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G2

검색결과 849건 처리시간 0.024초

PBEM-POEM 공중합체와 Poly(ethylene glycol)의 폴리머 블렌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막 제조 (Fabrication of Polymeric Blend Membranes Using PBEM-POEM Comb Copolymer and Poly(ethylene glycol) for CO2 Capture)

  • 문승재;민효준;김나운;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9권4호
    • /
    • pp.223-23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이산화탄소 친화적인 PBEM-POEM (PBE)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고분자 블렌드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PBE 공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을 통해 손쉽게 합성이 가능하며, 이를 상용 고분자인 PEG와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이산화탄소/질소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이산화탄소/질소 분리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PEG의 함량이 높을수록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감소하는 반면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는 크게 증가하는 상충(trade-off) 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PBE/PEG (9 : 1)과 PBE/PEG (7 : 3)을 비교하면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단지 8.3% 감소한 반면에 질소 투과도는 69.1%나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가 33.8에서 100.3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PBE 공중합체의 80%를 차지하는 POEM 사슬이 PEG와 상호작용하여 더욱 조밀한 구조가 되었기 때문이며, 이를 FT-IR, XRD, SEM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PBE/PEG (7 : 3) 블렌드 막이 가장 최적의 기체 분리 성능을 가졌고, 이산화탄소투과도는 170.5 GPU,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는 100.3이었다.

전기방사법으로 제조한 PU/PEG 복합 지지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U/PEG Hybrid Scaffold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 설보경;신지연;오가연;이득용;이명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48-255
    • /
    • 2017
  • Polyurethane/polyethylene glycol(PU/PEG) hybrid scaffold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EG (0 to 50wt%) were prepared by electrospinning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biocompatibility of the PU/PEG blend scaffolds. The 12wt% PU/PEG polymers were studied due to the absence of beads.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12wt% PU was $8.2{\pm}0.5MPa$. The strength increased to $9.2{\pm}0.7MPa$ when 10% PEG was added to PU. However, the dry and the wet strength of PU/PEG scaffolds began to decrease dramatically when the PEG content was more than 10wt%.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for all the PU/PEG scaffolds investigated, indicating that the PU/PEG hybrid scaffolds are clinically safe and effective to small-diameter vascular grafts. In addition, the L-929 cells attached and proliferated well on the PU/PEG hybrid scaffolds.

농양 진단을 위한 $^{99m}Tc-HYNIC-PEG-liposomes$의 제조 (Preparation of $^{99m}Tc-HYNIC-PEG-liposomes$ for Imaging of the Focal Sites of Infection)

