Hyuk-Rae;Park, Seung-Koo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0 no.5
    • /
    • pp.534-53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inhibitory action and quality-improvement functions of sweetness inhibitor, Na$\pm$2-(4-Methoxyphenoxy) propanoate (Na-PMP) in pound cakes. Na-PMP was first used to evaluate the intensity of sweetness i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and fructose solutions: Na-PMP (250 and 500 ppm) was added to the model solutions of 2.5, 5.0, 7.5, and 10% sucrose and the equi-sweetness levels of fructose with the sucrose solutions. Both concentrations of Na-PMP significantly modified the sweetness intensity for both model solu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Na-PMP, different levels of sucrose (10, 20, and 30%) were added to the basic recipe (a control) of pound cake preparation. Excessive sweetness due to the addition of high levels of sucrose to the basic recipe was modified by the addition of Na-PMP, which resulted in equi-sweetness as the control (p<0.05). Moreover, Na-PMP improved the texture and shelf-life of the pound cake.

Estimation of the return period of statistical method for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의 재현기간 추정)

  • Kim, Sangdan;Sim, Inkyeong;Lee, Ok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0-180
    • /
    • 2018
  • 가능최대강수량(PMP)은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 기준이 되는 강수량으로, 최근 대규모 거대재난에 대비한 대피계획수립에 PMP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PMP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PMP를 추정하기 위해 Hershfield의 통계적 방법에 대한 간단한 대안이 제안되었다. PMP는 물리적인 강우량 상한계로, 확률론적 개념과는 모순적이다. 또한, Hershfield의 PMP는 연 최대 시계열 평균의 선형함수로 주어지는 모양 매개변수를 가지는 GEV 분포의 약 60,000년 빈도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rshfield의 방법을 확률론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기상청 ASOS 및 AWS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각 지점자료 중 10년 이상의 자료를 사용하여 Hershfield 방법을 적용하여 PMP를 산정하였다. 각 지점의 빈도계수를 구하여 우리나라 자료에 적합한 확률분포의 형태를 적용하였고, 분포형의 매개변수 값을 추정하였다. 또한, Hershfield의 빈도계수와, 우리나라 자료에 해당하는 빈도계수가 몇 년 빈도로 계산되는지 각각 확인해 보았다. ASOS 및 AWS 자료를 이용하여 연 최대 강수량 시계열 평균과 모양 매개변수의 관계 공식 또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자료(57년)인 서울지점 자료를 이용하여 경험적인 분포함수와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구한 분포함수를 비교하여 도시하였다.

  • PDF

V+Tech 트랜드 PMP 전성시대 - 다재다능한 PMP 기술이 즐거운 세상을 연다

  • 벤처기업협회
    • Venture DIGEST
    • /
    • no.2 s.127
    • /
    • pp.14-16
    • /
    • 2009
  • 벤처회사 영업사원 최모(29세) 씨는 요즘 새로 구입한 PMP 덕분에 즐거운 하루를 보내고 있다. 출근길 지하철에서 최신곡 소녀시대의 'GEE'를 들으며 하루 미팅 스케줄을 관리한다. 고객과 약속 시간이 늦춰질 때는 인터넷에 접속해 친구와 메신저로 대화하고 게임도 즐긴다. 업무를 보다 모르는 영어 단어가 나오면 사전을 뒤지고, 운전할 때는 내비게이션을 켠다. 이처럼 핸드폰보다는 크고 노트북보다는 작은 PMP가 단순한 동영상 재생을 뛰어 넘어 인터넷, DMB, 내비게이션, 블루투스 기능까지 제대로 보여주면서 최첨단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우리들의 즐거운 세상을 열어가고 있는 PMP 기술 속으로 들어가보자.

  • PDF

Estimation of Probable Maximal Flood on Ungauged Small Basin (미계측 소유역의 가능최대홍수량 산정)

  • Hwang, Man-Ha;Lee, Bae-Sung;Yoo, Yang-Soo;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16-1220
    • /
    • 2006
  • 최근 들어 기상이변으로 인해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막대한 홍수피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에 자연재해에 대한 방재대책의 중요성 및 수공구조물들의 설계빈도를 상향조정하는 등의 대책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02년 여름 강릉지역에 발생한 태풍 '루사'로 인한 집중호우는 기존 PMP(가능 최대강수량) 규모를 초과하는 사상 초유의 24시간 최대 강수량(880mm)을 기록하여 기존 댐 등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에 대한 재고가 불가피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인 상관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지속시간별 PMP를 산정한 후 임계지속시간을 고려한 PMF(가능최대홍수량)를 산정하여 유역내 대표적인 수공구조물인 저수지의 수문학적 치수안정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유역인 상관저수지 유역의 PMP는 전국 전계절별 PMP도로부터 호우중심의 PMP와 유역중심의 PMP를 동일하게 하여 지속시간별 PMP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PMP로부터 Huff의 4분위법을 이용하여 강우를 시간분포 시킨 후 상관저수지 유역의 PMF를 산정하였으며, 이 때 이용된 유역의 홍수량추정 기법으로는 Clark 단위도법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HEC-5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홍수추적을 실시하였으며, 검토 결과 상관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정성은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Intension to Use PMP : a combination of Ubiquitousness, Community, Image, and Perceived Enjoyment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MP 활용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 유비쿼터스적 특성, 커뮤니티, 이미지, 인지된 즐거움을 중심으로)

