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A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28초

THP-1 세포에서 거품세포 형성과 단핵구 분화 및 활성화에서 7-ketocholesterol의 역할 (Suppression of PMA-induced Differentiation via Foam Cell Formation in THP-1 Cells by 7-Ketocholesterol)

  • 이미선;박시은;김관회;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7
    • /
    • 2022
  • Oxysterols은 콜레스테롤의 산화 유도체로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에서 병태생리학으로 큰 관련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oxysterols 중 많은 양을 차지하는 7-ketocholesterol (7-KC)이 단핵구(monocyte)의 분화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인간 단핵구세포주 THP-1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7-KC를 처리한 THP-1 세포는 세포독성 없이 약간의 세포증식이 감소하였고, 세포내 lipids의 양이 크게 증가함을 Nile red 염색에 의해 관찰하였다. 7-KC는 단독으로 세포의 부착능(adhesion)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로 자극한 THP-1 세포에서는 부착능의 뚜렷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형광이 부착된 latex beads를 이용하여 7-KC의 phagocytosis (포식능)를 조사하였다. 7-KC는 PMA로 분화를 자극한 세포의 phagocytosis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7-KC를 처리한 THP-1 세포는 대식세포(macrophage)의 막표면 인자인 ICAM-1, CD11a, scavenger receptor(SR, 청소수용체) SR-A1, SR-B2 (CD36)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하지만, 7-KC는 단독으로 혹은 PMA로 자극한 세포에서도 SR-D1 (CD68)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를 종합하면, 7-KC는 단핵구를 sterols이 풍부한 거품세포(foam cell)로 변형시킴으로써 생리적 자극에 의한 정상적인 단핵구의 분화와 활성화를 저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PMA에 의한 중성구의 당섭취 기전 연구 (Mechanism of Glucose Uptake on PMA Stimulated Neutrophils)

  • 백진영;고봉호;유만길;진광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9-255
    • /
    • 2007
  • While respiratory burst enhances neutrophil glucose utilization, many neutrophil functions are critically influenced by extracellular matrix interaction and phosphoinositide-3-OH kinase (PI3K) signaling. We thus evaluated the role of RGD integrin occupancy and PI3K inhibition on respiratory burst and [18F]FDG uptake of stimulated neutrophils. Human neutrophils were stimulated by 100 ng/mL phorbol-myristate-acetate (PMA), and respiratory burst was measured by cumulative luminescence with lucigenin. [18F]FDG uptake and total hexokinase activity was measured 20 min after PMA stimulation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oluble RGD peptides (200 g/mL) and/or the PI3K inhibitor wortmannin (200 nM). PMA induced a 71.70.9 fold increase in neutrophil oxygen intermediate generation. [18F]FDG uptake was increased to $194.6{\pm} 3.7%$ and hexokinase activity to $145.0{\pm}2.0%$ of basal levels (both p<0.0005). RGD peptides attenuated respiratory burst activation to $35.6{\pm}0.2%$ (p<0.005), but did not inhibit stimulated [18F]FDG uptake or hexokinase activity. In contrast, without affecting respiratory burst activation, wortmannin inhibited PMA stimulated [18F]FDG uptake to $66.9{\pm}1.6%$ and hexokinase activity to $81.0{\pm}4.2%$ (both P<0.0005), demonstrating its dependence on PI3K activity. Neither RGD nor wortmannin reversed the other's inhibitory effect on stimulated [18F]FDG uptake and hexokinase activity or respiratory burst, which suggests the involvement of distinct signaling pathways. Neutrophil [18F]FDG uptake is enhanced by PMA through a mechanism that requires PI3K activity but is independent of integrin receptor occupancy or respiratory burst activation.

