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G 등급 아스팔트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PG 고온등급의 문제점과 새로운 대안 (Problems in High Temperature Superpave PG-Grading and A New Alternative)

  • 허정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63-71
    • /
    • 2005
  • 아스팔트바인더등급은 아스팔트바인더의 품질을 포장의 공용성과 관련하여 등급화한 것으로, 혼합물배합설계에 있어서 중요재료인 아스팔트를 적절히 선정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미국은 1990년대 중반에 PG-등급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에 미국의 PG-등급을 들여와서 바인더규정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 역이나 유럽의 대부분 나라들은 미국과는 달리 침입도나 점도등급을 고온등급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PC-등급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는 이등급에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말해주며 ,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보다 정확한 바인더등급 이론식이 소개된다. 상기 식들을 이용하여 현장가속시험기나 실내 바퀴주행시험기에서 얻어진 문헌의 데이터를 예측함으로서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내용들을 입증한다.

  • PDF

개질 및 비개질 아스팔트 바인더의 새로운 고온등급 연구 (A Study of New High Temperature Grading for Modified and Unmodified Asphalt Binders)

  • 허정도;조규태;남영국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91-102
    • /
    • 2001
  • Bahia et al. (1998)은 여러 실험을 통하여 현재의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체계로는 모든 개질바인더의 등급을 규정화할 수 없다는 결론을 맺고 있다. 이러한 결론은 개질아스팔트 바인더에 적합한 올바른 등급체계를 개발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본 개발의 중요개념은 고온에서의 소성변형깊이와 바인더성질 사이의 상관관계로부터 시작된다. 여기에 제안된 개질아스팔트 바인더를 위한 새로운 등급체계는 Huh et al. (2000)이 연구한 비 개질바인더의 등급체계와 다소 동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질과 비개질바인더 둘 다에 공히 적용 가능한 탈일 고온등급 이론식을 제공하고, 독립적 연구에 의해 발표된 실험실 및 현장 소성변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시된 식의 효용성을 점검한다. 이로 인해 관측되는 성공적인 결과는 가까운 장래에 정확한 등급체계를 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 PDF

재생 아스팔트 바인더의 물리적 특성과 저온균열 저항성 연구 (Physical Properties and Low Temperature Resistance of Recycled Binder)

  • 이영관;김준은;도영수;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1-12
    • /
    • 2004
  • 본 논문은 상온상태의 폐아스팔트 포장재료를 가열재활용하여 기층용뿐만 아니라 표층용으로 활용함에 있어 재생 아스팔트 바인더의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4종류의 RAP을 가지고 RAP 자체의 기본 물성을 시험하였다. 배합설계는 표층에는 RAP을 10, 20%를 첨가하였고, 기층에는 10. 20, 30%를 첨가하였다. 재생혼합물의 신규바인더로는 AC 60-80을 선정하였다. 침입도, 점도, GPC, TFO. 저온균열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BBR 실험을 수행하였다. 절대점도와 GPC에서의 대형입도분자(LMS)를 지수함수 회귀분석을 통해 $R^2$이 0.95 이상이었고 이것은 절대점도 추정에 GPC 결과가 상당히 정확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RAP을 첨가한 재생 아스팔트 바인더의 PG 저온 등급은 일반 신규 바인더에 비해 한 단계 높은 등급을 나타내므로 저온균열에 대한 저항성은 약간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품질 재활용 아스팔트 혼합물의 현장적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Superior Recycled Pavement of the Waste Asphalt)

  • 김지원;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67-73
    • /
    • 2012
  • 폐아스콘은 순재료와 첨가제를 섞어 분쇄와 가열을 통하여 재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재생아스팔트(SRP)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asol 왁스와 폴리올레핀 탄성체를 이용하였다. 첨가제로써 중간층 및 표층용은 PG 70-22를 목표로 아스팔트량의 1.5%를 사용하였고, 중교통 표층용은 PG 76-22를 목표로 아스팔트량의 3% 개질제와 혼합물의 0.1%에 해당하는 셀룰로스 화이버를 첨가하였다. 두 혼합물은 마샬안정도시험, 간접인장강도시험, 잔류간접인장강도시험, 휠트래킹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는 KS F 2349와 GR F 4005의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고품질재생아스팔트는 중교통도로의 표층 및 기층재료로 사용이 적합하였다. 현재 약 13,000톤의 고품질재생아스팔트 혼합물이 서울 올림픽 도로에 현장시공 되었다.

