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COMMUNITY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31초

조계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of the Mt. Joghesan)

  • Kim, Jong-Hong;Suk-Mo Chang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63-88
    • /
    • 1990
  • 1980년 7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20회에 걸쳐 전라남도 도립공원인 조계산의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서의 식물은 총 122과, 424속, 597종 107변종, 10품종이었으며, 식용식물이 204종, 약용식물이 199종 기타 유료섬유자원식물이 30종으로 나타났다. 상록활엽수는 차나무, 조릿대, 붉가시나무 등 22종이고 상록침엽수는 비자나무, 소나무, 금송, 편백나무 등 15종이었다. 식물군락은 참나무류와 서어나무, 조릿대 등 활엽수림으로 우점종은 조록싸리, 덜꿩나무, 물푸레나무, 가막살나무, 개옻나무, 느티나무 등이고 초본류는 참억새, 그령, 지리대사초, 새이삭여뀌, 갈퀴나물, 밀나물, 쑥부쟁이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조계산에서 선암사지구는 식생이 양호하였으나 타지역은 식물상이 많이 파괴되었으며 굴목치지구는 산화의 피해를 많이 받은 지역으로 산화에 비교적 강한 참나무류가 우점종이었다. 특징 수종은 털조장나무, 박쥐나무, 대팻집나무, 히어리, 노목인 자귀나무, 고로쇠나무, 차나무 군락, 노각나무, 흰말채나무 종이며, 초본으로는 관엽식물인 족제비고사리, 꼬리고사리, 거미고사리, 일엽초 등과 천마, 보춘화, 새이삭여뀌군락 등은 부호가 요망된다. 조계산의 소나무림은 1650~1963년 인력에 의해 대채되었던것이 복구되지 못하여 조계산을 중심으로 접치지구와 오두치지구의 700m이상 지역은 거의 무송림지역으로 되어 있었다.

  • PDF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 남한강 육상식물, 토양을 중심으로 - (The Vegetational Diagnosis for the Ecological Rehabilitation of Stream - In case of the Forest Communities, Soil in Namhan river -)

  • 명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127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a river model with an aim at restoring the ecosystem and improving the landscape along the urban rivers on the basin of the Namhan river, a core life channel for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revelation of botanical status, transition trend and correlation of plants might lead to providing the urban river restoration projects and ecological river formation projects with basic data for a model of ideal aquatic ecology and landscape.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1. Communities of Juglans mandshurica, Cornus controversa and Fraxinus mandshurica constitute the main portion of flora at or around uppermost branch streams of the River Namhanis harbored mainly in and around small brooks 2. Typical terrestrial forest communities formed around the River Namhan are composed mainly of Larix leptolepis, Pinus rigida, planned forestation of Pinus koraiensis,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3. The analysis into terrestrial environment of plant communities showed a high content of $P_2O_5$, typical communities found in the artificially disturbed land Finally, it seems also desirable to continue to make every exer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vial and terrestrial ecologies with a purport of building up a model of natural streams in urban area based on the surveyed factors for plant life, forest communities, soil and landscape and, moreover, on the forecasting for overall influences derived from the relation upon the ecosystem.

전주시 산성자연공원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 (Vegetation Structure arid Management Planning of the Sansung Nature Park, Cheonju)

  • 최만봉;이규완;오구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51
    • /
    • 1990
  • This stud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the vegetation management proposals of the Sansung Nature Park at Cheonju City and the results were as fellows. 1. A damage of vegetation and soil surface around the Namgosa was taken place up to 100m by picnic 2. Pinus rigida forest covered 36.1% of the total area(152.6ha) and total afforested vegetation covered 43.5%, respectively. P. denstflora comm. covered 28.4% arid Carpinus laxiflora Comm. as a climax vegetation in temerate zone covered 0.3%, respectively. 3. 6, 7 and 8 of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covered 45.3%, 26.6% and 21.4%, respectively and resulted in low quality of naturalness. 4.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pour at high elevation and were poor severely in and around the Namgosa due to human disturbance. 5. Plant community were under rapid succession and had unvalanced structure and heterogeneous composition of species. Rapid vegetational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and Pf. rigida to Carpinus laxifora, Quercus spp. and Robinina pseudo-acacia were taken place.6. The speeies of Raunkiaer's frequency class I as of high frequency class were Pinus dunsiflora, Carpinus alxiflora, Quercus mmongolica, Sorbus alnifolia, Prunrs sargintii, Rhododendron yedoense, Stephanandra incisa and Lespedeza maxinowiczii. 7. Vegetational management proposals were made for three vegetation zones ; Historic landscap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zone, Afforested vegetation zone, Native vegetation conservation zone and recommanded native species for landcape planting.

