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

검색결과 1,060건 처리시간 0.022초

강자성 배관 외.내부 면의 이중 원형 결함의 깊이와 응력이 누설자속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uble Circular Pit Depth and Stress on Far and Near-side Magnetic Flux Leakage at Ferromagnetic Pipeline)

  • 유권상;박영태;손대락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6-81
    • /
    • 2003
  • 매설된 송유관이나 가스관의 외부면과 내부면에 생성된 원형 결함(double circular pit) 부근에서 누설되는 자속 신호에 미치는 결함깊이와 인장응력(tensile stress)의 영향을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배관의 축 및 방사상 방향의 누설자속 (Magnetic Flux Leakage: MFL) 신호는 배관 외$.$내부 면의 이중 결함깊이와 인장응력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결함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인장응력이 커질수록 MFL 신호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원주 방향의 MFL 신호는 결함깊이와 인장응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Designing a Vehicles for Open-Pit Mining with Optimized Scheduling Based on 5G and IoT

  • Alaboudi, Abdulellah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145-152
    • /
    • 2021
  • In the Recent times, various technological enhancement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as been noticed. This advancement coupled with the evolution of the 5G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has helped in the development in the domain of smart mine construction. The development of unmanned vehicles with enhanced and smart scheduling system for open-pit mine transportation is one such much needed application. Traditional open-pit mining systems, which often cause vehicle delays and congestion, are controlled by human authority. The number of sensors has been used to operate unmanned cars in an open-pit mine. The sensors haves been used to prove the real-time data in large quantity. Using this data, we analyses and create an improved transportation scheduling mechanism so as to optimize the paths for the vehicles. Considering the huge amount the data received and aggregated through various sensors or sources like, the GPS data of the unmanned vehicle, the equipment information, an intelligent, and multi-target, open-pit mine unmanned vehicle schedules model was developed. It is also matched with real open-pit mine product to reduce transport costs, overall unmanned vehicle wait times and fluctuation in ore quality. To resolve the issue of scheduling the transportation, we prefer to use algorithm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o improve the convergenc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the classic, rapidly non-dominated genetic trial algorithm, to solve limited high-dimensional multi-objective problems, we propose a decomposition-based restricted genetic algorithm for dominance (DBCDP-NSGA-II).

Surfactant washing에 의한 토양 내의 유기물 제거에 관한 연구 I. 탄화수소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Surfactant Washing of Organics from a Contaminated Site I. Clean Up of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s)

  • 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8권3호
    • /
    • pp.357-36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오염 토양 내의 탄화수소 유기물을 정화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최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물,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3성분계에 대하여 특정 탄화수소 유기물이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최대로 가용화될 수 있는 조건을 계면활성제 친수성 기의 변화에 따라 측정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용액과 탄화수소 사이의 계면장력을 측정하였다.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실제 회분식 sur-factant washing 실험을 수행한 결과 탄화수소의 유기물은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에서 생성되는 middle-phase microemulsion에 최대로 가용화될 수 있었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_{12}E_5(C_{12}H_{25}O(CH_2CH_2O)_5H)$를 사용했을 경우 $C_{12}E_5$, 물, n-hexadecane으로 이루어진 3성분 계의 PIT에 해당하는 $52^{\circ}C$에서 n-hexadecane이 73.4% 제거되었으며, 반면에 PIT보다 낮은 $25^{\circ}C$와 PIT보다 높은 $60^{\circ}C$에서의 n-hexadecane 제거율은 각각 57.1%, 57.0%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PIT조건에서 n-hexadecane이 최대로 가용화되는 것은 계의 소수성-친수성이 균형을 이룸으로 인하여 유기물이 가용화되는 속도가 매우 빠를 뿐 아니라 middle-phase microemulsion과 excess oil phase 사이에 존재하는 $10^{-2}{\sim}10^{-3}dyne/cm$의 매우 낮은 계면장력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PIT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tag과 무선추적방법(radio telemetry)의 적용 (Application of PIT Tag and Radio Telemetry Research Method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ptiles in Korea National Parks)

