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 Project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3초

An Audio-Visual Teaching Aid (AVTA) with Scrolling Display and Speech to Text over the Internet

  • Davood Khalili;Chung, Wan-You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
    • /
    • pp.2649-2652
    • /
    • 2003
  • In this Paper, an Audio-Visual Teaching aid (AVTA) for use in a classroom and with Internet is presented. A system, which was designed and tested, consists of a wireless Microphone system, Text to Speech conversion Software, Noise filtering circuit and a Computer. An IBM compatible PC with sound card and Network Interface card and a Web browser and a voice and text messenger service were used to provide slightly delayed text and also voice over the internet for remote teaming, while providing scrolling text from a real time lecture in a classroom. The motivation for design of this system, was to aid Korean students who may have difficulty in listening comprehension while have, fairly good reading ability of text. This application of this system is twofold. On one hand it will help the students in a class to view and listen to a lecture, and on the other hand, it will serve as a vehicle for remote access (audio and text) for a classroom lecture. The project provides a simple and low cost solution to remote learning and also allows a student to have access to classroom in emergency situations when the student, can not attend a class. In addition, such system allows the student in capturing a teacher's lecture in audio and text form, without the need to be present in class or having to take many notes. This system will therefore help students in many ways.

  • PDF

A Precise Heave Determination System Using Time-Differenced GNSS Carrier Phase Measurements

  • Cho, MinGyou;Kang, In-Suk;Park, Chansik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6권4호
    • /
    • pp.149-157
    • /
    • 2017
  • In this study, a system that precisely determines the heave of ship hull was designed using time-differenced GNSS carrier phase measurement, and the performance was examined. First, a technique that calculates precise position relative to the original position based on TDCP measurement for point positioning using only one receiver was implemented. Second, to eliminate the long-cycle drift error occurring due to the measurement error that has not been completely removed by time-differencing, an easily implementable high-pass filter was designed, and the optimum coefficient was determined through an experiment. In a static experiment based on the precise heave measurement system implemented using low-cost commercial GNSS receiver and PC, the heave could be measured with a precision of 2 cm standard deviation. In addition, in a dynamic experiment where it moved up and down with an amplitude of 48 cm and a cycle of 20 seconds, precise heave without drift error could be determined.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easily used for many applications, such as the altitude correction of fish detection radar.

ANALYSIS OF UNCERTAINTY QUANTIFICATION METHOD BY COMPARING MONTE-CARLO METHOD AND WILKS' FORMULA

  • Lee, Seung Wook;Chung, Bub Dong;Bang, Young-Seok;Bae, Sung W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481-488
    • /
    • 2014
  • An analysis of the uncertainty quantification related to LBLOCA using the Monte-Carlo calculation has been performed and compared with the tolerance level determined by the Wilks' formula. The uncertainty range and distribution of each input parameter associated with the LOCA phenomena were determined based on previous PIRT results and documentation during the BEMUSE project. Calulations were conducted on 3,500 cases within a 2-week CPU time on a 14-PC cluster system. The Monte-Carlo exercise shows that the 95% upper limit PCT value can be obtained well, with a 95% confidence level using the Wilks' formula, although we have to endure a 5% risk of PCT under-predic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statistical fluctuation of the limit value using Wilks' first-order is as large as the uncertainty value itself. It is therefore desirable to increase the order of the Wilks' formula to be higher than the second-order to estimate the reliable safety margin of the design features. It is also shown that, with its ever increasing computational capability, the Monte-Carlo method is accessible for a nuclear power plant safety analysis within a realistic time frame.

Automatic real-time system of the global 3-D MHD model: Description and initial tests

  • Park, Geun-Seok;Choi, Seong-Hwan;Cho, Il-Hyun;Baek, Ji-Hye;Park, Kyung-Sun;Cho, Kyung-Suk;Choe, Gwang-Son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26.2-26.2
    • /
    • 2009
  • The Solar and Space Weather Research Group (SOS) in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is constructing the 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since 2007. As a part of the project, we are developing automatic real-time system of the global 3-D magnetohydrodynamics (MHD) simulation. The MHD simulation model of earth's magnetosphere is designed as modified leap-frog scheme by T. Ogino, and it was parallelized by using message passing interface (MPI). Our work focuses on the automatic processing about simulation of 3-D MHD model and visualization of the simulation results. We used PC cluster to compute, and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 file format to visualize the MHD simulation. The system can show the variation of earth's magnetosphere by the solar wind in quasi real time. For data assimilation we used four parameters from ACE data; density, pressure, velocity of solar wind, and z component of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IMF). In this paper, we performed some initial tests and made a animation. The automatic real-time system will be valuable tool to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olar-terrestrial environment for space weather research.