  • PDF

덕유산의 생태계 탄소축적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cumulated Ecosystem Carbon in Mt. Deogyusan, Korea)

  • 정석희;엄지영;장지혜;이재호;조구현;이재석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59-467
    • /
    • 2015
  • 지역적 규모의 탄소순환과 저장량 변화에 대한 자료는 지구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적 규모의 생태계에 대한 자료 수집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생태계 중 자연성이 높은 국립공원지역 산림 생태계의 탄소축적량을 산정하여 자연군락이 축적 가능한 탄소축적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지인 덕유산국립공원은 신갈나무 우점군락 10,881.5 ha (47.2%), 굴참나무 우점군락 2,314.6 ha (10.0%), 소나무 우점군락 1,952.6 ha (8.5%), 졸참나무 우점군락 402.9 ha (1.7%)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구는 군락의 분포지역을 확인하고, 수목밀도와 종조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고, biomass 탄소축적량을 산정하기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매목조사구 내 토양샘플구 ($30cm{\times}30cm$)를 각 3개씩 설치하여 토양 탄소축적량을 조사하였다. Biomass 탄소축적량과 토양 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 우점군락에서 각각 1,749,000 tC와 7,776,000 tC로 가장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군락별 전체 생태계에 축적되어 있는 탄소량은 신갈나무 우점군락과, 굴참나무 우점군락, 졸참나무 우점군락, 소나무 우점군락에서 각각 9,536,000 tC, 1,405,000 tC, 147,000 tC, 346,000 tC로 나타났다. 또한 덕유산국립공원의 전체 생태계 탄소축적량은 11,434,000 tC로 산정되었다.

가야산 포천계곡의 생태관광자원 활용을 위한 식생구조 분석과 관리 방안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Methodology for Ecotourism Resources of Pocheon Valley, Mt. Gaya in Korea)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95-707
    • /
    • 2019
  • 본 연구는 가야산 포천 계곡의 생태관광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현존 환경요인과 군집유형의 관계를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식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가야산 포천 계곡에서 다음과 같은 5개 유형의 군집이 조사되었다.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밤나무군락, 갯버들-달뿌리풀군락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다시 조사지에 따라 2가지의 하위군락으로 나타났다. 조사지 식생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자원 활용과 건전한 자연식생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식생관리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나타난 식물군집의 교목층에 대한 인위적인 관리는 철저히 배제하여 현존식생을 유지하도록 하며, 금후 시간 경과에 따라 관목층에서 생육하는 교목성 수종이 아교목층 이상으로 성장하였을 때, 숲 관리 등의 인위적 관리를 실시하여 기존 식생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다. 연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관목층 이하 층위에서 특정 종의 우점을 배제하고 다양한 식물종이 우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지리산 대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of Daewon Vally in Mt. Chiri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이경재;구관효;최재식;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4-67
    • /
    • 1991
  • 지리산 대원계곡의 입지환경구배에 따른 삼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89개소의 조사지(1조사구당 5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의 한 기법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Classification에 의하여 낮은 해발고의 건조지에서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으로. 습윤지에서 서어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고, 높은 해발고의 건조지에서 신갈나무군집, 습윤지에서 층층나무-신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DCA기법에 의한 ordination분석결과에서도 classification 분석결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에 대한 두 기법분석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 해발고가 낮은 지역은 소나무$\longrightarrow$굴참나무, 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순이었고, 해발고가 높은 지위는 신갈나무$\longrightarrow$층층나무 순이었으며, 교목하층은 진달래, 개옻나무, 때죽나무$\longrightarrow$사람주나무, 나도밤나무, 대팻집나무$\longrightarrow$참개암나무, 당단풍, 함박꽃나무 순이었다. 환경인자의 ordination 분석에서 소나무군집과 굴참나무군집은 토양수분함량,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유효인산. 치환성용량 등의 토양양료가 낮은 지위에 분포하고 신갈나무군집과 층층나무군집은 토양양료가 높은 지위에 분포하였으며, 서어나무군집은 중간지위에 주로 분포하였다.