  • PDF

Effects of Nodakenin, Columbianadin, and Umbelliferone Isolated from the Roots of Angelica decursiva on the Gen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MUC5AC Muci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NCI-H292 Cells

  • Lee, Hyun Jae;Lee, Choong Ja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3호
    • /
    • pp.201-207
    • /
    • 2017
  • Angelica decursiva has been utilised as remedy for controlling the airway inflammatory diseases in folk medicine. We investigated whether nodakenin, columbianadin, and umbelliferone isolated from the roots of Angelica decursiva inhibit the gen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MUC5AC mucin from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Confluent NCI-H292 cells were pretreated with nodakenin, columbianadin or umbelliferone for 30 min and then stimulated with epidermal growth factor (EGF),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or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for 24 h. The MUC5AC mucin gene expression was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Production of MUC5AC mucin protein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dakenin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MUC5AC mucin gene induced by EGF, PMA or $TNF-{\alpha}$. Columbianadin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UC5AC mucin gene induced by EGF or PMA. However, umbelliferone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UC5AC mucin gene induced by EGF, PMA or $TNF-{\alpha}$; (2) Nodakenin also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MUC5AC mucin protein induced by EGF, PMA or $TNF-{\alpha}$. Columbianadin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UC5AC mucin protein induced by PMA. However, umbelliferone inhibited the production of MUC5AC mucin protein induced by EGF, PMA or $TNF-{\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ong the three compounds investigated, umbelliferone only inhibits the gen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MUC5AC mucin stimulated by various inducers, by directly acting on airway epithelial cells, and the results might explain the traditional use of Angelica decursiva as remedy for diverse inflammatory pulmonary diseases.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및 phenylmercuric acetate가 호마엽고병균의 호흡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and phenylmercuric acetate on respiration of Cochliobolus miyabeanus)

  • 김기청;서용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65-69
    • /
    • 1968
  • 본 실험에 있어서는 phenylmercuric acetate에 못지 않은 살균력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phenylemercuric 8-oxyquinolinate를 phenylmercuric acetate 와 대비시켜 벼 고마엽고병균 에 대하여 먼저 균체의 건물량에 의한 균사발육 효과를 확인하고 포자 및 균사의 호흡 저해효과를 검토한 바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균사발육 억제효과를 보면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는 phenylmercuric acetate보다 약간 떨어지나 현저한 차이는 없으며, 양자 모두 0.01ppm부터 1.0ppm까지의 사이에서 급격히 발육 억제효과가 증가한다. (2) 포자효흡 저해작용은 0.1ppm을 제외하고는 phenylmercuric acetate가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보다 약간 강하나 뚜렷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으며 0.01ppm에서는 거의 저해효과가 없는 듯하다. (3) 균사호흡 저해작용은 포자호흡과는 반대로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가 phenylmercuric acctate 보다 강하며, 또한 그 차도 커서 약 $10\%$쯤 된다. (4)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의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phenylmercuric acetate와 동정도이거나 약간 높으며, 균사발육 억제효과는 phenylmercuric acetate보다 낮음이 명백하다.

  • PDF

FEM을 이용한 영구자석형 릴럭턴스 동기전동기의 자속 장벽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lux Barrier of Permanent Magnet Assisted Reluctance Synchronous Motor Design using FEM)

  • 김남훈;남상현;최경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95-30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세탁기용으로 사용될 영구자석형 릴럭턴스 동기전동기(permanent-magnet assisted reluctance synchronous motor : PMA-RSM)의 설계와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안된 PMA-RSM의 특성과 최대 토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유한 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 하였다. 저속 구간에서의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회전자의 구조는 릴럭턴스 토크를 만들어내는 돌극 구조와 회전자 내부의 공극에 영구자석을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형적인 자속 장벽형(Flux barrier type) 릴럭턴스 동기전동기(RSM : Reluctance Synchronous Motor)와 자속 장벽(Flux barrier)에 자석을 삽입한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들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고, 또한 제안된 PMA-RSM의 릴럭턴스 토크(reluctance torque)와 자석에 의한 자석 토크(magnetic alignment torque)가 서로 최대가 되는 시점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구하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전동기의 특성, 평균토크 그리고 토크 리플에 대해서 유한 요소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단핵구세포주 THP-1의 분화과정에서 Ref-1의 역할 (The Role of Ref-1 in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Monocytic THP-1 Cells)

