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C

검색결과 1,485건 처리시간 0.026초

PECVD법에 의해 증착된 SiO2 후막의 광학적 성질 및 구조적 분석 (Opt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Analysis of SiO2 Thick Films Deposited by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 조성민;김용탁;서용곤;윤형도;임영민;윤대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79-483
    • /
    • 2002
  • 저온($320^{\circ}$C)에서 $SiH_4$$N_2O$ 가스의 혼합을 통해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PECVD)법을 이용하여 실리카 광도파로의 클래딩막으로 사용되는 $SiO_2$ 후막을 제조하였으며, 공정변수로는 $N_2O/SiH_4$ 유량비와 RF power에 변화를 주었다. 증착된 시편은 $N_2$ 분위기의 열처리로에서 $1050{\circ}$에서 2시간동안 열처리하였다. $N_2O/SiH_4$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착속도는 $9.4~2.9{\mu}m /h$까지 감소하였으며, RF power가 증가함에 따라 증착속도는 $4.7~6.9{\mu}m /h$까지 증가하였다. 두께 및 굴절률은 Prism Coupl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화학적 성질 및 구조적 성질은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와 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FT-I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를 이용하여 시편의 단면을 관찰하였다.

천궁 에탄올 추출물의 AMPK 활성화를 통한 U937 인체 혈구암세포의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 Extract of Cnidium officinale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through Activation of AMPK)

  • 정진우;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55-1264
    • /
    • 2015
  • 천궁(C. officinale)은 예로부터 민간처방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항염증, 항산화, 항암 및 신생혈관억제 등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혈구암세포에서 apoptosis 유발과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에서 천궁의 열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WECO, EECO 및 MECO)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하였다. 먼저 WECO, EECO 및 MECO가 유발하는 증식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EECO가 가장 뛰어난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annexin-V 염색, apoptotic body 형성, DNA 단편화 및 MMP 소실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EECO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는 DR4의 발현 증가와 함께 cIAP-1, Bcl-2 및 total Bid의 발현감소가 관여하였으며, caspases-3, -8 및 -9의 활성화와 함께 caspases-3의 기질 단백질인 PARP, β-catenin 및 PLC γ1의 단편화도 관찰되었다. 또한 EECO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AMP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EECO에 의하여 유발되었던 apoptosis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인체 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에서 EECO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AMPK가 중요한 조절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녹차 추출물에 의한 니코틴의 코티닌으로 전이 촉진 (Enhanced conversion to cotinine from nicotine by green tea extract)

  • 경윤주;이동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7-153
    • /
    • 2000
  • 흡연은 직접 또는 environmental tobacco smoke를 통하여 많은 위해성 물질을 인체에 유입시킨다. 이러한 위해 물질중 니코틴을 인체내의 대사에 따라서 암을 유발시키는 물질로 전이되기도 한다. 니코틴의 대사산물로 대표적인 발암물질인 nitrosamine-4-(methylnitrosamino)-1-(3-pyridyl)-1- butanone (NNK)가 있다. 많은 연구는 녹차의 추출물이 암을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녹차의 암예방 효과에 대한 기작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의 보고는 니코틴의 주요대사 산물인 코니틴이 안정한 물질임과 동시에 NNK의 활성 및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세포내의 니코틴의 대사에 있어, 코티닌으로의 전이도에 녹차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녹차의 추출물은 시험관에서 직접 혼합한 경우와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니코틴이 코티닌으로 전이하는 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이 결과는 녹차의 성분 중에 니코틴의 여러 대사경로중에서 코티닌의 대사를 촉진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아울러, 녹차의 암 예방의 가능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는 기전을 제시한다.

  • PDF

전력선통신 시스템을 위한 딥 러닝 기반 전력량 예측 기법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Scheme Based on Deep Learning for Powerline Communication Systems)

