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ISA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6초

Influence of implant mucosal thickness on early bone los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 Di Gianfilippo, Riccardo;Valente, Nicola Alberto;Toti, Paolo;Wang, Hom-Lay;Barone, Antoni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4호
    • /
    • pp.209-225
    • /
    • 2020
  • Purpose: Marginal bone loss (MBL) is an important clinical issue in implant therapy. One feature that has been cited as a contributing factor to this bone loss is peri-implant mucosal thickness. Therefore, in this report,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omparing bone remodeling around implants placed in areas with thick (≥2-mm) vs. thin (<2-mm) mucosa. Methods: A PICO question was defined. Manual and electronic searches were performed of the MEDLINE/PubMed and Cochrane Oral Health Group database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rospective studies that documented soft tissue thickness with direct intraoperative measurements and that included at least 1 year of follow-up. When possible,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for both the overall and subgroup analyses. Results: Thirteen papers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A meta-analysis of 7 randomized clinical trials was conducted. Significantly less bone loss was found around implants with thick mucosa than around those with thin mucosa (difference, -0.53 mm; P<0.0001). Subgroups were analyzed regarding the apico-coronal positioning, the use of platform-matched vs. platform-switched (PS) connections, and the use of cement-retained vs. screw-retained prostheses. In these analyses, thick mucosa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ess MBL than thin mucosa (P<0.0001). Among non-matching (PS) connections and screw-retained prostheses, bone levels were not affected by mucosal thickness. Conclusions: Soft tissue thickness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MBL except in cases of PS connections used on implants with thin tissues and screw-retained prostheses. Mucosal thickness did not affect implant survival or the occurrence of biological or aesthetic complications.

Pharmacokinetic profiles of levofloxacin after intravenous, intramuscular and subcutaneous administration to rabbits (Oryctolagus cuniculus)

  • Sitovs, Andrejs;Voiko, Laura;Kustovs, Dmitrijs;Kovalcuka, Liga;Bandere, Dace;Purvina, Santa;Giorgi, Mario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32.1-32.13
    • /
    • 2020
  • Levofloxacin pharmacokinetic profiles were evaluated in 6 healthy female rabbits after intravenous (I/V), intramuscular (I/M), or subcutaneous (S/C) administration routes at a single dose of 5 mg/kg in a 3 × 3 cross-over study. Plasma levofloxacin concentrations were detected using a validated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Levofloxacin was quantifiable up to 10 h post-drug administration. Mean AUC0-last values of 9.03 ± 2.66, 9.07 ± 1.80, and 9.28 ± 1.56 mg/h*L were obtained via I/V, I/M, and S/C, respectively. Plasma clearance was 0.6 mL/g*h after I/V administration. Peak plasma concentrations using the I/M and S/C routes were 3.33 ± 0.39 and 2.91 ± 0.56 ㎍/mL. Bioavailability values, after extravascular administration were complete, - 105% ± 27% (I/M) and 118% ± 40% (S/C). Average extraction ratio of levofloxacin after I/V administration was 7%. Additionally, levofloxacin administration effects on tear production and osmolarity were evaluated. Tear osmolarity decreased within 48 h post-drug administration. All 3 levofloxacin administration routes produced similar pharmacokinetic profiles. The studied dose is unlikely to be effective in rabbits; however, it was calculated that a daily dose of 29 mg/kg appears effective for I/V administration for pathogens with MIC < 0.5 ㎍/mL.