  • 김다솔;김강미;김관회;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1-278
    • /
    • 2024
  • Redox factor (Ref)-1은 세포질과 핵을 오가며 산화환원(redox) 환경에 민감한 transcription factors의 조절과 손상된 DNA의 교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이다. 하지만, 단핵구(monocyte)의 대식세포(macrophage)로의 분화과정에서 Ref-1의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단핵구세포주 THP-1을 이용하여 Ref-1의 단핵구 분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화제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는 시간이 지날수록 세포의 부착능을 증가시키고 포식기능의 현저한 증가를 보이지만, Ref-1의 세포 내 양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Ref-1의 억제제인 E3330와 siRNA 기법을 이용한 Ref-1 knock- down은 PMA에 의한 세포 부착능과 막표면 분화인자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는 PMA에 자극을 받은 THP-1 세포의 분화 초기과정에는 Ref-1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핵구 분화과정에서 Ref-1의 작용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PMA로 자극한 THP-1 세포의 세포질과 핵에서 Ref-1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놀랍게도, PMA 자극은 Ref-1을 빠르게 핵으로 이동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Ref-1의 핵으로의 이동이 단핵구 분화에 필요함을 증명하기 위하여, nuclear localization sequence (NLS)가 제거된 Ref-1 vector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핵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NLS Ref-1의 과발현은 PMA 자극에 의한 막표면 단백질의 발현 억제와 포식기능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이를 종합하면, Ref-1은 분화제 자극에 의한 분화 유도 초기과정에 핵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분화인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PMA에 의해 유도된 cycooxygenase-2 활성에 대한 새로운 발효법에 의한 대두산물의 억제 효능 (Inhibition of Phorbol 12-myristate-13-acetate Induced Cyclooxygenase-2 Activity by Three-step Fermented Soybeans)

  • 박철;이정옥;류충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0-186
    • /
    • 2008
  •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U937 세포에서 FSB 및 TFS 모두 2 mg/ml의 농도에서 6시간까지는 세포증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PMA 처리에 의해서도 세포증식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세포의 형태 및 핵의 형태도 PMA와 FSB 및 TFS의 처리에 의해서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COX-2의 발현의 정도는 PMA 처리에 의해서 증가하였고, 이렇게 증가한 COX-2는 FSB 및 TFS의 선처리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X-2에 의해 생성되어 염증반응을 유발하며 세포분열이나 증식에 영향을 줌으로서 각종 질병의 유발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PGE_2$의 경우도 PMA처리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며 FSB 및 TFS 처리에 의해서 강하게 억제되었다. 특히 FSB에 비하여 TFS를 선처리하였을 경우 PMA에 의하여 과발현된 COX-2 및 $PGE_2$ 생성의 억제정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FSB 및 TFS의 항염증기전 해석을 위한 이해와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우스 난 성숙과정에서의 Thymeleatoxin의 영향 (Effect of Thymeleatoxin on Mouse Oocyte Maturation)

  • 임은아;신지현;최태생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87-190
    • /
    • 2004
  • PKC는 그들의 cofactor-requirments에 따라 cPKC, nPKC 그리고 aPKC, 3그룹으로 나어진다. 마우스 난 성숙과정에 있어서 cPKC 및 nPKC의 activators인 PMA의 영향에 대한 많은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그룹에 대한 차별화된 영향에 대하여는 밝혀져 있지 않다. Mezerein의 analog인 thymeleatoxin은 cPKC의 특이적인 activator로 보고되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ecific cPKC activator인 thymeleatoxin의 마우스 난 성숙과정에의 영향을 제1감수분열 재개 능(germinal vesicle break down, GVBD)과 제1 극체 형성 능(1st polar body extrusion)을 조사하여 cPKC및 nPKC activator인 PMA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GVBD IC50는 thymeleatoxin에서 ~400nM, PMA에서는 ~50nM이었으며, 제1극체 방출의 IC50는 thymeleatoxin에서 ~200nM, PMA에서는 ~20nM이었다. 이들 결과는 Thymeleatoxin의 GVBD나 1st polar body extrusion 저해효과가 PMA에 비하여 1/8~1/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GVBD나 제1극체 형성을 포함하는 난 성숙과정에서 cPKC보다 상대적으로 nPKC의 관여가 깊음을 보여 준다.