  • 이동구;김수현;정호철;선영규;심이삭;황유민;김진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822-828
    • /
    • 2018
  • 최근 전력 사용량의 증가로 인한 대규모 블랙아웃 등 에너지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 문제들로 인해 전력 소비량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개선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딥 러닝 기반의 전력 사용량 예측 실험을 통해서 실제 전력 소비량과 예측된 전력 소비량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서 전력 예비율을 기존 대비 하향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예비 전력은 사용하지 않으면 손실되는 전력으로, 본 논문에서의 딥 러닝 기반 전력 소비량 예측을 통해서 여분의 전력을 과도하게 생산하지 않도록 오차범위 내에서 전력 예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딥 러닝 기법은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는 Long-Short-Term-Memory(LSTM) 구조의 학습 모델을 이용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임의 생성한 전력 소비 데이터를 토대로 모델을 학습시키고, 학습된 모델을 토대로 전력 사용 예측값을 구하고 실제 전력 소비량 간에 오차를 계산한 결과 오차율 21.37%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최근의 전력 예비율 45.9%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력 소비량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20% 포인트 정도의 예비율 감축이 가능하다.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cGMP에 의한 VASP 인산화 기전을 통한 항혈소판 효과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has an anti-platelet effect via cGMP-dependent VASP phosphorylation in human platelets)

  • 노주예;조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98-305
    • /
    • 2019
  •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은 항염, 항암, 항산화와 같은 효과를 갖는 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이하 CTE)의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 기전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CTE가 혈소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CTE는 collagen으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 반응에서 cyclooxygenase-1 활성을 억제하고, 세포 내 칼슘 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thromboxane A2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phospholipase Cγ2와 syk의 인산화 반응을 억제하였으며, guanosine monophosphate (cGMP)에 의존적인 방식으로 vasodilator-stimulated phosphoprotein(VASP)의 Ser239 위치를 인산화하여 항혈소판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고지방 식이로 혈소판 활성화를 유도한 랫드에서 CTE를 경구 투여 하였을 때, 간독성 없이 콜라겐으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반응을 thromboxane A2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혈소판 효과를 보였다. 이는 in vivo와 in vitro에서 같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CTE는 항혈소판 작용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고, 새로운 물질임을 제시하는 바이다.

동충하초 열수 추출물에 의한 인체 간암세포 성장억제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Apaopotis by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WECM)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 김경미;박철;최영현;이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04-81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민간의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동충하초(C. militaris)의 항암 작용에 관한 근거 자료의 제시를 위하여 동충하초 열수 추출물(WECM)의 항암 기전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HepG2 인체 간암세포를 사용하였으며, WECM의 처리에 의하여 HepG2 세포의 증식은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매우 억제되었다. WECM 처리에 의한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는 암세포의 심한 형태적 변형을 수반하였고,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DAPI 염색을 통한 apoptotic body 출현의 증가 및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sub-G1 기에 속하는 세포 빈도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WECM 처리에 의한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는 또한 종양 억제 유전자 p53 및 CDKI p21의 발현 증가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ECM 처리에 의한 apopotosis 유도에서 pro-apoptotic 인자인 Bax의 발현이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매우 증가하였으며, caspase-3의 활성이 매우 높게 증가되었다. 특히 caspase-3 특이적 억제제인 z-DEVD-fmk로 caspase-3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차단시켰을 경우, WECM에 의한 HepG2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caspase-3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WECM의 생화학적 항암기전 해석을 이해하고 향후 수행될 추가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인체폐암세포 NCI-H460 및 A549의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삼기보배탕의 영향 (Induction of Apoptosis by Samgibopae-tang in Human Non-small-cell Lung Cancer Cells)

  • 허만규;허태율;김기탁;변미권;김진영;심성흠;김광록;감철우;박동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3-491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Samgibopae-tang (SGBPT) in NCI-H460 and A549 non-small-cell lung cancer cell lines Methods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ubsistence, form of NCI-H460 and A549 non-small-cell lung cancer cell by hemocytometer and DAPI staining. In each cell, we analyzed DNA fragmentation.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measured activity of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Results and Conclusions : We found that exposure of A549 cells to SGBPT resulted in growth inhibi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SGBPT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NCI-H460 cell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by SGBPT treatment in A549 cells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SGBPT treatment partially induced the expression of DR5 cells and the expression of Faswas markedly increased in both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levels in A549 cells. SGBPT treatment partially induced the expression of Bcl-2, Bcl-XL and the expression of Bid was markedly decreased in translational levels in A549 cells. However, SGBPT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IAP family in A549 orNCI-H460 cells. SGBPT treatment partially induced the expression of caspase-3, caspase-8, caspase-9 activity which marked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s in A549 cells. The fragmental development of PARP and ${\beta}$-catenin protein was observed in A549 cells by SGBPT treatment. SGBPT treatment induced the expression of PLC-${\gamma}1$ protein which decreased in A549 cells. SGBPT treatment partially induced the expression of DFF45/ICAD which marked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549 cell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GBPT-induced inhibition of human lung carcinoma did not affect NCI-H460 cell growth. However, SGBPT-induced inhibition of human lung carcinoma A549 cell growth wa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death receptor and mitochondrial pathway. The results provided important new insights into the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nti-cancer activity of SGBPT.

