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NB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6초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entachloronitrobenzene(PCNB) Degrading Bacterium Alcaligenes xylosoxidans PCNB-2 from Agricultural Soil

  • Shin, Sung-Kyu;Kim, Jang-Eok;Kwon, Gi-Seok;Kwon, Jin-Wook;Oh, Eun-Taex;So, Jae-Seong;Koh, Sung-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2호
    • /
    • pp.165-168
    • /
    • 2003
  • We report a new PCNB-degrading strain (PCNB-2) that is able to utilize and grow on PCNB (100 ppm) as a sole carbon source.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Alcaligenes xylosoxidans based upon 16S rDNA sequence analysis, API 20 NE tests and cell membrane lipid analysis. The new PCNB degrader Alcaligenes xylosoxidans PCNB-2 could find use in bioremediation of PCNB, which is environmentally persistent.

작업환경을 위한 TVL의 근거 - pentachloronitrobenzene(1)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58호
    • /
    • pp.11-14
    • /
    • 2009
  • 살균제인 pentachloronitrobenzene(PCNB)의 직업적 노출을 위한 TLV-TWA를 0.5 mg/$m^3$으로 권고하였다. 이 수준은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준이다 피부자극과 피부 흡수에 관한 것은 증명되지 않았다. PCNB에 대한 발암가능성을 흰쥐와 생쥐를 대상으로 생물학적 검정을 한 결과, 생쥐에서 양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학적 검정에 사용한 PCNB가 공업용이었고 불순물로 포함된 hexachlorobenzene에 의해 암이 유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FCNB 물질은 발암성 유발 인자(A4;Not Classifiable as a Human Carcinogen)로 권고하였다. PCNB의 Skin, SEN notation, TLV-STEL에 관한 정보는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아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 PDF

연안(沿岸) 패류(貝類) 서식지(棲息地) 저니토중(底泥土中)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the Mud Flat)

  • 서용택;임건재;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86
  • 주요(主要) 패류(貝類) 서식지중(棲息地中) 서남해안(西南海岸) 4개지역(個地域)을 선정(選定), 1983년 8월부터 10월에 걸쳐 저니토(底泥土) 시료(試料)118점(點)을 채취(採取),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alpha}-BHC,\;{\gamma}-BHC$와 PCNB, heptachlor, ${\alpha}-endosulfan,\;{\beta}-endosulfan,$ p, p'-DDE, dieldrin, o, p'-DDT 및 p, p'-DDT 등(等)이 M$2{\sim}98%$의 검출빈도(檢出頻度)를 보였고 그 평균잔류수준(平均殘留水準)은 ${\gamma}-BHC$$PCNB>{\alpha}-BHC>heptachlor{\approx}{\alpha}-endosulfan{\approx}\;p,\; p'-DDE{\approx}dieldrin{\approx}{\beta}-endosulfan{\approx}\;o,\;p'-DDT{\approx}\;p,\;p'-DDT$순(順)으로 $trace{\sim}0.04ppm$범위(範圍)였다. 지역별(地域別) 총잔류량(總殘留量)의 평균(平均)은 강진(康津), 광양(光陽), 여천(麗川) 및 영광(靈光)이 각각(各各) 0.058, 0.080, 0.016 및 0.075ppm이었다. DC-200 column을 사용(使用)하여 ${\gamma}-BHC$와 PCNB의 peak를 분리(分離)하였고 PCNB는 이를 환원(還元) 유도체(誘導體)인 PCA로 만들어 동정(同定)함으로써 공시시료중(供試試料中) PCNB가 잔류(殘留)됨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살균제의 토양관주에 따른 인삼모잘룩병균(자묘입고병균)의 숫적면화(수적변화) 및 묘삼뿌리의 수량 (Effects of Fungicidal Drenches on Damping-off Organisms in Ginseng Seed Bed and Yield of the Seedling Root)

  • 최하자;정후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12
    • /
    • 1971
  • 1. 인삼묘포에 Captan, Difolatan, Zineb, Maneb와 PCNB를 일주일 간격으로 토양관주 하였다. 처리하기전과 2회 및 4회처리후에 각각 Rhizoctonia solani, Pythium debaryanum, Fusarium 그리고 Trichoderma 균총의 숫적 (수적)변화를 Boosalis의 특별잔사법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인삼(Panax ginseng)의 모잘록병균으로서 Pythium debaryanum을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2. Rhizoctonia solani, Pythium debaryanum의 수는 토양관주에 관계없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로 감소하였고 Fusarium 및 Trichoderma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Rhizoctonia solani의 수는 PCNB에 의해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다른 약제에 의해서도 대조구 보다 감소하였다. 3, Pythium debaryenum은 Zineb, Maneb, Captan, Difolatan의 순으로 고 수가 증가하는 반면 Fusarium은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Tichroderma를 제외한 모든 균의 숫적 변화는 시일의 경과에 대하여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4. 토양관주에 의한 약해는 Maneb, Zineb, Captan 구에서 나타났고 묘삼 뿌리의 생체 무게는 Difolatan, PCNB, Maneb구에서 대조구 보다 증가하였다.