  • 홍준표;오옥두;김현석;이은숙;이태섭;최태현;최창운;임상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33-343
    • /
    • 2002
  • 목적: BFCA 중 하나인 HYNIC을 제조하고, 염증부위에 선택적으로 국소화 되어 진단할 수 있는 PEG-liposome과 결합시켜 HYNIC-PEG-liposome을 제조하며, 제조된 HYNIC-PEG-liposome에 방사성 동위원소인 $^{99m}Tc$의 표지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Chloronicotinic acid를 출발물질로 하여 succinimidyl 6-BOC-hydrazinopyridine-3-carboxylic acid를 순차적으로 합성하였다. Triethylamine을 이용해 합성된 succinimidyl 6-BOC-hydrazinopyridine-3-carboxylic acid와 DSPE를 접합하였다. HYNIC-DSPE를 제조한 후에 EPC:PEG-DSPE: HYNIC-DSPE:cholesterol을 1.85:0.15 :0.07:1의 몰 비로 혼합하여 HYNIC-PEG-liposome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HYNIC-PEG-liposome에 $SnCl_2{\cdot}2H_2O$와 tricine을 이용하여 $^{99m}Tc$를 표지하였다. $^{99m}Tc$-HYNIC-PEG-liposome과 혈청을 섞어서 실온과 $37^{\circ}C$에서 24시간까지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99m}Tc$-HYNIC-PEG-liposome에 DTPA, cysteine, glutathione을 각각 과량의 몰 비로 섞고 $37^{\circ}C$에서 1시간 반응 후에 trans- chelation을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6-Chloronicotinic acid를 출발물질로 하여 6-hydrazinopyridine-3-carboxylic acid, 6-BOC-hydrazinopyridine -3-carb-oxylic acid, succinimidyl-6-BOC-hydra-zino-pyri- dine-3-carboxylic acid를 합성하였으며 각각의 합성수율은 88.5%, 93.7%, 93.2%였고 최종수율은 77.3%였다. 제조된 HYNIC-PEG-liposome의 직경은 106 nm였고, PEG-liposome에 접합된 HYNIC의 농도는 1.08 nM이었다. HYNIC-PEG- liposome의 개수는 1 ml에 $5.2{\times}10^{14}$개가 존재하였고, PEG- liposome 한 개당 HYNIC은 약 1250개가 접합되었다. 제조된 HYNIC-PEG-liposome에 $SnCl_2{\cdot}2H_2O$와 tricine을 이용하여 $^{99m}Tc$를 표지하였으며 그 표지수율은 99%이상이었다. 혈청 내에서 24시간까지 93.5%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DTPA, cysteine, glutathione을 각각 1000배의 몰 비를 첨가한 경우 $^{99m}Tc$-HYNIC- PEG-liposome의 방사화학적순도가 각각 98%, 96%, 99%으로서 안정하였다. 결론: BFCA중 하나인 HYNIC을 이용한 $^{99m}Tc$-HYNIC-PEG-liposome의 제조는 손쉬운 표지방법과 높은 표지수율 그리고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이를 염증부위에 선택적으로 국소화되어 염증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금속가공유용 수용성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및 용액특성(II) (Synthesis and Solution Properties of Water Soluble Polyester for Metal-Working Fluids (II))

  • 윤유정;김영운;정근우;황도혁
    • 공업화학
    • /
    • 제16권6호
    • /
    • pp.834-841
    • /
    • 2005
  • 아디픽산 및 세바식산의 이염기산을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축합 반응하여 여러종류의 PEG-ester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EG-ester의 화학적 구조 및 분자량을 FT-IR, $^1H-NMR$, HPLC 및 GP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임계미셀농도(CMC), 표면장력, 알루미늄판에 대한 접촉각 등을 통하여 수용액상에서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PEG-ester의 농도에 따라 표면장력은 72.5에서 45~50 dyne/cm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세바식산을 사용하여 합성한 PEG-ester가 아디픽산을 사용하여 합성한 PEG-ester보다 같은 농도에서 낮은 표면장력을 나타내었다. CMC는 구조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세바식산을 함유한 PEG-ester의 CMC는 $0.9{\times}10^{-5}{\sim}5.3{\times}10^{-3}mol/L$로 폴리옥시알킬렌 단위체가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아디픽산을 함유한 PEG-ester의 경우, 변곡점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가 없었다. 알루미늄에 대한 젖음성을 알루미늄 시편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여 검토하였는 바, PEG-ester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작아짐을 알 수 있었고 임계점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2.5 wt% PEG-ester를 함유한 수용액의 알루미늄에 대한 접촉각은 $45{\sim}53^{\circ}$이었으며 알루미늄 가공 절삭시간은 CMC를 나타내는 농도에서 가장 짧게 관찰되었으며 CMC 농도보다 큰 농도에서 길게 나타났다. 즉, 알루미늄을 가공할 때 PEG-ester의 CMC가 절삭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ynthesis and Hydrophilicities of Poly(ethylene 2,6-naphthalate)/ Poly(ethylene glycol) Copolymers