  • PDF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률 향상 기법 (Data Transmission Rate Improvement Scheme i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for Smart Grid)

  • 김요철;배정남;김윤현;김진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2B호
    • /
    • pp.1183-1191
    • /
    • 2010
  • 본 논문은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적응형 OFDM CP 길이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수신단의 CP controller에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과 지연된 동일 데이터 프레임을 상관 처리를 취함으로써 채널 지연 정보를 계산한 후, 즉시 그 정보를 송신단에 피드백 한다. 그 다음, 송신단에서는 다음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CP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Impulsive noise 모델로서, Middleton Class A 간섭 모델을 사용하였고, 성능은 패킷 전송률과 누적 패킷 전송률, 비트 오류율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모의실험 결과로부터 패킷 수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이득(감소된 비트 양)이 커지지만, branch 수($N_{br}$)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이득 폭은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_{br}$ 이 3, 5, 10인 경우, 적응형 CP 길이 알고리즘과 고정된 CP 길이 기법의 BER 성능은 비슷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고정 CP 길이 기법과 비교하여 BER 성능 감소 없이 데이터 전송률 증가를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황금(黃芩)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인체 신세포암 Caki-1 세포의 자가세포사멸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in Renal ell Carcinoma Caki-1 Cells)

  • 황원덕;임용균;손병일;박철;박동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8-528
    • /
    • 2013
  •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황금(黃芩, S. baicalensis)은 한국, 중국, 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서 예로부터 민간처방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한방에서는 뿌리 말린 것을 이질, 발열 및 황달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황금 추출물은 항염증, 항당뇨, 항균, 항알레르기, 항바이러스, 항고혈압, 항산화 및 항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신세포암에서의 항암효능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신세포암 Caki-1 세포에서 황금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 of S. baicalensis, EESB)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EESB 처리에 의한 Caki-1 세포의 증식억제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이는 DR4 Fas ligand 및 Bax 단백질의 발현 증가와 Bid, XIAP 및 cIAP-1의 발현 억제와 관련이 있었다. EESB는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과 caspase-3의 기질단백질인 PARP, ${\beta}$-catenin 및 $PLC{\gamma}$-1 단백질의 단편화를 유발하였다. 그러나 EESB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었던 apoptosis가 pan-caspases inhibitor인 z-VED-fmk를 이용하여 caspases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현저하게 감소되어, EESB에 의한 apoptosis 과정에 caspase의 활성 증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황금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향후 수행될 추가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Prevalence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Meatborne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from Livestock Farms in Korea

  • Oh, Hyemin;Kim, Sejeong;Lee, Soomin;Lee, Heeyoung;Ha, Jimyeong;Lee, Jeeyeon;Choi, Yukyung;Choi, Kyoung-Hee;Yoon, Yo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79-786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ivestock farms in Korea and determine their serotypes and genetic correlations. Twenty-five livestock farms in Korea (central: 15, south west: 7, south east: 3) were visited 2-3 times, and 2,018 samples (feces: 677, soil: 680, silage: 647, sludge: 14) were collected. Samples were enriched in LEB (Listeria enrichment broth) and Fraser broth media, and then plated on Palcam agar.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y PCR and 16S rRNA gene sequencing. Then, the sero-types, presence of virulence genes (actA, inlA, inlB, plcB, and hlyA), and antibiotic resistance were determined. Genetic correlations among the isolate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restriction digest pattern with AscI. Of the 2,018 samples, only 3 (0.15%) soil samples (FI-1-FI-3) from 1 farm in the south east region were positive for L. monocytogenes. Based on biochemical tests and multiplex PCR, the serotype of the isolates were 4ab (FI-1 and FI-3) and 3a (FI-2), which are not common in foodborne L. monocytogenes. The 3a sero-type isolate was positive for all tested virulence genes, whereas the 4ab serotype isolates were only positive for hlyA, actA, and inlA.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all 12 tested antibiotics, especially FI-3. The genetic correlations among the isolates were 100% for those of the same serotype and 26.3% for those of different serotyp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valence of L. monocytogenes on livestock farms in Korea is low; however, the isolates are pathogenic and antibiotic resis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