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I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5초

Assessment of ASP-PMIS Quality in Korea

  • Lee, Seul-Ki;Yu, Jung-Ho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1권3호
    • /
    • pp.9-17
    • /
    • 2011
  • Web-based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as played significant role in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es in Korea. As the use of web-based PMIS increases, regular quality assessment to identify user's requirements is necessary. However, there have been rare research efforts for quality assessment of web-based PMI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quality of web-based PMIS, especially ASP-PMIS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based PMIS) that is widely used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e assessment factors of ASP-PMIS quality were adopt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empirically confirm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SA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which is a variation of original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re selected for the assessment and analysis method in this research. A total of 253 complet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23 assessment items, were collected from the ASP-PMIS users in Korea (construction managers and constructors), and they were used to analyse the quality of the systems. Some possibl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it introduces a simple and easy-to-use tool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ASP-PMIS with a set of quality assessment factors that are sele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empirically tested; it provides the quality assessment results of ASP-PMIS in Korea so that ASP-PMIS providers in Korea can understand the users' opinion on their systems; it also identified that the urgent factors that require immediate attention to improvement. However, further researches are to be required on the following areas: enhancing the quality assessment factors in terms of their relation to the success of ASP-PMIS and to the users' performance; assessing and analyzing the quality of individual ASP-PMIS; establishing continuous improvement systems institutionally and instrumentally.

PMIS구축의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PMIS의 효율적인 적용방안 (Effective Application of PMIS through Analysis of Barriers At the Development of PMIS)

  • 김진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07-11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application of PMIS through analysis of barriers at the development of PMI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1)analyzes the prior theory about PMIS, 2)performs a case study to embody the problems and barriers of the PMI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d 3)proposes improvement plans for supporting PMI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case study and interviewing experts. And the expectancies of this study are that it can be used as efficient data for improvement of system to systematize contents of PMI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alysis of Quality Improvement Priority for Construction PMIS

  • An, Hyo-Kyung;Lee, Seul-Ki;Lee, Hyoung-Lak;Yu, Jung-Ho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21
    • /
    • 2012
  • As one of the key IT applications,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es in Korea. On increasing use of PMIS, regular quality assessment to identify user's requirements of PMIS is necessary. However, there have been rare research efforts for quality assessment for the construction PMIS.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priority index of quality improvement for construction PMIS us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measures and to verify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priority index by comparing it with other quality improvement priority index.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s some possible ways of PMIS quality improvement. The analysis of quality improvement priority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responded by 253 PMIS users (construction managers and constructors). The methods of PMIS improvement were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eight experts. These findings would be the foundation of further researches on PMIS quality improvement. However, more effort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priority index, in terms of reflecting weighted values of quality assessment factors.

CMM개념을 활용한 건설 PMIS 평가 모델 개발 - 프로젝트 의사전달관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n PMIS function using CMM - Focused on Project Communication Management -)

  • 박정하;신규철;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60-463
    • /
    • 2002
  • 건설산업에서 활용되는 정보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분석 및 계획수립을 위하여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 및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PMIS에 관한 연구는 크게 3가지 관점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스템 정보 분류를 통한 시스템 기능 분석, 둘째, 정보화전략에 따른 현황을 반영한 PMIS구축방향 제시, 셋째, 사업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PMIS평가 연구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사업관리 업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PMIS평가 연구로서, 기존 PMIS평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PMBOK의 프로젝트 관리업무 중 정보전달을 통한 의사전달관리업무(Project Communication Management)를 대상으로 CMM(Capability Maturity Model)을 활용하여 건설PMIS 사업관리기능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의사전달관리의 핵심업무들에 대하여 실제 PMIS기능을 수행하는 시공사의 end-user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건설PMIS의 새로운 평가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차세대 스마트형 PMIS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Smart PMIS System)

  • 박경모;임철우;김창덕;정형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17-130
    • /
    • 2013
  • 최근 건설 산업의 경향은 대형화, 국제화 되고 발주자는 사업수행기간의 단축을 요구하는 환경 속에서 건설 현장의 다양한 업무내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선진외국에 2000년대 초부터 지속적으로 공정관리/시공관리/자원관리/노무관리/문서관리 등의 다양한 공사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Web 기반의 PMIS 개발에 주력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IT기기의 활발한 보급과 더불어 현장에서도 클라이언트 PC를 통한 PMIS 접근 방식보다 신속하게 다양한 공정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형 PMIS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Web 기반의 PMIS를 현장 작업자가 공사현장 또는 이동 중에도 태블릿 PC와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활용하는 차세대 스마트형 PMIS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러한 차세대 스마트형 PMIS의 개발 과정과 개발된 주요기능을 소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프로젝트 성과, 사용자 만족도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PMIS의 산업별 영향 비교 (Examining the PMIS Impacts on the Project Performance, Us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among the Project based Industries)

