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4.0

검색결과 15,986건 처리시간 0.05초

건강성인의 혈구 참고치 산정 (Hematological Reference Values in the Healthy Adults)

  • 김영진;현명수;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54-165
    • /
    • 1991
  • 1) 건강한 성인 2823명을 대상으로 자동혈구 계산기인 Coulter Counter Model S plus II를 이용하여 본원의 참고치를 설정하였다. 산출된 참고치는 기기의 설명서에 제시되어 임상 의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참고치와 차이가 있었다. 2) 국내의 보고들과 비교해 볼 때 본원의 참고치와 대체로 비등하였고 기기의 설명서에 제시된 참고치와는 차이가 있으므로 본원의 참고치률 설정하여 사용하여야 하겠다. 3)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혈구 수는 남자 $6.800{\pm}2.680(2SD)/{\mu}l$, 여자 $5.950{\pm}2.380(2SD)/{\mu}l$ 이었다. (2) 적혈구 수는 남자 $428{\pm}60(2SD){\times}10^4/{\mu}l$, 여자 $415{\pm}56(2SD){\times}10^4/{\mu}l$ 이었다. (3) 혈색소량은 남자 $15.4{\pm}1.8(2SD)g/dL$, 여자 $13.0{\pm}1.6(2SD)g/dL$ 이었다. (4) 적혈구 용적은 남자 $45.3{\pm}5.0(2SD)%$, 여자 $38.2{\pm}4.6(2SD)%$ 이었다. (5) 평균 적혈구 용적은 남자 $93.8{\pm}5.8(2SD)fL$, 여자 $92.2{\pm}7.4(2SD)fL$ 이었다. (6)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은 남자 $31.8{\pm}2.2(2SD)pg$, 여자 $31.4;{\pm}2.8(2SD)pg$ 이었다. (7) 평균 적혈구 혈색소농도는 남자 $34.0{\pm}1.2(2SD)%$, 여자 $33.9{\pm}1.2(2SD)%$ 이었다. (8) 적혈구 분포 폭은 남자 $12.7{\pm}1.0(2SD)%$, 여자 $12.6{\pm}1.4(2SD)%$ 이었다. (9) 혈소판 수는 남자 $242.9{\pm}87.8(2SD){\times}10^4/{\mu}l$, 여자 $242.2{\pm}89.0(2SD){\times}10^4/{\mu}l$ 이었다. (10) 혈소판 용적은 남자 $0.201{\pm}0.076(2SD)%$, 여자 $0.204{\pm}0.076(2SD)%$ 이었다. (11) 평균 혈소판 용적은 남자 $8.20{\pm}1.70(2SD)fL$, 여자 $8.36{\pm}1.82(2SD)fL$ 이었다. (12) 혈소판 분포 폭은 남자 $16.1{\pm}0.8(2SD)%$, 여자 $16.0{\pm}0.8(2SD)%$ 이었다.

  • PDF

ICT 의료시설 기반에서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교육 요구도와 간호사의 교육수행 정도 (The Needs for Discharge Educat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of Nurses Perceived by Premature Infants Mothers In the ICT Medical Service)

  • 김수희;최성우;류소연;한미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07-716
    • /
    • 2016
  • 본 연구는 ICT 시대에서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교육 요구도와 미숙아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사의 교육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관련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G광역시 2차 진료기관인 K종합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 중에서 연구에 동의한 54명이며, 자기 기입식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퇴원 교육 요구도와 간호사의 교육수행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역은 '이상증상 확인과 관리'($0.55{\pm}0.97$, p=0.001), '배설관리'($0.45{\pm}1.11$, p=0.004), '성장발달'($0.41{\pm}1.08$, p=0.007)이었다. 퇴원교육 요구도는 분만형태(질식분만: $4.41{\pm}0.47$, 제왕절개: $4.03{\pm}0.47$, p=0.040)와 출생순위(첫째: $4.37{\pm}0.53$, 둘째: $4.25{\pm}0.51$, 셋째이상: $3.75{\pm}0.72$, p=0.03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숙아 어머니가 인지한 간호사의 교육수행도는 조력자의 유무(있음: $4.15{\pm}0.66$, 없음: $3.48{\pm}0.67$, p=0.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이런한 결과를 기반으로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교육 요구도에 근거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ICT 기반하의 퇴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애반딧불이(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의 생육 특성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Luciola lateralis (Coleoptera: Lampyridae) in Mass Breeding)