  • PDF

임상실습경험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Autonomy, and Career Search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 이유진;김윤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4-48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autonomy, and career search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197 nursing students in S city from December 1 to 23, 2016. These were then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P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uggest that major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 autonomy; likewise, major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career search behavior.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search behavior were grades and major satisfac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earning method considering interest and aptitud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and to apply the various programs to understand the self and the work environment so as to determine how desirable the course will be.

GSIS를 이용한 효율적 도로선형 정보의 구축 - 평면 및 종단선형을 중심으로 - (Building of Efficient Route Alignment Information using GSIS -Focused on plan and vertical alignment-)

  • 강상구;정영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0
  • 일반적으로 도로종합관리 체계를 위해 이용되는 도면은 스캐너로 받아들인 도면으로 이는 도면보존 상태라든가 스캐너의 해상도에 따라 원 도면의 선명도가 결정되고 도면에 따른 데이터가 따로 첨부되어 관리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설계전용 프로그램인 RP(Road Project 2.1)를 이용해 지방도 일부 구간의 도로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을 설계하고 완성된 도면자료는 *.dxf형태로, 그에 대한 속성자료는 *.dbf형태로 직접 저장하여 PC ArcView프로그램과 Excel을 이용해 도면과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실시간 도로선형정보 체계를 구축하였고, 유사한 도로설계시 도면과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쉽게 검색 할 수 있어 예비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era-scale cluster 개발을 위한 실험 (Experiments to build tera-scale cluster)

  • 홍정우;박형우;이상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313-316
    • /
    • 2001
  • At the end of 1999, the TeraCluster project in the KISTI Supercomputing Center was initia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C clusters as a scientific computing platform to replace the Cray T3E system in KISTI by the year 2002. In order to understand whether an application is scalable to tera-flops sized cluster system, running test is inevitable. Extensive performance tests using well-known benchmarking codes with real applications' characteristics in them were carried out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CPUs, system boards, network devices. The lessen learned shows the relationships between system performances and varied applications' different needs resulting in promises of How-Tos in building large scale cluster system. The 64/16 node clusters with Alpha EV6(466MHz), Pentium III(667 MHz) i inter-node network of Fast Ethernet. SCI[1] and Myrinet[2] were evaluated. More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Linux clusters are described in Table 1.

  • PDF

기성콘크리트 부재의 현장생산 리스크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ment of Risk Evaluation Checklist for In-Situ Production of Precast Concrete Members)

  • 임지영;정희웅;김대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45-457
    • /
    • 2021
  • 기성콘크리트 부재를 현장 생산하는 경우 공장생산보다 약 14.5-39.4%의 원가가 절감되는 것으로 이전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PC공장 관계자의 인터뷰를 통해, 실제 공장주는 생산원가의 20% 이상의 이윤을 얻지 못하면 공장관리 간접비를 cover하지 못해 계약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등한 조건에서 기성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서 생산한다면 공장생산 대비 동등 이상의 품질이 확보된다. 이 연구들에 따르면 원가와 품질 측면에 유리하므로 기성콘크리트 부재는 현장에서 생산하여야 한다. 그러나 주어진 공기뿐 아니라 현장생산을 위한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모든 물량을 현장생산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현장생산은 프로젝트 관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로 인하여 기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성콘크리트 부재의 현장생산 수행 전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응한다면 현장생산 기회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성콘크리트 부재의 현장생산 리스크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한다. 체크리스트를 1개의 사례현장에 적용하여 리스크 요인을 쉽고 빠르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건폐율이 높은 현장의 경우 생산 및 야적을 위한 가용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워 리스크가 큰 현장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발된 리스크 평가 체크리스트는 현장생산의 리스크요인을 효율적으로 평가하며, 프로젝트 수행 시 수시로 변경되는 리스크요인을 쉽고 빠르게 판단하여 상황에 따라 대처가 가능하다.