  • 박소현;이아연;김승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6-287
    • /
    • 2021
  •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is a special purpose information system that is crea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oject managers and participants to make effective and efficient decision making during projects. The use of PMIS is increasing in project based industries such as construction, defense, manufacturing, software development, telecommunication, etc. It is generally known that PMIS helps to improve the quality of decision making in project management, and consequently improves the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it is unclear what are the difference of PMIS impacts between industries, and still need to be studied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mpact of PMIS on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between industries. We assume that the effects of PMIS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ustry types. Five hypotheses are established and tested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from those people who had experience of using PMIS in various project related industries such as construction, defense, manufacturing, software development and telecommunic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5 point scale items and were distributed through e-mails and google drive network. A total of 18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137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those responses with missing item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re used to analyze the data. Summarizing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impacts of PMIS quality on the PM performanc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ustry types where PMIS is used. System quality seems to be more important for improving the PM performance in construction industry while information quality seems more important for manufacturing industry. As for the ICT and R&D industries, PMIS seems to have relatively lesser impact compared to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BIM을 활용한 다중복합 프로젝트의 인트라넷 기반 통합사업관리체계 구축 방안 (Development of intranet-based Progra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f multi-complex project with application of BIM)

  • 송일갑;허영란;서종원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7-39
    • /
    • 2012
  • 공공사업의 경우 다중 프로젝트, 메가 프로젝트 등 다양한 발주형태로 건설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건설사업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PMIS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대다수의 PMIS는 단일프로젝트 중심으로 개발되어있어 전체 사업관리를 위한 시스템 통합과정에서 시스템 간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공공사업 중심으로 사업과정에서 BIM을 적용하도록 한 발주가 증가하였으나, 아직까지 BIM을 활용한 사업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연계 PMIS의 개발 및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IS As-Is분석과 To-Be분석을 통해 다중복합 프로젝트 PMIS의 주요 목표기능을 도출하고 Internet-Intranet의 이원화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통합사업관리체계를 적용한 PMIS 발전모델과, 상용 BIM Tool과 PMIS를 직접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BIM 기술의 순차적인 적용방안을 통하여 통합사업관리시스템에 적합한 BIM 기반 PMIS 구축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BIM 기술의 활성화에 대비한 단계별 PMIS 발전 모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액티비티 기반의 EVM - PMIS 통합모델 구축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ity-Based EVM - PMIS Integration Model)

  • 나광태;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9-212
    • /
    • 2010
  • 국내 건설산업에 있어서 기술과 정보의 기반구조를 확립하기 위하여 몇몇 건설정보관련 법규가 제도화되었다. 그러나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EVM), 프로젝트관리 정보시스템(PMIS)은 주요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현행 PMIS의 기능은 시공자 위주의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EVM이 적용되지 않아 발주자를 위한 보고, 분석, 예측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더욱이 EVM과 PMIS가 서로 분리된 체계로 운영되고 있어 발주자가 실시간으로 공정 및 공사비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PMIS가 EVM기능을 제공하고 사업참여자들이 제반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WBS 구축방안과 EVM - PMIS 통합모델을 제안하여, E-비즈니스 업무환경하에서 PMIS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틀(framework)을 제공하는 것이다. EVM - PMIS 통합의 핵심은 EVM과 PMIS가 액티비티 기반의 동일한 운영체계를 갖는 것이다. 통합의 원리는 액티비티의 정보항목(field)을 PMIS의 공정 및 공사비관리 기능을 위한 하위모듈을 구성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table)의 항목과 연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액티비티의 계획공사비(PA), 달성공사비(EV), 실투입비(AC), 공정편차(SV), 공정수행지수(SPI), 공사비편차(CV), 공사비지출지수(CPI)는 PMIS의 공정 및 공사비 하위모듈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항목으로 연계된다.

국내 PMIS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 D지역 지하철 현장을 중심으로 - (An Improved Scheme of Domestic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rough Case Studies of Subway Construction in D. Area)

  • 김진규;현경미;김환;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80-383
    • /
    • 2004
  • 국내 건설산업은 정보화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친 변화의 흐름에 맞추어 사업 전 단계(기획, 설계, 발주, 시공, 유지)에 걸쳐 IT를 접목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현재 국내 건설산업에서 PMIS 구축 노력이 가속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형 건설업체의 독자적으로 개발된 형태와 일부 ASP 사업자의 웹호스팅 서비스를 통한 PMIS가 건설현장에 도입되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D지역에 건설 중인 지하철 정거장 건축공사에 적용되고 있는 PMIS의 발주자 요구사항 분석 및 운영단계에서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PMIS 적용 사례 및 국외 PMIS 기술 현황에 대해 고찰하고 D지역 지하철 건축공사에 적용된 PMIS의 발주자 요구사항, 설계안, 활용도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PMIS 운영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계약 $\cdot$ 제도적 측면, 운영 $\cdot$ 관리적 측면, 그리고 외부시스템과의 연계 측면에서 제시한다

  • PDF

비용-일정통합기반 진도관리 개선방안 (Improvement of Cost-Schedule integration based Progress Management through PMIS)

  • 윤유상;서상욱;장규성;최장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44-152
    • /
    • 2013
  • 최근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되면서 건설사들은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관리업무를 수행한다. 특히, 건설공사 수행과정에서 가장 빈번한 정보입출력이 발생하는 진도관리 기능은 PMIS의 여러 기능 중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PMIS 내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대부분 중복입력 없이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도관리를 위한 데이터는 비용과 일정 정보의 개별 입력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가상승, 설계변경 등에 의해 비용과 일정이 변경되는 사항에 대한 정보가 연계되지 못하여 진도측정의 부정확성과 PMIS에서 관리해야할 데이터의 증가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진도측정방법의 개선과 이를 기반으로 한 PMIS 진도관리 모듈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량산출정보 기반의 비용-일정 통합 진도측정방법과 비용-일정 통합관리에 필요한 PMIS 공통관리항목을 기반으로 한 PMIS 진도관리 개선 모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