The TANDEM Euratom project: Context, objectives and workplan

  • C. Vaglio-Gaudard;M.T. Dominguez Bautista;M. Frignani;M. Futterer;A. Goicea;E. Hanus;T. Hollands;C. Lombardo;S. Lorenzi;J. Miss;G. Pavel;A. Pucciarelli;M. Ricotti;A. Ruby;C. Schneidesch;S. Sholomitsky;G. Simonini;V. Tulkki;K. Varri;L. Zezula;N. Wessber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3호
    • /
    • pp.993-1001
    • /
    • 2024
  • The TANDEM project is a European initiative funded under the EURATOM program. The project started on September 2022 and has a duration of 36 months. TANDEM stands for Small Modular ReacTor for a European sAfe aNd Decarbonized Energy Mix. Small Modular Reactors (SMRs) can be hybridized with other energy sources, storage systems and energy conversion applications to provide electricity, heat and hydrogen. Hybrid energy systems have the potential to strongly contribute to the energy decarbonization targeting carbon-neutrality in Europe by 2050. However, the integration of nuclear reactors, particularly SMRs, in hybrid energy systems, is a new R&D topic to be investigated. In this context, the TANDEM project aims to develop assessments and tools to facilitate the safe and efficient integration of SMRs into low-carbon hybrid energy systems. An open-source "TANDEM" model library of hybrid system components will be developed in Modelica language which, by coupling, will extend the capabilities of existing tools implemented in the project. The project proposes to specifically address the safety issues of SMRs related to their integration into hybrid energy systems, involving 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SMRs and the rest of the hybrid systems; new initiating events may have to be considered in the safety approach. TANDEM will study two hybrid systems covering the main trends of the European energy policy and market evolution at 2035's horizon: a district heating network and power supply in a large urban area, and an energy hub serving energy conversion systems, including hydrogen production; the energy hub is inspired from a harbor-like infrastructure. TANDEM will provide assessments on SMR safety, hybrid system operationality and techno-economics. Societal considerations will also be encased by analyzing European citizen engagement in SMR technology safety.

Influence of Rabbit Sire Genetic Origin, Season of Birth and Parity Order on Doe and Litter Performance in an Organic Production System

  • Zotte, Antonella Dalle;Paci, Gisell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43-49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oth the performance of litters derived from two sire genetic origins (SGO), Vienna Blue (VB) and Burgundy Fawn (BF), along successive seasons of birth (SB;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and do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an organic production system. A total of fifty-eight do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crosses of several medium-large size breeds at different parity order (P, 1 = nulliparous; 2 = primiparous; ${\geq}3$ = multiparous) and twelve males (6 VB and 6 BF) were housed indoors at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followed seasonality. An extensive reproductive rhythm was used and kits were weaned at $46{\pm}6$ d of age. Do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he data of 105 litters (55 from VB and 50 from BF SGO) were recorded throughout the SB.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lated to SGO effect were observed. As regards parity order, multiparous does showed higher live weights (LW) (p<0.05), total born (p<0.01), total born alive (p<0.05) per delivery, and litter weight of born alive (p<0.05), but lower milk output at 21st d than primiparous does (p<0.05). The extensive reproductive rhythm mainly increased litter performance at birth in multiparous does but was not sufficient to permit a complete recovery of body reserves lost during lactation. Autumn SB negatively affected doe LW variation between deliveries. The number of pups born and born alive per delivery (p<0.05) and litter size at 21 d of age and at weaning (p<0.01) were lower during hot SB. Due to the lower litter size of pups born in summer and autumn, their individual weight at 21st d of age and daily individual growth rate 0 to 21 d were higher than those of pups born in winter (p<0.001). Litter performance at 21st d of age and individual pup pre-weaning growth rate were poorer for those born in spring than in other seasons due to the harmful effects of increased environmental temperatures. SB affected most of the performance traits of does and young rabbits reared under the organic farming system. The rabbits seemed better suited to organic rearing conditions during winter than in other seasons. The worst results overall were obtained in the spring SB, whereas the hot SB negatively affected both doe energy balance and prolificacy. In conclusion, the pups of the 2 SGO showed good pre-weaning performance and seemed suited to the organic rabbit production system.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순옥;서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307-323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을 측정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이 어떻게 되는가?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의 탐구영역,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검사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정현철 등, 2004) (2) 과학의 탐구능력검사 중 문제발견능력검사(정현철 등, 2004) (3) 과학의 정의적 영역설문(서혜애 등, 2008).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의 7개 학교 3개 학년 재학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총704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수준은 3.02였으며, 둘째,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도 높게 (p<.05)나타났다. 셋째, 과학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자기 효능감을 나타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학의 정의적 영역은 감소(p=.048)하였다. 특히 자기 효능감에서 가장 큰 유의한(p=.002)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의 탐구능력, 과학의 정의적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 상관이 있었다. 이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은 과학의 탐구능력이 높고, 과학의 정의적 영역도 높다고 볼 수 있다.

