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FM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64초

사료용 복합생균제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Probiotic Feed Mixture on Chicken Meat Qual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신종서;엄경환;김창래;최윤서;박희진;이혜선;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79-788
    • /
    • 2019
  •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사료용 복합생균제(PFM, probiotic feed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아리 (Ross 308)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사료용 복합 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3(PFM3, 사료용 복합 생균제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5(PFM5, 사료용 복합 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체중은 CON과 비교할 때 CP3, PFM3, PFM5가 높았고 PFM3, PFM5는 CP3에 비해 우수하였다(p<0.05). F낭, 흉선, 비장의 무게 및 IgG 수준은 CON과 비교할 때 PFM3, PFM5 및 CP3에서 증가하였으며 PFM3, PFM5는 CP3에 비해 높았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 균수는 PFM3, PFM5 및 CP3를 섭취한 브로일러가 CON에 비해서 높았으나 E.coli, Salmonella, coliforms, 총 호기성 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PFM3 및 PFM5를 섭취한 닭 가슴살의 보수력은 CON 및 CP3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를 포함하는 사료용 복합생균제 0.3%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가변주파수 스위칭 DC-DC 컨버터용 집적회로를 위한 기능 회로 설계 (A Functional Circuits Design of Variable Frequency Switching type DC-DC Converter Integrated Circuit)

  • 이준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호
    • /
    • pp.139-144
    • /
    • 2016
  • 본 논문은 가변 스위칭 주파수 PFM을 이용한 DC-DC 변환기의 집적회로 개발 시, 적용 가능한 주요 기능 블록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DC전압 변환 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가 작거나 출력전압이 설정값 근처에 도달했을 때 PFM 모드로 동작시켜 전력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FM DC-DC 변환기 구현에 필요한 PFM 신호 발생회로, PFM 주파수 제어기, 출력전압감지회로 그리고 과전류보호회로를 설계하였다. 설계를 위한 공정파라미터는 내압 12[V], 최소선폭 $0.35[{\mu}m]$, 2P_2M CMOS 공정을 사용하였다.

6-Parametric factor model with long short-term memory

  • Choi, Janghoo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8권5호
    • /
    • pp.521-536
    • /
    • 2021
  • As life expectancies increase continuously over the world, the accuracy of forecasting mortality is more and more important to maintain social systems in the aging era. Currently, the most popular model used is the Lee-Carter model bu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is model with one of them being 6-parametric factor model (6-PFM) which is introduced in this paper. To this new model, long short-term memory (LSTM) and regularized LSTM are applied in addition to vector autoregression (VAR), which is a traditional time-series method. Forecasting accuracies of several models, including the LC model, 4-PFM, 5-PFM, and 3 6-PFM's, are compared by using the U.S. and Korea life-tables. The results show that 6-PFM forecasts better than the other models (LC model, 4-PFM, and 5-PFM). Among the three 6-PFMs studied, regularized LSTM performs better than the other two methods for most of the tests.

Nanoscale Probing of Ferroelectric Domain Switching Using Piezoresponse Force Microscopy

  • Yang, Sang Mo;Kim, Yunseo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40-349
    • /
    • 2019
  • In ferroelectric materials, piezoresponse force microscopy (PFM) has been widely used to explore ferroelectric domain switching.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fundamentals of nanoscale probing of ferroelectric domain switching using PFM, including the basic principles of PFM and a variety of PFM studies on local domain switching. We also introduce advanced PFM techniques for exploring switching behavior. Finally, we discuss several issues and perspectives in nanoscale probing of ferroelectric domain switching using PFM. PFM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oring switching behavior in ferroelectric materials, and it could be further developed to probe more detailed switching information.

The immediate effectiveness of mobile game-based instruction with an extracorporeal biofeedback device for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in healthy subjects

  • Kang, Hyo Jeong;Kim, Mi-Hwa;Hwang, Ji Hye;Lee, Wan-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9권3호
    • /
    • pp.209-214
    • /
    • 2020
  • Objective: Using biofeedback in instructing pelvic floor muscle (PFM) activation is a great method to provide information on muscle contrac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mmediate effectiveness of a mobile game-based instruction with an extracorporeal biofeedback device (EBD) to improve PFM contraction in healthy subject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Sixteen healthy subjects (4 men and 12 nulliparous women; age, 31±5 years) were enroll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ose who were to receive instructions on how to contract the PFM by using the EBD (n=7) and those who were to undergo a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TAUS; n=9) with biofeedback. PFM function was measured as the displacement (mm) of PFM elevation by using the TAU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s in each group. Results: The EBD and TAUS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isplacement of PFM elevation after the instructions from 5.93±4.03 mm to 7.62±3.77 mm and from 5.27±3.39 mm to 7.47±2.79 mm, respectively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structions for PFM contraction using the EBD and TAUS showed an immediate effect;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instruction methods. Therefore, not only can the TAUS method be used but the EBD method can also be used as a PFM instruction method for noninvasive procedure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and exercise on larger sample sizes that includes patient populations with PFM dysfunction.

