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MA bead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매체유동층에서 미세 고분자의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Fine Polymers in an Inert Medium Fluidized Bed)

  • 김옥신;이동현
    • 청정기술
    • /
    • 제17권3호
    • /
    • pp.209-214
    • /
    • 2011
  • 직경 0.15 m, 높이 1.0 m인 매체유동층 건조기 내에서 유입 열풍유속(0.26~0.31 m/s), 유입 열풍온도(315~353 K) 및 미세 고분자입자와 매체입자의 질량비(0.1~0.4)에 따른 미세 고분자의 건조속도에 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에 사용된 미세 고분자는 평균입경이 20 ${\mu}m$인 가교 PMMA beads로써 Geldart group C 입자이고, 매체입자는 Group B인 직경 590 ${\mu}m$인 glass beads를 이용하였다. 건조속도는 유입열풍유속 및 유입열풍온도에 따라 증가하였고, 미세 고분자와 매체입자의 질량비에 따라 감소하였다. 건조된 미세 고분자(PMMA)의 입도분포형태는 단일분포를 나타내었다.

용액 코팅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고분자 유연 패턴필름 제조 (Manufacturing of Flexible Patterned Cover Film for Solar Cell by Solution Coating)

  • 박찬욱;강호종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656-662
    • /
    • 2013
  • 태양전지의 효율 증가를 위하여 유리비드가 함유된 polymethyl methacrylate(PMMA) 용액을 PMMA 필름 위에 코팅하여 유리비드가 코팅된 고분자 유연 패턴 필름을 제조하고 패턴 필름이 태양전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필름 위에 코팅된 유리비드로 인하여 빛의 입사각 0도에서 90도 범위에서 태양전지의 상대효율이 최대 3.4%까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율 증가는 빛의 입사각 변화에도 필름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 형태의 유리비드로 인하여 빛이 수직으로 입사되어 방향성에 의한 태양전지 효율 감소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태양전지상대효율 증가는 필름 표면 위의 유리비드가 반구의 형태를 가질 때 가장 높으며 유리비드 함량에 따라 증가되나 유리비드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오히려 광 투과도 감소 및 빛의 간섭 효과에 의하여 상대효율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기공형성제 PMMA와 WO3 분말 성형체의 열처리를 이용한 W 다공체 제조 (Fabrication of Porous W by Heat Treatment of Pore Forming Agent of PMMA and WO3 Powder Compacts)

  • 전기철;김영도;석명진;오승탁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9-133
    • /
    • 2015
  • Porous W with controlled pore structure was fabricated by thermal decomposition and hydrogen reduction process of PMMA beads and $WO_3$ powder compacts. The PMMA sizes of 8 and $50{\mu}m$ were used as pore forming agent for fabricating the porous W. The $WO_3$ powder compacts with 20 and 70 vol% PMMA were prepared by uniaxial pressing and sintered for 2 h at $1200^{\circ}C$ in hydrogen atmosphere. TGA analysis revealed that the PMMA was decomposed at about $400^{\circ}C$ and $WO_3$ was reduced to metallic W at $800^{\circ}C$. Large pores in the sintered specimens were formed by thermal decomposition of spherical PMMA, and their size was increased with increase in PMMA size and the amount of PMMA addition. Also the pore shape was changed from spherical to irregular form with increasing PMMA contents due to the agglomeration of PMMA in the powder mixing process.

반코마이신을 함유한 Polymethylmetacrylate 비드를 이용한 만성 골수염의 치험례 (THE USE OF VANCOMYCIN-IMPREGNATED POLYMETHYLMETACTYLATE BEAD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OSTEOMYELITIS)

  • 이형석;박영주;최동주;김미자;장계표;김정래;김선엽;안병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6호
    • /
    • pp.672-676
    • /
    • 2000
  • One of the current treatment methods for chronic osteomyelitis is removal of the infected and necrotic tissue to reduce the bacterial concentration as much as possible. This is performed concomitantly with antibiotic therapy. Chronic osteomyelitis(C.O.) implies chronic ischemia of the diseased bone. Thus, the treatment for C.O. requires high systemic level of antibiotics. In some cases, however, inherent undesirable adverse effects(for example, nephrotoxicity, ototoxicity, and others) may render this course of treatment difficult. Knowing that residual monomers are released from hardened bone cement, installation of antibiotic-impregnated PMMA(polymethyl-methacrylate) beads in situ have been one of treatment methods of C.O. When introduced into the wound, they established an exceedingly high level of local antibiotics for prolonged period without high systemic level of antibiotics. We experienced favorable results with vancomycin-impregnated PMMA beads for the treatment of C.O. of the mandible. So, we report it with literature reviews.