  • Um, Myoung-Yong;Kim, Mi-Ryang;Kim, Tae-Ung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24 no.2
    • /
    • pp.95-114
    • /
    • 2007
  • The main attractant of 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is often their versatility : being able to load and play different formats of video, audio, digital images, and interactive medi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age the PMP, based on the extended ver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online survey, we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are the major determinants for using PMP. Factors, including ubiquitousness, community, and image are shown to directly or indirectly determine the lev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s. In addition, we classify PMP users into two groups, users seeking hedonic value and utilitarian value,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Properties of the causal paths, including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in the hypothesized model, are also presented, so that we can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s of different dominants, demonstrating how two groups differ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regarding the PMP usage.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Commercial Portable Multimedia Players (상용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력소모 패턴 분석)

  • Nam, Young-Jin;Yang, Eun-Ju;Lee, Jong-Yuol;Kim, Seong-Ryul;Seo, Dae-Wha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3
    • /
    • pp.95-103
    • /
    • 2007
  •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devices have been gaining in its popularity with the emerging digital convergence of data, video, audio, etc. Since the PMP devices are typically equipped with DSP, a bigger LCD screen, and a hard disk, efficient power management has become more crucial than the other portable devices. This paper builds up a hardware/software-based power measurement system based on data acquisition devices. Subsequently, it measures and analyzes the power consumed in commercial PMP devices under different types of events: the system boot & shutdown, video playback, and the use of different video-coding types. Finally, our analysis of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patterns reveals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low-power PMP devices.

  • PDF

Implementation of Wireless Contents Access PMP using ARM 9 Embedded System (ARM 9 임베디드 시스템에 의한 무선 컨텐츠 액세스 PMP 구현)

  • Han, Kyong-Ho;Kim, Hee-S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1 no.2
    • /
    • pp.99-105
    • /
    • 2007
  • In this paper, diskless personal multimedia player(PMP) that can access and decode the remote large multimedia data is implemented via wireless network. To implement this, WLAN based NFS protocol is used to connect PMP to the remote server and text image and movie files are decoded and played using ARM9 cored PXA255 embedded processor and Linux OS. The fuction and performance of the PMP is evaluated and verified using variuos types of contents. Linux kernel elements are configured and built in according to the hardware and software on the target board to install on the target board. The confirming result shows the required functions and performances.

Alterations in Cytoplasmic Membrane are Associated with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Thrombin-Induced Platelet Microbicidal Proteins in Oral Streptococci

  • Choi, Young-Eun;Cheong, Yong-Joon;Lee, S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v.30 no.4
    • /
    • pp.125-130
    • /
    • 2005
  • Thrombin-induced platelet microbicidal proteins (tPMP) are antibacterial proteins released when platelets are stimulated by thrombin. It has been reported that tPMP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arious bacterial species including causative agents of infective endocarditis. Most of the oral streptococci have resistance to the killing by tPMP and this fact may play an important role as a virulence factor in infective endocarditis. However, the susceptibility and resistance mechanism of oral streptococci for tPMP have not been revealed yet. In this study, the killing mechanism of tPMP for oral streptococci has been investigated. Streptococcus rattus BHT, a susceptible strain, and Streptococcus gordonii DL1, a resistant strain, have been used in this study. tPMP was isolated from platelet after stimulation with thrombin. Cell membrane depolarization was examined with 3,3'-dipropylthiodicarbocyanine iodide ($DiSC_3$), membrane potential-sensitive cyanine dye, by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 The permeabilization of cell membrane by tPMP was investigated with propidium iodide (PI) by flow cytometry. tPMP susceptible S. rattus BHT showed the increase of the $DiSC_3$ fluorescence level meaning depolarization of cell membrane and increase of the uptake of PI which means permeabilization of cell membrane. However, tPMP resistant S. gordonii DLI did not show depolarization and permeabiliz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ing depolarization and permeabilization of oral streptococcal cell membrane are associated with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tPMP.

Comparison of the Estimation Methods for PMF (PMF 산정방법에 따른 비교)

  • Kim, Nam-Won;Lee, Jeong-Eun;Shin, Ho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10-714
    • /
    • 2005
  •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은 "지역에서 합리적으로 가능한 극심한 기상학적 그리고 수문학적인 조건들의 가장 심각한 조합으로 예상되는 홍수"라 정의되며,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입력으로 한 강우-유출관계에 의해서 산정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댐과 같은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와 평가의 기준이 되는 PMF 산정시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그에 따른 PMF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PMF 산정방법 중 시간분포방법에 따른 가능최대호우(Probable Maximum Storm; PMS)의 구축과 단위도의 선정이 PMF의 값에 영향을 크게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 댐설계시 산정된 PMP/PMF와 재산정한 PMP/PMF의 변화를 비교$\cdot$고찰하였다. 평균적으로 기존 댐설계시에 비해 금회 산정한 PMP는 약 $27\%$, PMF는 약 $42\%$의 증가를 보였다. PMF의 증가는 PMP의 증가와 더불어 기존 단위도보다 실측자료에 근거한 단위도가 더 빠르고 강한 강도의 유역반응을 초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Evaluation of PMF Estimation in the Han River Basin as the Scenario for the Centroid of PMP (PMP 호우중심에 따른 한강유역 주요 댐별 PMF 산정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 Kwon, Ji-Hye;Shin, Cheol-Shik;Kim,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51-1755
    • /
    • 2006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의 극대 호우를 반영하여 산정한 가능최대강수량(PMP)를 통해 한강유역 주요 댐의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홍수량 분석을 위한 한강유역의 소유역 구분은 한강 유역조사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하였으며, PMP는 전국 PMP도 재작성 보고서(건설교통부, 2004)를 이용하되 본 연구의 대상 댐이 되는 한강유역의 주요 댐별로 호우 중심 위치에 따른 공간분포를 각각 수행하여 소유역별 강우량값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에 의해 각 댐 지점의 PMF를 산정하는 것은 향후 댐의 안전성 검토 및 댐 운영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주요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