  • 김하곤;권용정;서상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28-1732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애반딧불이의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23^{\circ}C$, R.H. 80%에서 사육에서 성충 수명은 암컷이 $17.5{\pm}0.7$일, 수컷이 $20.6{\pm}1.0$일으로 수컷이 다소 높았으나, 사육밀도별 유의차는 없었다. 성충 출현 후 최초 산란일은 1쌍 $2.8{\pm}1.5$일, 2쌍 $2.5{\pm}1.5$일, 3쌍 $1.7{\pm}0.7$일, 4쌍 $1.3{\pm}0.5$일로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란전기가 짧아졌다. 산란수는 평균 $248.9{\pm}80.7$개를 산란하며, 사육밀도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일별 산란은 산란 시작 1일째가 20.8%, 2일째 17.3%, 3일째 14.3%, 4일째 12.7%, 5일째 7.0%의 순으로 산란 시작 1일째가 가장 높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낮아졌다. 난기간은 $21.8{\pm}0.7$일이고, 부화율은 $95.5{\pm}4.8%$이었다. 유충 령기 구분은 탈피각과 유충반문으로 조사한 바 9령으로 확인되었고 1령 $1.0{\pm}0.1$일, 2령 $3.3{\pm}0.2$일, 3령 $10.2{\pm}1.0$일, 4령 $6.8{\pm}0.5$일, 5령 $6.9{\pm}2.0$일, 6령 $15.4{\pm}4.1$일, 7령 $18.3{\pm}5.9$일, 8령 $25.8{\pm}8.7$일, 9령 $31.2{\pm}13.2$일이었다. 성숙한 9령 유충은 $2.8{\pm}0.8$일 동안 용실을 만들고, 전용기간과 용기간은 $4.6{\pm}0.9$일과 $5.6{\pm}0.7$일이었으며, 성충이 된 후 약 $3.8{\pm}0.4$일 동안 뒷날개를 굳힌 후 용실을 뚫고 탈출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과 자일리톨이 배합된 껌의 치은염 예방 및 항균효과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 진미성;유윤정;최봉규;이희영;김미정;노회진;박종섭;조규성;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485-497
    • /
    • 2003
  • Grapefruit seed extract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microbial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40 healthy subjects with gingivitis or early periodontiti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whil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only xylitol. All subjects received scaling and tooth brushing instruction. 1 week after scaling was set as baseline.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 were scored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Bleeding index, probing pocket depth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were scored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and Streptococcus mutans in unstimulated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were counted at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Gingival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850${\pm}$0.298, 0.575${\pm}$0.345, 0.533${\pm}$0.332, 0.459${\pm}$0.311, 0.408${\pm}$0.224 and 0.758${\pm}$0.379, 0.592${\pm}$0.276, 0.563${\pm}$0.281, 0.454${\pm}$0.194, 0.413${\pm}$0.199 (mean${\pm}$SD), respectively. Plaque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497${\pm}$0.500, 0.375${\pm}$0.484, 0.332${\pm}$0.471, 0,286${\pm}$0.452, 0.210${\pm}$0.407 and 0.411${\pm}$0.492, 0.375${\pm}$0.484, 0.354${\pm}$0.479, 0.313${\pm}$0.463, 0.193${\pm}$0.395, respectively. Bleeding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0.377${\pm}$0.177, 0.298${\pm}$0.152, 0.192${\pm}$0.108 and 0.383${\pm}$0.124, 0.318${\pm}$0.153, 0.225${\pm}$0.126, respectively. Probing pocket depth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6${\pm}$1.00, 2.40${\pm}$0.65, 2.23${\pm}$0.64 and 2.45${\pm}$0.682.37${\pm}$0.57, 2.19${\pm}$0.57, respectively. Clinical attachment level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8${\pm}$1.01, 2.43${\pm}$0.67, 2.26${\pm}$0.65 and 2.49${\pm}$0.70, 2.40${\pm}$0.59, 2.22${\pm}$0.62, respectively. The % of reduction of total bacteria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46 ${\pm}$ 53%, 53 ${\pm}$ 5% and 69 ${\pm}$ 33%. The % of redu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count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52${\pm}$69%, 88${\pm}$30% and 89${\pm}$17%.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regular use of grapefruit seed extract /xylitol chewing gum may be effective to control and prevent gingivitis and may have caries-preventive effect.