  • 이정현;이헌주;라남용;김자경;엄준호;박대식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46-154
    • /
    • 2009
  • 본 연구는 PIT tag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과 무선추적법(radio telemetry)을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파충류에 적용한 후, 이를 평가하여 효과적으로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IT tag은 현재까지 알려진 파충류 개체표시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 출현한 모든 137마리의 뱀류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무선추적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서식하고 있는 황구렁이(Elaphe schrenckii anomala) 2마리를 대상으로 2007년 9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 곳의 국립공원 지역에서 연구기간 동안 17마리가 재 포획되어 평균 12.40%의 재포획률을 보였으며, 재 포획된 개체들의 자료를 통하여 누룩뱀 (Elaphe dione)과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성체의 SVL 증가를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무선추적을 통하여 확인된 황구렁이 수컷의 행동권 면적은 MCP=389,600 $m^2$, Kernel 95%=471,800 $m^2$, 암컷은 MCP=162,500 $m^2$, Kernel 95%=208,700 $m^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내에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종 혹은 멸종위기대상 종인 파충류를 대상으로 PIT tag과 무선추적을 적용한다면 공원 내 파충류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존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의 식물형태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유관속조직의 구조에 관한 용어의 분석 (Analysis of Some Korean Terminologies on the Structures of Vascular Tissues in Plant Morphology)

  • 이규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19-929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식물형태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유관속조직의 구조에 관한 용어들 가운데,교재 또는 저술자에 따라 다르게 번역되어 쓰이고 있는 한글 용어들의 합리적인 표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는 일반생물학,일반식물학,식물형태학 등 14종의 교재에서 서로 다르게 표기되어 있는 대표적인 12개 용어의 어원과 정의를 조사 분석한 결과 제시된 한글 용어의 표기는 다음과 같다. 즉 목부(木部,물관부)의 구조에 관한 용어로서 "apotracheal parenchyma"는 "도관분리형유조직(導管分離形柔祖熾)" 으로 표기하고, "paratracheal parenchyma"는 "도관연접형유조직(導管連接形柔組織)"으로,"tylose"는 "전충체(塡充體)"로 표기하는 것이 적합하다. 벽공(壁孔)의 구조에 관한 용어로서 "simple pit"는 "단순벽공(單純壁孔)"으로 표기하고, "bordered pit"는 "유연벽공(有緣壁孔)"으로,"aspirated bordered pit"는 "흡착유연벽공(吸着有緣壁孔)"으로,"pit aperture"는 "벽공구(壁孔口)"로 표기하는 것이 합당하다. 그러고 중심주(中心柱)의 구조에 관한 용어로서 "haplostele"은 "단순중심주(單純中心柱)"로 표기하고, "actinosteIe"은 "방사중심주(放射中心柱)"로, "plectostele"은 "습곡중심주(褶曲中心柱)"로,"solenosteIe"은 "통로중심주(通路中心柱)"로 표기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식물학 분야를 가르치는 교수자와 배우는 학습자들 사이에 생물학적 개념을 올바르게 전달하고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kin compatible Microemulsions obtained by a new PIT -Nano- Technology Approach

  • Jorg Schreiber;Ulrich Kux;Anja Eitrich;Wittern, Klaus-Peter;Yvonne Cierpisz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392-404
    • /
    • 2003
  • A new technology to achieve o/w microemulsions allows the formulation of transparent products with low surfactant content. The PIT Nanotechnology approach gives cosmetic/pharmaceutical o/w microemulsions in one step with a broad variety of surfactants, cosurfactants and oil phases.

  • PDF

치면열구전색 급여화에 따른 수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of Influencing the Benefit Amount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Pit and Fissure Sealants)

  • 안은숙;황지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68-774
    • /
    • 2015
  • 본 연구는 만 6세부터 18세까지를 대상으로, 2007~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치면열구전색 수혜량을 파악하고, 수혜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10,4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에는 STATA 11.0을 이용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7년간의 치면열구전색 수혜량은 평균은 1.12개로 나타났으며, 치면열구전색의 급여화가 시행되기 전인 2007~2009년 11월까지는 평균 0.93개, 급여화 실시 후에는 1.24개로 증가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면열구전색 수혜량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보험과 민간보험에 가입되어 있을수록, 1일 칫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높게 조사되었다. 하지만 성별과 연령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면열구전색 수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치면열구전색 급여화 여부, 소득수준, 건강보험 유형 및 민간보험 가입 여부, 1일 칫솔질 횟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치면열구전색 급여화가 시행된 2009년 12월을 기준으로 2010년에 치면열구전색 수혜량 증가를 보이긴 하나, 그 2011년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치면열구전색 수혜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치면열구전색 급여화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확대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본인부담금 차등화 등의 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치면열구전색 급여화를 시작으로 추후에는 예방처치에 대한 급여화 확대방안에 대해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수치모의를 이용한 준설하천의 웅덩이 적응에 관한 연구 (Numerical Modelling of the Adjustment Processes of Minning Pit in the Dredged Channels)