  • Son, Jun-Sik;Ji, Dong-Sun
    • Fibers and Polymers
    • /
    • 제4권4호
    • /
    • pp.156-160
    • /
    • 2003
  • Poly(ethylene 2,6-naphthalate) (PEN)/Poly(ethylene glycol) (PEG)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two step reaction during the melt copolymerization process. The first step was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dimethyl-2,6-naphthalenedicarbox-ylate (2,6-NDC) and ethylene glycol (EG). The second step was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bishydroxyethylnaphthalate (BHEN) and PEG. The copolymers contained 10 mol% of PEG unit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Structures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s were studied by using $^1{H-NMR}$, DSC, TGA, etc. Especially, while the intrinsic viscosities of PEN/PEG copolymers increased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s of PEG, bu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col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the weight loss temperature of the copolymers decreased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s of PEG. Consequently, the hydrophilicities by means of contact angle measurement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opolymer fil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s of PEG.

재활용 PEG를 이용한 수침 고버드나무의 치수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Salix koreensis Andersson Treated with Recycled PEG)

  • 양석진;이수;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5-641
    • /
    • 2014
  • 수침고목재는 보존을 위해 치수안정화의 공정이 필요하다. PEG는 목재의 치수안정화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PEG 40% 함침 후 동결건조 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PEG처리 후 폐액은 목재로부터 침출된 유기물에 의해서 검게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폐액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폐액의 검은색은 제거 가능하다. PEG는 보존처리 전, 후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 후에도 그 물성이 변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재활용된 PEG를 이용하여 수침고목재의 치수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수안정화에 사용된 용액의 PEG와 재활용 PEG의 비율을 10:0, 7:3, 5:5, 3:7, 0:10 (pure PEG : 재활용 PEG)으로 하였다. 그리고 수침고목재를 용액의 농도 10, 20, 30, 40%로 각각 5일간 함침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25%의 중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 세포를 관찰한 결과 PEG의 함침은 매우 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치수변화율은 4%이하로 모든 시료 동일하게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어 재활용 PEG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는 것은 새 PEG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처리에 의한 일본잎갈나무의 치수안정화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Japanese Larch by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 정재열;한규성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41-45
    • /
    • 2001
  • 본 연구는 목재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주입하였을 때 얻어지는 치수안정화 효과를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종은 일본잎갈나무(낙엽송, Larix kaempferi)이었고, 분자량이 각각 1000, 1500, 4000, 6000인 PEG를 각각 30%, 40%, 50% 수용액으로 하여 함침 처리에 사용하였다. 치수안정성은 항팽윤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PEG 주입에 따른 중량중가율은 PEG 처리 농도 40%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PEG 분자량 1500 처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평균 분자량 1500이상이 되면, 분자량이 커질수록 중량증가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EG 처리재의 항팽윤율(ASE)은 PEG #1000 또는 PEG #1500 처리시 접선, 방사방향 모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PEG 분자량이 증가하면, ASE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UV/O2 가스상 세정을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상의 PEG 반응기구의 관찰 (Investigation of PEG(polyethyleneglycol) Removal Mechanism during UV/O2 Gas Phase Cleaning for Silicon Technology)

  • 권성구;김도현;김기동;이승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985-993
    • /
    • 2006
  •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moval mechanism of PEG(polyethyleneglycol) by using UV-enhanced $O_2$ GPC (gas phase cleaning) at low substrate temperature below $200^{\circ}C$ was executed under various process conditions, such as substrate temperature, UV exposure, and $O_2$ gas. The possibility of using $UV/O_2$ GPC as a low-temperature in-situ cleaning tool for organic removal was confirmed by the removal of a PEG film with a thickness of about 200 nm within 150 sec at a substrate temperature of $200^{\circ}C$. Synergistic effects by combining photo-dissociation and photo oxidation can only remove the entire PEG film without residues within experimental splits. In $UV/O_2$ GPC with substrate temperatures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substantial increase in the PEG removal rate can be explained by surface-wave formation. The photo-dissociation of PEG film by UV exposure results in the formation of end aldehyde by dissociation of back-bone chain and direct decomposition of light molecules. The role of oxygen is forming peroxide radicals and/or terminating the dis-proportionation reaction by forming peroxide.