Simulation Techniques for Mid-Frequency Vibro-Acoustics Virtual Tools For Real Problems

  • Desmet, Wim;Pluymers, Bert;Atak, Onur;Bergen, Bart;Deckers, Elke;Huijssen, Koos;Van Genechten, Bert;Vergote, Karel;Vandepitte, Dirk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49
    • /
    • 2010
  • The most commonly used numerical modelling techniques for acoustics and vibration are based on element based techniques, such as the nite element and boundary element method. Due to the huge computational eorts involved, the use of these deterministic techniques is practically restricted to low-frequency applications. For high-frequency modelling, probabilistic techniques such as SEA are well established. However, there is still a wide mid-frequency range, for which no adequate and mature prediction techniques are available. In this frequency range, the computational eorts of conventional element based techniques become prohibitively large, while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probabilistic techniques are not yet valid. In recent years, a vast amount of research has been initiated in a quest for an adequate solution for the current midfrequency problem. One family of research methods focuses on novel deterministic approaches with an enhanced convergence rate and computational ecienc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ement based methods in order to shift the practical frequency limitation towards the mid-frequency range. Amongst those techniques, a wave based prediction technique using an indirect Tretz approach is being developed at the K.U.Leuven - Noise and Vibration Research group. This paper starts with an outline of the major features of the mid-frequency modelling challenge and provides a short overview of the current research activities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Next, the basic concepts of the wave based technique and its hybrid coupling with nite element schemes are described. Various validations on two- and threedimensional acoustic, elastic, poro-elastic and vibro-acoustic examples are given to illustrate the potential of the method and its benecial performance as compared to conventional element based methods. A closing part shares some views on the open issu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PDF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 PMA에 의한 thrombospondin-1 발현 억제 (Suppression of Thrombospondin-1 Expression by PMA in the Porcine Aortic Endothelial Cells)

  • Chang, Seo-Yoon;Kang, Jung-Hoon;Hong, Kyong-Ja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4-162
    • /
    • 2004
  • 암의 성장과 신생혈관 억제인자로 알려진 thrombospondin-1의 생합성은 다양한 외부자극에 대해 전사단계에서 세포 특이적으로 조절된다. 이전의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은 PMA가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PAE)에서는 TSP-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반면 사람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는 증가시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PMA 처치에 따른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의 TSP-1의 발현 감소현상은 tsp-1 유전자 조절부위의 염기서열 -767과 -723사이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이 억제 부위임을 밝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767에서 -723 염기서열을 서로 부분 중복되도록 세 종류의 올리고 탐식자 (올리고 탐식자 a-1, -767∼-738; 올리고 탐식자 a-2, -759∼-730; 올리고 탐식자 a-3, -752∼723)를 제작하여 -767과 -723 부위의 특정 염기서열과 이에 결합하는 인자를 EMSA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PMA 처치에 따른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의 TSP-1 감소는 -752에서 -730 사이의 염기서열이 저해 조절인자와 결합함과 더불어 -767에서 -760과 -752에서 -730 사이의 염기서열들에 촉진 조절인자들이 결합하지 못함으로서 기인된다는 실험적 사실을 관찰하였고. 특히, PMA 처치는 정상 돼지 대동맥 내피세포에서 저해 조절인자의 -752에서 -730 부위에 대한 친화력을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친화력은 c-Jun 항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