인간 hnRNP A1 단백질에 포함된 RGG 상자의 기능 분석 (Analysis of the Role of RGG box of human hnRNP A1 protein)

  • 최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75-580
    • /
    • 2017
  • 본 연구는 hnRNP A1 단백질에 포함되어 있는 RGG 상자가 이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에 미치는 영향 및 이 단백질의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2014년 10월부터 약 3년 동안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RGG상자 내의 6개의 아르기닌을 라이신으로 돌연변이를 만든 다음 pcDNA1-HA-hnRNP A1(6R/K)를 재조합하였다. 다음, 이 플라스미드 DNA를 HeLa 세포에 형질주입하여 HA-hnRNP A1(6R/K)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형광현미경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hnRNP A1(6R/K) 단백질은 (wt 단백질처럼 핵에 위치하지 못하고) 핵과 세포질 모두에 퍼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hnRNP A1(6R/K)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pcDNA1-HA-hnRNP A1(6R/K)를 HeLa 세포에 형질 주입시킨 다음 발현된 단백질을 웨스턴 블랏 실험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HA-hnRNP A1(6R/K)는 (잘려서) 크기가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로부터 HA-hnRNP A1(6R/K)가 핵과 세포질 모두에 퍼져 있는 것은 6R/K 돌연변이가 hnRNP A1의 핵 위치 능력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 아니라 6R/K 돌연변이가 일어난 부위 또는 그 부근이 절단되어 hnRNP A1의 핵 위치 신호(nuclear localization singal)인 M9 도메인이 들어있는 C-말단 부위를 잃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hnRNP A1에 있는 RGG 상자의 아르기닌이 hnRNP A1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세균에서 발현시켜서 정제된 hnRNP A1(6R/K)의 RNA-결합 능력에 대한 영향 분석은 추후 과제로 남겨둔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치료계획에서 선량분포 계산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se Distribution Programs in Gamma Knife Stereotactic Radiosurgery)

  • 고영은;이동준;권수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3호
    • /
    • pp.175-184
    • /
    • 1998
  • 감마나이프를 이용하는 정위적 방사선 수술 치료계획 프로그램 중에서 선량계산 프로그램을 PC에서 작성하고, 작성한 프로그램 GP1(Gamma Project 1) 을 상용화된 치료계획 프로그램인 KULA와 비교하여 선량분포 50% 지점에서 등선량분포의 차이와 편차를 계산함으로써 GPI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radiochromic 필름에 감마나이프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선량분포를 계산하고, 이를 KULA, GPI에 의한 선량분포와 비교하여 GPI을 검증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작성은 프로그램 제작 언어인 IDL(Interactive Data Language)을 사용하였으며, 선량계산 알고리듬은 상용 치료계획 프로그램인 KULA의 알고리듬을 사용하였다. GP1을 평가하기 위해 반경이 80 mm인 구형 팬톰 중심에서 각 콜리메이터마다 세 방향 (축상면, 시상면, 관상면)에서의 선량분포를 계산하고, 이를 KULA에 의한 선량분포와 비교하였다. 또한 팬톰내 임의의 한 지점에서 GPl과 KULA에 의한 선량분포를 비교하여 두 프로그램간의 선량분포 차이를 계산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팬톰 내부에 radiochromic 필름올 장치하여 방사선을 조사한 후 필름의 선량분포를 상용화된 프로그램 KULA와 본 연구에서 작성한 프로그램 GP1에 의한 선량분포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팬톰 중심에서 GPl과 KULA에 의한 선량분포는 50% 선량분포에서 $\pm$3% 이내의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임의의 지점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콜리메이터 크기가 작고 선량분포의 값이 작을수록 두 프로그램의 차이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GPl 검증을 위한 필름에서의 선량분포 또한 두 프로그램에서의 선량분포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치료계획시 GPl에 의한 선량분포의 사용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