  • 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0호
    • /
    • pp.921-932
    • /
    • 2010
  • 본 연구는 하천의 골재채취 혹은 하천준설로 인하여 교란된 하천의 적응과정을 하도의 평면변화에 적합하도록 일반좌표계 상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을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수치해석 기법으로는 흐름의 운동량 방정식에서 이류항은 CIP (Cubic Interpolated Pseudoparticle)법을 적용하였으며, 확산항은 중앙차분법을 적용하였다. 하천준설 혹은 골재채취에 의해 형성된 웅덩이는 초기에 웅덩이 상류 지점에서 급격한 두부침식이 발생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웅덩이는 상류에서 공급되는 유사에 의하여 되메워지고, 일정한 안식각을 유지하면서 거의 균일한 속도로 이동하였다. 웅덩이 하류에서는 하상저하가 지속되고 있다. 수치모의 결과는 이러한 과정을 잘 모의하였다. 하상경사가 급할 경우에, 웅덩이의 변화에 대하여 되메워지는 시간이 짧고, 웅덩이의 이동속도가 빠른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치모의 결과는 실내실험 결과에 잘 일치하였다.

오픈 소스 환경의 노천광산 모니터링시스템 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고도화 방안 (Database Enhancement for Development of Open-pit Mine Monitoring System in Open Source Environments)

  • 김세열;유지호;유영걸;이현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32
    • /
    • 2016
  • 노천광산(open-pit mine)은 자원의 확보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기반시설이지만 운영과정에서 지형 및 환경변화나 안전 문제 등이 발생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노천광산에서 개발 및 복원에 따른 지형 변화에 대한 현황 자료는 수치지형도와 현장측량 성과에 의존하여 전문가 이외에는 노천광산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노천광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일반인의 접근이 원활하게 노천광산을 대상으로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웹기반 3차원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광산의 운영에 따른 지형 및 환경변화 등을 모니터링하고 친환경 생태학적 개발 및 복원을 지원하는 노천광산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Q-Ray View를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재의 유지상태 평가 (Reliability of Q-Ray View for Assessing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

  • 남상미;구혜민;이은송;김백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3호
    • /
    • pp.140-151
    • /
    • 2020
  • Purpose: To evaluate reliability of Q-ray view (Aiobio Inc,. Seoul, Korea) for assessing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Methods: Pit and fissure sealants of 58 permanent molars from 15 third-grade students were examined. Posterior teeth with ≥1 pit and fissure sealants applied to the occlusal surface for >6 months were examined. The teeth were examined using traditional visual-tactile assessments and combined Q-ray view. Pit and fissure sealants were evaluated by assessing marginal plaque, marginal discoloration, marginal integrity, retention, and presence of caries. Fleiss kappa and Cohen's kappa values were calculated to compare inter- and intrarater agreements between visual-tactile and combined Q-ray view assessments. Results: Regarding interrater agreement in visual-tactile assessments, K values of Cohen's kappa for marginal plaque, marginal discoloration, and presence of caries were 0.22-0.57, 0.36-0.57, and 0.43-0.61, respectively, and agreements ranged from slight to moderate. When combined with Q-ray view, the values were 0.81-0.89, 0.69-0.88, and 0.80-0.90, respectively, and agreements ranged from substantial to nearly perfect level,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Marginal plaque (0.81-0.83), marginal discoloration (0.57-0.89), and presence of caries (0.69-0.91) showed higher agreements in combined Q-ray view than in visual-tactile assessments, and kappa values of marginal plaq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mbined Q-ray view than in visual-tactile assessments. Conclusion: Evaluating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using Q-ray view showed higher reliability than using visual/tactile assessments for marginal plaque, marginal discoloration, and presence of caries. Therefore, Q-ray view may be used to assess the retention statu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