OPU(Ovum Pick-Up) 채란기간이 난자 및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U (Ovum Pick-Up) Duration on the Rate of Collected Ova and In Vitro Produced Blastocyst Formation)

  • 진종인;권태현;최병현;김성수;조현태;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OPU를 통한 체내 유래 난자를 이용한 수정란 생산 시 1개월에서 6개월까지의 연구 기간에 따른 난포 생성수, 난자 회수율, 난자 등급율, 배반포 생성률을 분석하여 공란우의 활용 기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채란 기간에 따른 난포 생성수는 1개월에서 5개월까지의 난포 생성수는 $7.78{\pm}0.57$, $9{\pm}0.68$, $6.96{\pm}0.60$, $7.18{\pm}0.83$, $6.19{\pm}0.82$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6개월째에는$2.83{\pm}0.39$개로 급격하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2. 채란 기간에 따른 난자 회수개수는 1개월에서 3개월까지는 $6.0{\pm}0.5$, $6.2{\pm}0.7$, $5.2{\pm}0.6$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부터 6개월까지 $3.7{\pm}0.5$, $2.8{\pm}0.4$, $1.2{\pm}0.2$개로 유의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난자 회수율 또한 1개월에서 3개월까지는 76.9%, 69.3%, 75.2%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에서 6개월까지는 51.1%, 44.6%, 41.2%로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채란 기간에 따른 난자 등급은 Grade 1, 2등급 출현율이 1개월부터 3개월까지 Grade 1은$1.8{\pm}0.3$, $2.2{\pm}0.3$, $1.9{\pm}0.3$, Grade 2는 $2.1{\pm}0.3$, $2.4{\pm}0.3$, $2.1{\pm}0.3$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 5개월에는 Grade 1은 $1.73{\pm}0.27$, $1.14{\pm}0.33$, Grade 2는 $1.33{\pm}0.28$, $0.67{\pm}0.16$로 유의적으로 줄어들었으며, 6개월에는 Grade 1은 $0.3{\pm}0.1$, Grade 2는 $0.5{\pm}0.2$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Grade 3과 4의 출현율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4. 채란 기간에 따른 배반포 발달율은 1개월에서 3개월까지의 배반포 발달율은 37.2%, 40.4%, 44.6%로 높은 발달율을 보이며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째에는 24.8%, 5개월째에는 29.3%, 6개월째에는 28.6%로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회 채란 시 수정란의 생산 개수 또한 1개월에서 3개월까지는 $2.2{\pm}0.3$, $2.5{\pm}0.3$, $2.3{\pm}0.4$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째부터 6개월까지는 $0.9{\pm}0.2$, $0.8{\pm}0.2$, $0.3{\pm}0.2$개로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약 3개월까지는 공란우의 활용이 효율적인 점과 4개월부터는 난자 회수와 그에 따른 1회 채란 시 배반포의 생성 수 또한 점차 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란우의 활용을 최대 3개월까지 활용하고, 교체한다면 3~4일 간격으로 1주일에 2회 OPU 방법으로 체내 난자를 채란 후 수정란을 생산하는 시스템은 1두에 3개월간 약 48개의 이식 가능한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고, 산술적으로 년간 1두당 약 200개의 이식 가능한 OPU 유래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공란우를 3개월 활용 후 교체를 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한우 및 돼지의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lood Chemistry of Korean Native Cattle and Pigs)