  • PDF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TEAM Activiti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 채희인;노석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17-433
    • /
    • 2013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과학을 어려워하고, 과학에 흥미가 없으며, PISA 평가에서도 과학적 소양이 하락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고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 STEAM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실험집단 31명(남자 15, 여자 16), 비교집단 31명(남자 17, 여자 14)의 두 집단을 선정하고,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내용 통합을 고려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통하여 과학탐구능력(TSPS 검사지)과 과학에 대한 태도(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영역 평가지)를 검사하였다. 과학탐구능력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16.77, 비교집단이 17.81로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20.48, 비교집단이 18.00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과학탐구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5). 과학에 대한 태도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13, 비교집단이 3.43 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이 3.50, 비교집단이 3.33으로 실험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실험집단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STEAM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STEAM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TEAM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고, 학생들은 STEAM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여성수학자 에미 뇌터의 수학적 삶의 역사 (Mathematical Life of Emmy Noether)

  • 노선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48
    • /
    • 2008
  • 본고에서는 현대 추상대수학의 기반을 닦은 독일 여성수학자 에미 뇌터의 수학적 삶의 역사를 살펴보고 수학자, 수학교사 등 수학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Hyde et al.([14])은 수학 표준화 시험에서 미국의 2-11학년 학생들이 젠더 간 격차를 거의 보이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이나 연구소 등 수학 관련 분야에서 전문가로 종사하는 여성수학자나 여성과학자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크게 뒤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Guise et al.([13])도 국제 수학성취도 비교를 위한 2003-PISA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젠더 평등지수가 떨어지는 국가일수록 젠더 간 수학성취도 차이가 크다는 관계를 규명하였다. 에미 괴터는 여학생이 대학교육을 받는 것조차 어려웠던 시대에 젠더와 인종 등 사회적 편견과 차별, 그로 인한 경제적인 역경을 극복하면서 현대 추상대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창조해 낸 20세기 가장 위대한 수학자라 불리는 독일의 여성수학자이다. 에미 뇌터는 수학자로 살면서 경험한 모든 편견과 차별은 비본질적인 것이며 수학만이 자신의 삶 속에서 추구해야 할 본질적인 것이라 판단하였고, 이를 실제 삶 속에서 실천하였고 궁극적으로는 기존 수학의 차원을 통합하거나 넘어서는 새로운 수학을 창조해냈다. 전 생애 동안 편견과 차별을 경험하면서 단 하나의 본질 즉, '수학' 탐구에만 몰입한 에미 뇌터의 삶은 오늘날 수학, 과학 분야의 연구자와 이 분야의 전공과 직업을 택하려는 대학생들 모두에게 실천적 리더십 사례로 평가된다. 특히 이공계 분야 여학생들에게는 혹독한 편견과 차별에 대해 에미 뇌터가 실천적으로 보여준 초연함, 끈기와 인내심, 그리고 수학(학문)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통해 최고 수준의 수학, 과학 탐구와 창조에서 젠더격차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TIMSS 2019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과학성취도와 교사의 학습 지원, 과학에 대한 태도, 학교 생활의 구조적 관계 비교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upport from Teachers,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hool Life from TIMSS 2019,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노재희;류지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9-160
    • /
    • 2022
  • 각 나라의 대표적 표본을 추출하여 시행되는 국제비교연구의 결과를 한 국가의 교육 시스템 안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 여러 요인들로 인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국제연구자료와 국내 자료에 각각 적용하여 비교함으로 국제연구자료를 통해 얻은 결과를 국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교사의 학습 지원, 학교생활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TIMSS 2019 한국 7학년 학생 5,554명의 데이터와 NAEA 2019 중학교 3학년 학생 6,365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생활은 두 데이터 모두에서 과학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NAEA 2019에서는 과학에 대한 태도를 완전 매개하여 과학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학습 지원은 TIMSS에서 과학 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과학에 대한 태도를 매개한 경우에도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반면 NAEA에서는 과학에 대한 태도를 완전 매개한 경우에만 과학 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과학 태도는 두 데이터 모두에서 과학 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두 연구에서 성별은 학교생활,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교사의 학습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다섯째, 책 보유량 또한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교사의 학습 지원, 학교생활과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국내연구와 국제연구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국제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현장을 해석하고자 할 때 유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