국내 아스팔트의 점탄성적 물성과 경험적 물성과의 관계 (A Relation of Viscoelastic Properties to Empirical Properties of Korean Asphalt Binder)

  • 김남호;이관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13-121
    • /
    • 2001
  • 아스팔트의 점탄성적 물성을 기준으로 하는 아스팔트의 등급을 분류하는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은 현재 나와있는 아스팔트 등급 중에서 그 이론적 배경이나 포장 공용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비교적 우수한 등급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이러한 공용성 등급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고가 시험장비의 도입, 실험 기술인력의 확보 등 국내 현실로서 넘기 어려운 여러 장벽들이 산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국내 현실을 이유로,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의 개념을 국내에 도입하되, 그 기준을 좀더 측정하기 쉬운 경험적 물성을 기준으로 하여 국내의 아스팔트 등급기준이 설정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아스팔트의 경험적 물성을 기준으로한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의 설정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9종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2종의 개질재가 첨가된 총 18종의 개질 아스팔트를 대상으로 시험된 경험적 물성과 수퍼페이브 공용성 등급 분류에 사용된 물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침입도 등의 경험적 물성을 이용하여 국내현실에 맞는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아스팔트 등급의 구성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결합재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 샌드아스팔트 혼합물의 강도특성 추정 (Estim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Sand Asphalt Concrete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of Binder)

  • 김광우;이순제;이기호;이성훈;이병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49-15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바인더의 절대점도, 동점도, 침입도, 연화점, PG 고온등급을 이용하여 샌드아스팔트 흔합물의 고속 직접인장강도(DTS1), 저속 직접인장강도(DTS2), 간접인장강도(ITS), 회복탄성계수(MR), 강성지수(SI)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 가지 혼합물의 특성 중 DTS2가 가장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DTS1, ITS, SI, MR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인더 성질 중에는 PG 등급이 DTS2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여 PG 고온등급이 높은 바인더를 사용하면 직접인장강도가 어느 정도 우수한 혼합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각각의 물리적 성질만으로는 신뢰도가 낮아 종합적으로 여러 물성을 이용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접 및 간접인장강도는 결정계수가 0.99 이상인 모델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MR, SI 값의 추정치 모델도 R2이 0.91 및 0.93 이상이어서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물성으로부터 역학적 특성을 추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폴리머 개질 아스팔트의 생산 및 시공 온도 저감기술 평가 (The Evaluation of Technology for Temperature Reduction of Mixing & Compaction for Polymer Modified Asphalt)

  • 조신행;유주열;이진구;김낙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46.2-46.2
    • /
    • 2010
  •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성능 행장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머 개질 아스팔트(PMA)는 높은 생산온도와 다짐온도로 인해 생산 시 연료 소비가 많고 시공관리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중온형 아스팔트 기술을 접목하여 고온에서의 아스팔트 점도를 낮춤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바인더의 전반적 공용성능 향상을 위해서 폴리머 (SBR)와 작업성 개선을 위해 Wax 및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아스팔트 바인더를 제조하였으며, 실험결과 PG 82-22의 높은 공용등급의 바인더를 얻었으며, 생산 및 시공온도는 기존의 PMA 아스팔트와 달리 일반 스트레이트아스팔트와 비슷한 수준을 확보하였다.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 성능 면에서도 PMA개질 아스팔트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 PDF

HMA와 WMA 혼합물의 선회 다짐횟수 적정성 검토 연구 (Feasibility Evaluation of Number of Gyration for HMA and WMA Mixtures)

  • 이문섭;윤천주;권수안;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33-1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 기준으로 제시된 선회 다짐횟수를 가열아스팔트 혼합물과 중온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짐횟수 검증을 위하여 굵은골재최대치수 13mm와 19mm 1등급 골재와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용 PG64-22와 PG76-22, 중온아스팔트 혼합물용 PG70-22 아스팔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바인더 별로 권장 다짐온도를 기준으로 4가지 온도에서 선회다짐 100회와 마샬다짐 75회의 다짐량을 비교하였다. 두 다짐기를 공극률 상으로 평가할 때 전반적으로는 선회다짐기의 다짐이 다소 더 잘 되었다. 공극률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두 다짐기 사이에 19mm 혼합물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고 13mm의 경우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일정 다짐온도 이하에서 다졌을 경우 두 다짐기 모두 다짐이 불량하여 다짐온도를 확보하여 다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생산 및 시공"에서 제시한 선회 다짐횟수 100회는 지침에서 제시한 아스팔트 혼합물의 다짐온도를 준수한다면 마샬다짐기 양면 75회 다짐과 유사하거나 다소 좋은 다짐 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생 아스팔트 첨가제의 성능비교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Agents for Asphalt Pavement Recycling)

  • 김인수;강민수;서영찬;이봉원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82-88
    • /
    • 2012
  • 재생아스팔트 포장은 환경과 경제성 측면에서 일석이조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이 분야에 필요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재생 첨가제는 재생아스팔트의 품질 향상에 가장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조속히 발전하고 연구되어야 할 분야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재생 첨가제에 대해서 물성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인공 노화 아스팔트 시료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침입도 실험결과 오일계 첨가제는 목표 침입도를 회복하였습니다. 같은 시료를 기존의 공용성 등급실험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G^*/sin{\delta}$ 값이 대폭 증가하여 기준을 매우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로시험에서는 노화바인더 수명과 근접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기존 공용성 등급의 소성변형 저항관련 시험인 MSCR 결과에서는 폴리머형 첨가제의 리커버리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