  • 도재철;이창우;손재권;정종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9-53
    • /
    • 1990
  • In order to know the range in blood chemical values and enzyme activities of korean native cattle and pigs being raised in kyongbuk province, the mean values of serum protein compositions, enzyme activities(GOT, GPT, ALP), cholesterol, glucose, bilirubin, creatinine, urea nitrogen and uric acid were determin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Mean contents of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 and A / G ratio for the korean native male cattle were $7.28{\pm}0.86$ g / dl, 43.39{\pm}0.65$ g / dl, 43.83{\pm}0.92$ g / dl & 40.95{\pm}0.34$;for the male pigs were 47.39{\pm}0.84$ g / dl, 43.63{\pm}0.43$ g / dl, 43.77{\pm}0.88$ g / dl, 40.97{\pm}0.26$;for the female pigs were 47.60{\pm}0.68$ g/ dl, 43.54{\pm}0.58$ g / dl, 43.90{\pm}0.74$ g / dl, 41.02{\pm}0.34. 2.$ Mean activities of GOT, GPT and ALP for the korean native male cattle were 448.3{\pm}11.6$ U, 429.6{\pm}4.6$ U, 413.7{\pm}2.8$ U; for the male pigs were 458.6{\pm}10.6$ U, 438.6{\pm}5.3$ U, 424.9{\pm}9.2$ U; for the female pigs were 443.9{\pm}10.8$ U, 440.5{\pm}4.6$ U, 413.9{\pm}3.4$ U. 3. Mean contents of cholesterol, glucose and bilirubin for the korean native male cattle were 4108.7{\pm}31.8$ mg / dl, 488.2{\pm}26.4$ mg / dl, $0.69{\pm}0.52$ mg / dl; for the male pigs were 4105.9{\pm}18.3$ mg / dl, 4102.9{\pm}22.3$ mg / dl, 40.70{\pm}0.18$ mg / dl: for the female pigs were $113.1{\pm}20.9$ mg / dl , 4103.2{\pm}23.9$ mg / dl, 40.49{\pm}0.21$ mg / dl. 4. Mean contents of creatinine, urea nitrogen and uric acid for the korean native male cattle were 42.86{\pm}0.69$ mg / dl, $18.1{\pm}5.0$ mg / dl, 41.38{\pm}0.66$ mg /dl; for the male pigs were 42.20{\pm}0.51$ mg / dl, $18.2{\pm}4.3$ mg / dl, 40.29{\pm}0.10$ mg /dl: for the female pigs were 42.36{\pm}0.70$ mg / dl, $20.5{\pm}5.4$ mg / dl, 40.69{\pm}0.27$ mg / dl.

  • PDF

낙동강 하류수의 수질조성에 대하여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Nagdong River Downstream Water)