  • PDF

Impacts of Different Pentachloronitrobenzene (quintozene) Use Patterns on Severity of Damping-off of Ginseng (Panu quinquefolitrs)

  • Reeleder, R.D;Capell, B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10-16
    • /
    • 2002
  • In replicated field trials, the efficacy of pentachloronitrobenzene (PCNB; quintozene) for control of damping-off of ginseng seedlings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iming of application and formulation. Application at the time of seeding and prior to placement of straw mulch was found to provide the moat consistent level of disease control. However, decline in plant stand during the four-year production cycle resulted in most treatments providing similar levels of plant populations at harvest. Soil residues of pentachloronitrobenzene were generally highest (1 $\mu\textrm{g}$ PCNB/g soil) in those treatments that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disease control in the seedling year. Straw contained high levels of quintozene after application. Beet seed assays with artificially-infested soils indicated that current use rates provide an amount of product suitable for high levels of disease control.

수소 결합에 의한 이차원의 Nickel(II) Tetraaza 거대 고리 착물 결합구조 (Crystal Structure of Three-Dimensional Nickel(II) Tetraaza Macrocyclic Complex Linked by Hydrogen-Bonds)

  • Park, Ki-Young;Choo, Geum-Hong;Suh, Il-Hwan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16
    • /
    • 2002
  • [Ni(L)](BDC)·4H₂O (1) (L = 3,14-dimethyl-2,6,13,17-tetraazatricyclo[16,4,O/sup 1.18/,O/sup 7.12/]docosane;BDC = 1,3-benzenedicarboxylate) 착물을 합성하고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착물은 사방정계, 공간군 Pcnb, a = 8.764(2) , b = 17.687(2) , c = 19.475(1) , V = 3018.7(8) ³, Z = 4로 결정화 되었다. 이 착물의 구조는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으며, 최종 신뢰도 R₁(wR₂)값은 2148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822 및 0.2236이었다. 화합물 1은 수소결합들로 연결된 삼차원의 그물 구조를 갖는다.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의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Soils-1981)

  • 박창규;마연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3
    • /
    • 1982
  • 전국의 논, 밭, 과수원 및 plastic film house 토양시료 236점을 1981년(年) 4월(月)부터 5월(月)사이에 채취(採取),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을 GLC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alpha}-BHC$, ${\gamma}-BHC$, PCNB, heptachlor, aldrin, heptachlor epoxide, ${\alpha}-endosulfan$, dieldrin, p,p'-DDD 및 p,p'-DDT 등의 잔류농약성분이 국내 농경지에서 검출되었다. 2) 과수원토양에 잔류성 유기염소계농약이 가장 많았고 논 및 밭토양의 잔류수준은 이에 비해 훨씬 낮았다. 3) 논 및 밭토양에 비해 과수원토양에는 aldrin, ${\alpha}-endosulfan$, dieldrin, p,p'-DDD 및 p,p'-DOT의 검출빈도(檢出頻度)와 잔류수준이 높았다. 4) ${\alpha}-BHC$${\gamma}-BHC$는 모든 공시토양(供試土壤)에서 검출되었으나 농경지별 차이가 없었고, 평균잔류량은 $0.008{\sim}0.014$ ppm였다 . 5) 과수원토양의 높은 p,p'-DDT의 잔류량에 관해 토론(討論)하였고 현용(現用) 또는 사용(使用)이 금지(禁止)된 농약에 대한 잔류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PDF

폐암에서 진단수기의 조직학적 분류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Histologic Accuracy of Diagnostic Methods in Lung Cancer)