  • PDF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aryeongsan (Mt.) Zone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 강현미;최송현;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3-486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국립공원으로 편입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와 식생천이계열을 파악하기 위하여 75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분석 중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군락을 분리한 결과, 상수리나무군락(I),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II), 소나무-신갈나무군락(III), 굴참나무군락(IV), 리기다소나무-굴참나무-소나무군락(V), 편백림(VI)으로 구분되었다. 군락 I, II는 낙엽성 참나무류가 서로 경쟁하거나 개서어나무 등과 경쟁하여 향후 낙엽활엽수림으로의 천이가 예측되며, 군락 III, V는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등이 낙엽성 참나무류와 경쟁하여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군락 IV는 굴참나무가 우점하나 아교목층에서 난온대 수종인 후박나무가 높은 비율로 출현해 점차 후박나무의 세력 확장이 예측된다. 군락 VI은 편백 조림지로 수관층에 편백만이 우점하여 당분간 편백림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편백림은 국립공원의 편입취지에 맞게 편백을 간벌하여 천연림으로 갱신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난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팔영산지구에서 출현한 난온대수종은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보리밥나무 등 총 9종이었다.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nl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Sangbuun, lirisan National Park)

  • 박인협;최윤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7-464
    • /
    • 2003
  •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725~1,09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계곡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교목층의 밀도는 감소하는 반면, 평균 수고, 흉고직경, 흉고단면적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계곡 하부에 인간의 간섭이 비교적 심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때죽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굴참나무, 소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개암나무 등이었다 계곡정부를 포함한 해발고대별 종다양도의 범위는 0.571~l.194이었으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것은 종수와 균재도가 모두 감소하기 때문이었다. 사면부위별 종다양도는 1.172~1.285이었으며 , 사면 하부에서 중, 상부로 갈수록 종수와 종다양도가 감소하였다. 수종별 상대중요치에 의한 Cluster분석 결과 계곡하부의 사면 하부와 계곡중부의 사면 상, 중, 하부 및 계곡상부의 사면중, 상부에 위치하는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하부의 사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 계곡상부의 사면하부와 계곡정부에 위하는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등 3개 유형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TWINSPAN 및 CCA에 의한 지리산(智異山) 아고산대(亞高山帶) 침엽수림군집(針葉樹林群集)과 환경(環境)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분석(分析) (The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the Coniferous Forests in Subalpine Districts of Mt. Chiri by TWINSPAN and CCA)

  • 이수원;이강영;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279-287
    • /
    • 1997
  • TWINSPAN 및 CCA에 의한 지리산(智異山) 아고산대(亞高山帶) 침엽수림(針葉樹林)의 군집(群集)과 환경(環境)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분석(分析)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용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TWINSPAN에 의한 지리산(智異山) 아고산대(亞高山帶) 침엽수림(針葉樹林)은 구상나무군락군(群落群)으로 구상나무-소나무군락(群落),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群落), 구상나무-가문비나무군락(群落)으로 구성(構成)되었고,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群落)은 전형하위군락(典型下位群落)과 잣나무하위군락(下位群落)으로, 구상나무-가분비나무군락(群落)은 전형하위군락(典型下位群落), 주목하위군락(下位群落), 층층나무하위군락(下位群落)으로 분류(分類)되어 3개 군락(群落), 5개 하위군락(下位群落)을 갖는 6개의 식생단위(植生單位)로 구분(區分)되었다. CCA에 의한 군락(群落)과 환경요인(環境要因)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1축(軸)에서는 해발고(海拔高), Ca, Mg 등이, 2축(軸)에서는 Ca, 해발고(海拔高) 등과 높은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고 있었다. 구상나무-소나무군락(群落)은 해발고(海拔高) 가 낮고, Ca, Mg 등의 양료(養料)가 많은 지역(地城)에 주로 분포(分布)하였고, 구상나무-신갈나무군락(群落)은 해발고(海拔高)가 중간(中間)이고, Ca, Mg 등의 양료(養料)가 보통인 지역에 주로 분포(分布)하였다. 구상나무-잣나무군락(群落)과 구상나무-주목군락(群落)은 해발고(海拔高)가 높고, Ca, Mg 등의 양료(養料)가 적은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구상나무-층층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Ca, Mg 등의 양료가 보통인 지역에 주로 분포(分布)하였다.

  • PDF

자연생태관 조성을 위한 식물자원 조사연구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Plant Resources for the Natural Ecology Center - Nodong valley, Pyungchanggun of Kangwondo -)

  • 송호경;이선;이미정;지윤의
    • 환경생물
    • /
    • 제19권2호
    • /
    • pp.113-118
    • /
    • 2001
  • 본 연구는 자연생태관 조성계획지인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노동계곡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자연생태관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노동계곡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56과 121속 152종 24변종 2품종이며, 본 조사에서 감소추세종으로 관중과 도깨비부채가, 한국특산종으로 노랑무늬붓꽃이 출현하였다. 식물군락은 자연군락인 신갈나무-당단풍군락과 인공군락인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당단풍군락은 다시 소나무아군락, 고로쇠나무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한국특산종으로 구분된 노랑무의붓꽃은 고로쇠나무아군락에 분포하였으며, 자연생태관을 조성할 때 이 군락에 대한 보존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