전류모드 PWM/PFM DC-DC Boost 변환기 설계 (A Design of Current Mode PWM/PFM DC-DC Boost Converter)

  • 황인호;유성목;박종태;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4-407
    • /
    • 2011
  • 본 논문은 전류모드에서 동작하는 PWM/PFM DC-DC Boost 변환기의 설계를 하였다. 부하전류가 클 때는 PWM으로 동작하고, 부하 전류가 작을 때는 PFM으로 동작함으로써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DC-DC Boost 변환기는 $0.35{\mu}m$ 공정으로 설계되었으며, 500KHz의 주파수에 동작하고, 최대 효율은 92.1%이다. 그리고 부하 전류가 최대 600mA까지 구동 할 수 있다. 전체 칩의 크기는 패드를 포함하여 $1300{\mu}m{\times}1070{\mu}m$이다. 따라서 작은 칩 면적으로 넓은 부하전류를 구동할 수 있는 DC-DC Boost 변환기를 설계하였다.

  • PDF

이중 펄스 폭을 적용한 PFM 부스트 변환기 설계 (Design of PFM Boost Converter with Dual Pulse Width Control)

  • 최지산;조용민;이태헌;윤광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9호
    • /
    • pp.1693-1698
    • /
    • 2015
  • 본 논문은 이중 펄스 폭을 지닌 PFM(Pulse-Frequency Modulator) 부스트 변환기를 제안한다. 부스트 변환기의 구동 회로 구조는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이를 이용해 여러 가지의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 소프트 시동 회로, 에러 증폭기, 고속 전압 비교기, 인덕터 전류 센싱 회로, 펄스 폭 발생 회로로 구성되어있다. 변환기는 부하 전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최대 인덕터 전류 값을 갖도록 구성해 부하 범위를 넓히고, 출력 전압 리플을 감소하도록 했다. 제안된 PFM 부스트 변환기는 입력 전압으로 3.7V를 받고, 18V의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구동 가능한 부하 전류는 0.1~300mA의 범위를 가진다. 모의실험 결과 저 부하 전류 동작 구간에서 0.43%, 고 부하 전류 동작 구간에서는 0.79%의 출력 전압 리플을 보였다. 변환기는 저 부하 구간에서 85%의 효율을 나타내며 20mA에서 86.4%로 최대의 효율을 나타냈다.

골반바닥근 운동방법이 골반바닥근과 몸통근육의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Three Pelvic Floor Muscle Excercise on Thickness of Pelvic Floor Muscle and Abdominal Muscles)

  • 강시은;심재훈;정성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05-1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초음파 영상 분석을 통해 세 가지 골반바닥근 수축 운동이 골반바닥근과 배가로근, 배속빗근, 그리고 배바깥빗근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골반바닥근과 몸통 근육들의 근두께는 초음파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안정시, 전통적 골반바닥근 수축[운동 A]시, 엉덩 모음근과 골반바닥근 동시 수축[운동 B]시, 실시간 초음파 영상장비를 이용한 골반바닥근 수축 유도[운동 C])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다른 운동들에 비해 운동 C 수행 시 안정 시 보다 가장 크게 골반바닥근의 두께가 감소하였고(p<.05), 배가로근 역시 다른 운동들에 비해 운동 C 수행 시 안정 시 보다 근두께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세 가지 골반바닥근 수축 방법들 중에서 실시간 초음파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골반바닥근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 C 방법이 골반바닥근 수축을 통한 여성들의 오줌새기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추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FM/PWM 듀얼 모드 피드백 기반 LED BLU 구동용 LLC 공진 변환 제어 IC 설계 (A Design of PFM/PWM Dual Mode Feedback Based LLC Resonant Converter Controller IC for LED BLU)

  • 유창재;김홍진;박영준;이강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67-274
    • /
    • 2013
  • 본 논문은 Pulse Frequency Modulation(PFM)/Pulse Width Modulation(PWM) 듀얼 모드 피드백 기반 LED 백라이트 유닛 구동용 LLC 공진 변환 제어 IC 설계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공진형 변환기에서 하나의 변압기를 사용하면서, 두 가지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Master 출력은 PFM 방식으로 Slave 출력은 PWM 방식으로 제어하도록 설계 하였다. 2차 측 Master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파워 스위치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PFM 피드백과 2차 측 Slave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파워 스위치 제어 신호의 펄스 폭을 조절하는 PWM 피드백 회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IC는 $0.35{\mu}m$ 2 Poly 3 Metal BCD(Bipolar-CMOS-DMOS) 공정을 이용하여 레이아웃 되었으며, 면적은 $2.3mm{\times}2.2mm$ 이다. 또한, 설계한 칩은 5 V 공급 전압으로부터 26 mA의 전류를 소모하였다.

PWM/PFM 모드를 이용한 모바일용 벅 변환기 설계 (Design of the DC-DC Buck Converter for Mobile Application Using PWM/PFM Mode)

  • 박리민;정학진;유태경;윤광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1B호
    • /
    • pp.1667-167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무선 휴대 장치의 전력공급을 위해 적용 가능한 고효율 PWM/PFM 모드 DC-DC벅 변환기를 제안한다. 휴대성 확보를 위한 간소화된 보상회로를 사용하고, 휴대장치의 대기 모드 및 저부하에서 높은 효율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휴대 장치 동작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기모드(저부하: 60mA이하) 및 저부하에서의 고효율 동작을 해서 PFM 동작 모드의 제어를 위해서 상대머신을 설계하였다. 칩 측정 결과 동작모드별로 PWM은 93%, PFM은 92.3%의 최대효율을 확인하였다. 측정된 출력 리플전압은 10mV 이하로 나타났다. 제안된 벅 변환기는 $0.35{\mu}m$ CMOS 공정으로 제작하였으며, 3.3V ~ 2.5V의 입력전압을 받아서 1.8V의 전압을 출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