  • 원종훈;이배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7-58
    • /
    • 1981
  • 1. 낙동강 하류수의 수질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74년 3월에서 1980년 4월까지 물금지역의 측정치2,374개 및 남지에서 원동사이 지역 측정지 483개로부터 전기전도도에 대한 염화이온, 황산이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주요무기이온 총양과의 상관관계 및 염화이온, 황산이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의 각 성분양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했다. 2. 물금지역에서의 각 성분양의 전기전도도에 대한 관계는 대체로 1상이온은 반대수관계가 좋았고 2상이온은 양이대수관계가 좋았다. 이 때 최소자승법으로 처리한 전기전도도($\lambda_{25}$)에 대한 각 성분양(C)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염화이온 $log\;C(ppm)=2.37{\cdot}\lambda_{25}(m{\mho}/cm)+0.733{\pm}0.141$, 황산이온 $log\;C(ppm)=1.12{\cdot}log\lambda_{25}(m{\mho}/cm)+2.14{\pm}0.18$,칼슘$log\;C(ppm)=0.615{\cdot}log\lambda_{25}(m{\mho}/cm)+1.67{\pm}0.12$, 마그네슘$log\;C(ppm)=0.756{\cdot}log\lambda_{25}(m{\mho}/cm)+1.27{\pm}0.11$,나트륨$log\;C(ppm)=2.82{\cdot}\lambda_{25}(m{\mho}/cm)+0.551{\pm}0.133$,칼륨$log\;C(ppm)=1.33{\cdot}\lambda_{25}(m{\mho}/cm)+0.136{\pm}0.095$, 주요무기 이온 총양 $C(ppm)=399{\cdot}\lambda_{25}(m{\mho}/cm)-0.9{\pm}14.6$. 3. 남지와 원동사이 지역에서도 각 성분양(C)의 전기전도도($\lambda_{25}$)에 대한 관계는 대체로 1상이온은 반대수관계가 좋았고 2상이온은 양이대수관계가 좋았으며, 이 때 최소자승법으로 처리에 인한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염화이온 $log\;C(ppm)=4.27{\cdot}\lambda_{25}(m{\mho}/cm)+0.380{\pm}0.138$, 황산이온$log\;C(ppm)=0.915{\cdot}log\lambda_{25}(m{\mho}/cm)+1.95{\pm}0.18$,칼슘 $log\;C(ppm)=0.756{\cdot}log\lambda_{25}(m{\mho}/cm)+1.74{\pm}0.12$, 마그네슘$log\;C(ppm)=1.00{\cdot}log\lambda_{25}(m{\mho}/cm)+1.41{\pm}0.10$. 나트륨$log\;C(ppm)=2.47{\cdot}\lambda_{25}(m{\mho}/cm)+0.614{\pm}0.065$, 칼륨$log\;C(ppm)=1.62{\cdot}\lambda_{25}(m{\mho}/cm)+0.030{\pm}0.060$, 주요무기이온 총양 $C(ppm)=323{\cdot}\lambda_{25}(m{\mho}/cm)+11.7{\pm}9.3$. 4. 물금지역에서 각 성분양간에는 상관계수 $0.502\sim0.803$의 뚜렷한 관계가 있었으며 대체로 직선관계보다는 양이대수관계가 좋았다. 이 때의 최소자승법으로에 인한 각 성분양간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og\;Cl(ppm)=0.711{\cdot}log\;SO_4(ppm)+0.488{\pm}0.206$, $log\;Cl(ppm)=0.337{\cdot}log\;Ca(ppm)+0.822{\pm}0.130$, $log\;Cl(ppm)=0.605{\cdot}log\;Mg(ppm)-0.017{\pm}0.154$, $Cl(ppm)=0.676{\cdot}Na(ppm)+2.31{\pm}4.67$, $log\;Cl(ppm)=0.406{\cdot}log\;K(ppm)-0.092{\pm}0.112$, $log\;SO_4(ppm)=0.378{\cdot}log\;Ca(ppm)+0.721{\pm}0.125$, $log\;SO_4(ppm)=0.462{\cdot}log\;Mg(ppm)+0.107{\pm}0.118$, $log\;SO_4(ppm)=0.592{\cdot}log\;Na(ppm)+0.313{\pm}0.191$, $log\;SO_4(ppm)=0.308{\cdot}log\;K(ppm)-0.019{\pm}0.120$, $Ca(ppm)=0.262{\cdot}Mg(ppm)+0.74{\pm}1.71$. $log\;Ca(ppm)=1.10{\cdot}log\;Na(ppm)-0.243{\pm}0.239$, $Ca(ppm)=0.0737{\cdot}K(ppm)+1.26{\pm}0.73$, $log\;Mg(ppm)=0.0950{\cdot}Na(ppm)+0.587{\pm}0.159$, $log\;Mg(ppm)=0.0518{\cdot}K(ppm)+0.111{\pm}0.102$, $Na(ppm)=0.0771{\cdot}K(ppm)+1.49{\pm}0.59$. 5. 남지에서 원동사이 지역의 각 성분양간에는 칼슘의 염화이온에 대한 관계가 상관계수 0.189로 거의 관계가 없었으며 그 외는 대체로 상관계수$0.330\sim0.868$의 양이대수관계가 있었다. 이 때의 최소자승법으로 처리한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og\;Cl(ppm)=0.312{\cdot}log\;SO_4(ppm)+0.907{\pm}0.210$, $log\;Cl(ppm)=0.458{\cdot}log\;Mg(ppm)+0.135{\pm}0.130$, $Cl(ppm)=0.484{\cdot}logNa(ppm)+0.507{\pm}0.081$, $Cl(ppm)=0.0476{\cdot}K(ppm)+1.41{\pm}0.34$, $log\;SO_4(ppm)=0.886{\cdot}log\;Ca(ppm)+0.046{\pm}0.050$, $log\;SO_4(ppm)=0.422{\cdot}log\;Mg(ppm)+0.139{\pm}0.161$, $log\;SO_4(ppm)=0.374{\cdot}log\;Na(ppm)+0.603{\pm}0.140$, $log\;SO_4(ppm)=0.245{\cdot}log\;K(ppm)+0.023{\pm}0.102$, $log\;Ca(ppm)=0.587{\cdot}log\;Mg(ppm)+0.003{\pm}0.088$, $log\;Ca(ppm)=0.892{\cdot}log\;Na(ppm)+0.028{\pm}0.109$, $log\;Ca(ppm)=0.294{\cdot}log\;K(ppm)-0.001{\pm}0.085$, $log\;Mg(ppm)=0.600{\cdot}log\;Na(ppm)+0.674{\pm}0.120$, $log\;Mg(ppm)=0.440{\cdot}log\;K(ppm)+0.038{\pm}0.081$, $log\;Na(ppm)=0.522{\cdot}log\;K(ppm)-0.260{\pm}0.072$.