벼, 보리, 밀 종자의 PEG 처리가 종자활력과 포장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G Treatment on Seed Viability and Seedling Emergence in Rice, Barley and Wheat)

  • 이성춘;김진희;정춘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5-156
    • /
    • 1996
  • 종자에 osmoconditioning처리하여 포장 입묘율을 안정화함으로써 생력재배의 기초로 활용하 기 위하여 벼, 보리 및 밀 종자에 PEG를 처리하여 발아, 유묘생장성 및 포장 입묘율에 미치는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흡수율은 보리가 가장 높았고 벼가 가장 낮았으며 보리에서는 PEG 처리 종자가 무처리 종자보다 훨씬 높았으나 벼와 밀은 농도간 큰 차이가 없었다. 2. 종자호흡량은 PEG 처리 종자가 무처리 종자 에 비하여 낮았고 보리와 밀의 호흡량이 벼 보다 훨씬 높았으나 PEG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로 벼는 점차 증가하였다. 3. 전체 평균 발아율은 PEG 처리 종자가 무처리 종자보다도 높았으나, 무처리 종자의 발아율이 원래 높았던 벼에서는 PEG처리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지만 무처리 종자의 발아율이 낮았던 보리 에서는 효과가 컸다. 4. 노후화 처리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아 졌으나 재 PEG 처리할 때는 발아율이 급속히 회복되었다. 5. PEG 처리 후 PVP와 waterlock를 재 coating한 종자에서는 coating polymer의 영향이 PEG처리보다도 더 크게 나타났고, 보리 밀과는 달리 벼에서는 polymer에 따라 품종간 특이 한 발아양상을 보였다. 6. PEG처리로 발아소요시간은 벼, 보리 및 밀에서 크게 단축되었고 PEG처리 농도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7. PEG 처리로 초장은 벼에서는 더 커졌지만 보리와 밀에서는 품종간 각각 다양한 결과를 보였고, PEG 처리 후 polymercoating 종자에서도 polymer에 따라 각각 달랐다. 8. 건물중은 작물별로 각각 달랐는데 벼와 밀에서는 PEG 농도 차이가 없었고 보리 에서는 PEG 처리 농도가 점차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9. 포장출아율은 PEG처리 종자가 훨씬 높았는데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벼는 토양수분함량 90%에서, 보리 와 밀은 각각 50, 70%에서 가장 높았다. 10. 포장 출아 소요시간은 벼가 보리와 밀보다도 훨씬 길었고 벼에서는 도장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보리와 밀에서는 낮을수록 단축되었다.

  • PDF

추출 발효에 의한 알콜 제조 공정개발 -PEG/Dx 최적 이상계의 선정- (Process Development for Alcohol Production by Extractive Fermentation)

  • 김진한;허병기목영일
    • KSBB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75-180
    • /
    • 1991
  • The quantitative effects of molecular weight and concentrations of two phase-forming polymers-polyethylene glycol and crude dextran on the two phase extractive ethanol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Box-Wilson central composite protocol. The regression model obtained was used in order to determine optimum compositions of aqueous two phase system. In the aqueous two phase extractive ethanol fermentation of Kluyueromyces fragilis CBS 1555 with Jerusalem artichoke juice, it was found from the regression model that the variables influenlcing on ethanol fermentation were PEG concentration, time, Dx concentration, and PEG molecular weight strongly in order. The interaction of PEG concentration and PEG molecular weight was also found, and the effect of PEG concentration decreased with increase in molecular weight of PEG. The ethanol concentration incresed with increase in molecular weight of PEG, and with decrease in concentration of PEG. In conolusion, maximum concentration of ethanol produced was obtained at the following compositions; PEG MW 20000, Dx concentration ranged from 4% to 5%, and PEG concentration ranged from 3% to 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