  • PDF

Rod 코팅을 이용한 Poly(methyl methacrylate) 비드의 단일층 형성 및 단일층 구조에 미치는 용매, 계면활성제, 플라즈마 처리의 영향 (Fabrication of Poly(methyl methacrylate) Beads Monolayer Using Rod-coater and Effects of Solvents, Surfactants and Plasma Treatment on Monolayer Structure)

  • 김다혜;함동석;이재흥;허강무;조성근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1호
    • /
    • pp.1-8
    • /
    • 2019
  • 균일한 단일층(monolayer)의 형성은 박막 두께에서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차광, 반사방지 등의 물리적, 화학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전 연구에서도 여러 코팅 방법으로 단일층을 구현하였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대면적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량의 용액으로 대면적 코팅이 가능한 로드 (rod) 코팅법을 사용하여, $20cm{\times}20cm$ PET 필름 기판 위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PMMA 비드를 가장 치밀한 형태인 HCP(hexagonal closed packing)가 되도록 코팅을 진행하였다. 끓는점과 증기압이 다른 용매의 사용과 계면활성제의 적용, 플라즈마 처리를 통한 기판 에너지의 변화를 통해 형성되는 단일층의 수준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드의 메니스커스, 용매와 비드의 인-척력, 표면에너지를 포함한 코팅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단위면적당 비드가 차지하는 정도인 입자의 커버리지를 초기 대비 약 20% 정도 향상시켰고, 단일층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코팅 방법에 비해 간단하고 빠르게 대면적의 단일층(monolayer)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필름과 센서 등 첨단 분야로의 잠재적 응용 가능성이 높다.

AC Plasma Display Panel with Irregular Micro-scale Holes in the Front Dielectric Layer

  • Cho, Kwan-Hyun;Ahn, Sung-Il;Kim, Woo-Hyun;Choi, Kyung-Cheol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711-712
    • /
    • 2009
  • The fabrication of micro-scale irregular holes by using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beads in the front dielectric layer was proposed to improve luminous efficacy of an ac plasma display panel. Through the firing process of front dielectric layer, bowl shaped holes with a depth of $2.5{\mu}m$, a top diameter of $8-12{\mu}m$, and a bottom diameter of $4-7{\mu}m$ were fabricated. The proposed ac plasma display panel with the irregular micro-scale holes improved the luminous efficacy by 18 % due to the decrease in the minimum sustain voltage.

  • PDF

재귀반사도 개선을 위한 MMA계 열경화성 차선도료의 설계 (Design of MMA-Type Thermosetting Road Markings to Improve Reflectivity)

  • 이승범;이창근;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39-4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차선도료로 MMA (methyl metacrylate) 수지계 열경화성 수지를 선정하여 차선의 내구성능과 재귀반사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최적의 열경화성 차선도료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장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선도료의 경화시간을 8 min으로 단축하기 위해 주재의 구성요소를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MMA 모노머($Tg=105^{\circ}C$) 15.6 wt%에 PMMA (ploymethyl metacrylate, MW = 70,000, $Tg=60^{\circ}C$) 6.0 wt%와 TMPT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MW = 338, $Tg=27^{\circ}C$) 1.2 wt%를 배합한 TSRM-6가 부착강도 등 도료물성이 우수하여 최적 배합비율로 결정하였다. 열경화성 차선도료의 도장조건은 분사 전 반드시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져야 하며 최적 설계된 TSRM-6에 우천용 유리알을 사용한 경우 마모시험 횟수 20만 회에서 야간재귀반사성능계수는 $431mcd{\cdot}m^{-2}{\cdot}lux^{-1}$ (건조 조건), $354mcd{\cdot}m^{-2}{\cdot}lux^{-1}$ (젖은 조건), $172mcd{\cdot}m^{-2}{\cdot}lux^{-1}$ (비오는 조건)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나노 또는 마이크로 입자의 전사를 이용한 건식 접착제의 제조 및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ano- and micro-particles applied dry adhesives)

  • 유민지;;한석진;박재홍;김성룡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1호
    • /
    • pp.23-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입자 형상을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에 전사시켜 건식접착제를 제조하고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20 nm, 40 nm, 70 nm의 직경을 가지는 구리 나노 입자형상과 $5{\mu}m$의 직경을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PMMA) 마이크로 입자 형상을 전사시켜 PDMS 건식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입자의 종류 및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건식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 인장 접착강도, 표면 형상, 접촉각, 광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 nm 직경을 가지는 구리 나노 입자를 전사시켜 얻은 건식 접착제는 bare PDMS 필름에 비하여 300% 이상 향상된 인장 접착강도를 가졌다. 나노 입자를 전사시켜 얻은 큰 표면적 건식 접착제 구조가 높은 인장 접착강도를 부여하는 원인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나노 입자를 전사시키는 방법이 PDMS 건식 접착제의 제조에 있어 쉽고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미세조직 정량 분석을 통한 고체산화물연료전지용 NiO-YSZ 연료극 지지체의 기계적/전기적 성능 예측 (Prediction of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NiO-YSZ Anode Support for SOFC from Quantitative Analysis of Its Microstructure)

  • 완디 와휴디;무하마드 샤질 칸;송락현;이종원;임탁형;박석주;이승복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521-530
    • /
    • 2017
  • Improving the microstructure of NiO/YSZ is one of several approaches used to enhance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n anode support in Solid Oxide Fuel Cells (SOFCs). The aim of the work reported in this paper was to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icrostructural changes and the resulting properties. To this end, modification of the anode microstructure was carried out using different sizes of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beads as a pore form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se samples were measured using four-probe DC, and three-point bend-test methods, respectively. Thermal etching followed by high resolution SEM imaging was performed for sintered samples to distinguish between the three phases (NiO, YSZ, and pores). Recently developed image analysis techniques were modified and used to calculate the porosity and the contiguity of different phases of the anode support. Imag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porosity values determined from mercury porosimetry measurements. Contiguity of the three phases was then compared with data from electrical and mechanical measurements. A linear relationship was obtained between the contiguity data determined from image analysis, and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found experimentally. Based upon these relationships we can predict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FC support from the SEM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