  • PDF

돼지 액상 정액의 보관일수에 따른 오염 정도가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Extended Boar Semen Preservation Periods on Embryo Production In Vitro)

  • 김연수;이현택;김인철;유재원;김철욱;정기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5-351
    • /
    • 2006
  • 본 연구는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돼지 혼합액상 정액을 17$^{\circ}C$ 정액 보관고에 보관하면서 보관일수의 증가가 따라 정자의 운동성, 정액 내 세균의 증식 여부 및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정자의 운동성은 1일 (78.7$\pm$2.4%)에 비하여 3일(78.7$\pm$2.4%)과 5일째(64.8$\pm$2.4%)는 유의적으로(p<0.05) 낮은 운동성을 나타내었다. 보관일수에 따른 정액 내 세균수의 변화는 보관 5일이 $57.8\pm105.2\times10^4$ Cfu로 0일과 3일의 $32.1\pm76.8\times10^4$ Cfu와 $26.9\pm46.6\times10^4$ Cfu에 비하여 유의적인(p<0.05)증가를 나타내었다. 보관된 정액을 이용하여 체외 수정한 결과, 정상적인 수정(2PN)은 1일과 3일째의 66.0$\pm$2.7%와 64.0$\pm$2.7%에 비하여 5일째에는 56.0$\pm$2.6%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체외 수정란의 발달율에서 난할율은 1일째의 75.0$\pm$l.4%에 비하여 3일과 5일째는 70.0$\pm$0.3%와 71.0$\pm$0.3%로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으며, 상실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 1일째는 32.0$\pm$1.4%의 발달율을 보였으나 3일과 5일째에는 28.0$\pm$1.3%와 24.0$\pm$1.3%로 유의적인(p<0.05) 감소치를 나타내었고, 배반포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1일에 15.0$\pm$1.0%에 비하여 3일과 5일은 11.0$\pm$0.9%와 8.0$\pm$0.9%로 유의적으로(p<0.05) 낮은 발달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돼지 혼합 정액은 보관일수 3일째부터 정자의 운동성이 감소하고 세균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보존된 정액을 이용하여 체외 수정을 실시할 경우, 보관일수가 증가할수록 정상 수정율과 체외 발달율이 감소함으로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 3일 이상 정액을 보관하여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사료된다.