  • 이상민;고원중;윤호일;최승호;황보빈;박계영;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488-497
    • /
    • 1999
  • 연구배경 : 폐암은 병리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치료방법과 예후가 달라 조직학적 분류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 동안 객담 세포진법, 경피적 침흡인술 및 침생검,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 등을 이용하여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가 이루어져 왔고 이에 각 진단수기별로 수술 후 조직학적 분류와 수술 전의 조직학적 분류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분석 가능한 16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객담 세포진법, 경피적 침흡인술 및 침생검, 기관지 세척물의 세포진법, 굴곡성 기관지경 조직생검의 5가지 진단수기별로 분석하였고 수술 후 떼어낸 조직의 병리소견과 비교하여, 우연에 의해서도 올 수 있는 일치정도를 배제하여 산출한 일치율의 지표인 k값으로 조직학적 일치율을 평가하였다. 결 과 : 객담 세포진법의 k값은 0.86이었고 편평세포암 34예 중 32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선암은 8예 중 7예에서 일치하였다. 경피적 침흡인술의 k값은 0.53이었고 편평세포압 31예 중 14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소세포암은 3예 중 3예 모두에서 일치하였다. 경피적 침생검의k값은 0.77이었고 편평세포암 16예 중 13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선암은 32예 중 30예에서 일치하였다. 기관지 세척물 세포진법의 k값은 1.0이었고 편평세포암 29예 중 29예에서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선암은 7예 중 7예에서 일치하였다. 굴곡성 기관지경 조작생검의 k값은 0.77이었고 편평세포암 52예 중 51예에서 수술 후 병리학적 분류와 일치하였고 소세포암은 2예 중 1예에서 일치하였다. 결 론 : 객담세포진법, 경피적 침생검, 기관지 세척물의 세포진법, 굴곡성 기관지경 조직생검은 k값 0.75 이상으로 아주 높은 일치율을 보여주었으나 경피적 침흡인술은 이에 비해 낮은 0.5 내외로 경피적 침흡인술 시행시 경피적 침생검을 병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Fitness of Dicarboximide-Resistant and Sensitive Monilinia fructicola Isolated from Peach in Korea

  • Lim, Tae-Heon;Yi, Jae-Choon;Chang, Tae-Hyun;Byeongjin Ch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05-209
    • /
    • 2001
  • Dicarboximide-resistant isolates of Monilinia fructicola grew readily on media amended with dicarbosimide fungicides, and showed cross-resistance to pentachlo-ronitrobenzene (PCNB). The fitness of resistant isolates was inferior to that of sensitive isolates. Mycelial growth on fungicide-free mediu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icarboximide-resistant and sensitive isolates. The originally high $\textrm{EC}_{50}$ values of the resistant isolate decreased after storage for 16 weeks at $4^{\circ}$. After inoculation with the mixture of spore suspensions of resistant and sensitive isolates, the re-isolation rate of the resistant spores was significantly reduced regardless of the mixing ratio. From th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mpetitive ability of the resistant isolates is inferior to the sensitive ones.

  • PDF

토양(土壤) , 수(水) , 농작물중(農作物中)에 있어서 잔류농약분석(殘溜農藥分析)을 위한 수증기(水蒸氣) 증류법(蒸溜法)의 응용(應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team Distillation for the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 Water and Crops)

  • 양환승;문영희;장익선;최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6
    • /
    • 1989
  • 토양(土壤), 수(水), 농작물(農作物)중 잔류(殘留)하는 각종(各種) 농약(農藥)의 분석(分析)을 위한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의 응용성(應用性) 및 정밀도(精密度)등에 대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하였다. 수증기증류(水蒸氣蒸溜)에 의하여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던 농약(農藥)은 PCNB, ${\alpha}-BHC$, ${\beta}-endosulfan$, IBP, diazinon, fenitrothion, fenthion, alachlor, butachlor, pretilachlor, metolachlor, pendimethalin, benthiocarb, molinate등이었으며 simazine, atrazine, nitrofen등은 불가능(不可能)하였다. 농약(農藥)의 증류(蒸溜)까지 요(要)하는 유출액양(溜出液量)은 농약(農藥)의 종류(種類)에 따라 크게 달랐으며, 일정량(一定量)의 유출액(溜出液)을 취(取)한 후 냉각관(冷却管)을 acetone으로 씻어 줌으로써 증류시간(蒸溜時間)을 단축(短縮)시킬 수 있었다.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은 소량(小量)의 유기용매(有機溶媒)로 농약(農藥)의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으며, 분석대상물질(分析對象物質)에 따라서는 기기분석시(機器分析時) 방해물질(妨害物質)이 검정(檢定)되기는 했지만 많은 경우 농축(濃縮)과 정제과정(精製過程)을 생략(省略)할 수도 있어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이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