제주도 서식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의 번식과 발달 (Breeding and Development of the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 박준호;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165
    • /
    • 2017
  • 중국 북부와 한국, 러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의 분포를 제외한 생활사, 행동, 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포획된 개체(n=9)를 대상으로 종 단위 연구의 기본이 되는 번식과 성장 및 발달에 대한 생물학적 정보를 밝히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사육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임신률은 31.7%였고 좁은 케이지에서 보다 넓은 케이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56.7 vs. 6.7%). 임신기간은 $22{\pm}1.6$일(범위 21-27일), 한배의 산자수(litter size)는 $4.26{\pm}1.37$마리(범위 2-7 마리)였다. 최소이유시기는 $19.2{\pm}1.4$일(범위 18-21일)이었다. 출생 직후 새끼의 체중과 외부형태의 크기는 성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이유시기부터 암수의 머리와 몸통길이(HBL)와 꼬리길이(TL)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HBL-weaning, $106.50{\pm}6.02$ vs. $113.34{\pm}4.72mm$, p<0.05; HBL-4 months, $163.93{\pm}5.42$ vs. $182.83{\pm}4.32mm$, p<0.05; TL-4 months, $107.23{\pm}3.25$ vs. $93.95{\pm}2.15mm$, p<0.05). Gompertz 모형과 logistic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머리-몸통길이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최대 성숙 길이가 길었고($164.840{\pm}7.453$ vs. $182.830{\pm}4.319mm$, p<0.0001; $163.936{\pm}5.415$ vs. $182.840{\pm}4.333mm$, p<0.0001), 성장률도 빨랐으나($1.351{\pm}0.065$ vs. $1.435{\pm}0.085$, p<0.05; $2.870{\pm}0.253$ vs. $3.211{\pm}0.635$, p<0.05), 성장곡선의 기울기가 최대가 되는 일령은 암컷보다 조금 늦었다($5.121{\pm}0.318$ vs. $5.520{\pm}0.333$, p<0.05; $6.884{\pm}0.336$ vs. $7.503{\pm}0.453$, p<0.05). 한편 꼬리의 최대길이($105.695{\pm}5.938$ vs. $94.150{\pm}2.507mm$, p<0.001; $111.609{\pm}14.881$ vs. $93.960{\pm}2.150mm$, p<0.05)와 변곡점에서의 길이($60.306{\pm}1.992$ vs. $67.859{\pm}1.330mm$, p<0.0001; $55.714{\pm}7.458$ vs. $46.975{\pm}1.074mm$, p<0.05)는 암컷이 수컷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성장모형에서 암수의 체중과 외부형태형질에 대한 성장률은 비교 결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단털쥐의 종적 특징을 밝히는데 필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EGF와 IGF-I의 첨가배양이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GF and IGF-I on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and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백준종;한만희;박병권;서길웅;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1호
    • /
    • pp.19-35
    • /
    • 2007
  •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배양액과 배발달배양액에 성장인자인 EGF와 IGF-I을 각각 0, 1, 5 및 10 ng/ml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 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NCSU-23 배양액에 EGF와 IGF-I을 각각 0, 1, 5 및 10 ng/ml 첨가배양하여 성숙을 유기한 다음,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 정자침투율, 웅성전핵형성률, 다정자 침입률 및 평균침입정자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7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형성률은 EGF첨가군이 각각 $11.2{\pm}1.5%$, $15.0{\pm}0.8%$, $16.8{\pm}2.8%$$21.4{\pm}2.0%$로서 10 ng/ml의 첨가군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IGF-I첨가군도 $10.7{\pm}1.4%$, $12.8{\pm}2.0%$, $16.0{\pm}2.5%$$21.9{\pm}2.4%$로서 10 ng/ml의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EGF첨가군이 $22.8{\pm}3.7$개, $25.7{\pm}5.5$개, $26.0{\pm}4.2$개 및 $35.1{\pm}4.7$개, IGF-I첨가군은 $21.5{\pm}3.7$개, $25.2{\pm}2.8$개, $26.2{\pm}2.9$개 및 $33.2{\pm}3.6$개로서 각각 10 ng/ml 첨가군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3. 돼지 난포란을 체외성숙 기본배양액인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44시간동안 체외성숙을 유기한 다음, 체외 수정용배양액인 mTBM에 정자와 같이 6시간동안 공배양함으로서 체외수정을 유기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EGF와 IGF-I을 각각 0, 1, 5 및 10 ng/ml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기 도달률은 EGF첨가군에서 각각 $14.0{\pm}1.7$개, $16.2{\pm}1.4$개, $16.9{\pm}1.2$, $23.1{\pm}1.6$개로서 10 ng/ml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IGF-I첨가군도 각각 $13.6{\pm}1.7$개, $15.7{\pm}4.5$개, $16.0{\pm}0.2$개 및 $25.0{\pm}0.8$개로 10 ng/ml군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EGF첨가군이 각각 $21.8{\pm}2.9$개, $25.2{\pm}2.8$개, $39.7{\pm}2.7$개 및 $46.2{\pm}3.6$개로 10 ng/ml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IGF-I첨가군도 $20.7{\pm}2.9$개, $26.2{\pm}2.9$개, $24.6{\pm}2.4$개 및 $46.1{\pm}3.5$개로 10 ng/ml 첨가군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EGF와 IGF-I은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10 ng/ml의 농도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