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 Camera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4초

웹 카메라의 특성 분석 및 고해상도 행성촬영 (SPECIFIC ANALYSIS OF WEB CAMERA AND HIGH RESOLUTION PLANETARY IMAGING)

  • 박영식;이동주;진호;한원용;박장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453-464
    • /
    • 2006
  • 일반적으로 웹 카메라는 PC간 화상통신을 위해 많이 쓰이고 있으나, 화소수도 적고 장시간 노출촬영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천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장시간 노출이 필요 없는 달이나 행성 등을 촬영하기에는 부족함이 없기 때문에 아마추어 관측자들이 행성 촬영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웹 카메라 중에 CCD를 사용한 Philips사의 ToUcam Pro II를 사용하여 행성촬영을 하였고, 촬영한 동영상은 상용 프로그램인 Registax를 이용하여 합성을 하였다. 또한 웹 카메라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CCD의 특성 분석에 활용하는 직선성, 이득 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행성 촬영할 때 기존에는 필름이나 디지털 카메라, CCD로 한 장씩 찍었지만, 웹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동영상으로 촬영하여서 중은 이미지만을 골라서 합성하기 때문에, 훨씬 더 고해상도의 행성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행성관측 방법과 동영상 합성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Controller for Single Line Tracking Autonomous Guidance Vehicle Using Machine Vision

  • Shin, Beom-Soo;Choi, Young-Dae;Ying, Yibin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47-53
    • /
    • 2005
  • AMachine vision is a promising tool for the autonomous guidance of farm machinery. Conventional CCD camera for the machine vision needs a desktop PC to install a frame grabber, however, a web camera is ready to use when plugged in the USB port. A web camera with a notebook PC can replace existing camera system. Autonomous steering control system of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be used for combine harvester. If the web camera can recognize cut/uncut edge of crop, which will be the reference for steering control, then the position of the machine can be determined in terms of lateral offset and heading angle. In this research, a white line was used as a cut/uncut edge of crop for steering control. Image processing algorithm including capturing image in the web camera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desired travel path. An experimental vehicle was constructed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Since the vehicle adopted differential drive steering mechanism, it is steered by the difference of rotation speed between left and right wheel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vehicle, the steering algorithm was developed as well. Evaluation tes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vehicle could travel within an RMS error of 0.8cm along the desired path at the ground speed of $9\sim41cm/s$. Even when the vehicle started with initial offsets or tilted heading angle, it could move quickly to track the desired path after traveling $1.52\sim3.5m$. For turning section, i.e., the curved path with curvature of 3 m, the vehicle completed its turning securely.

  • PDF

실시간 해상교통정보 분석모듈 개발 (Development of Real Time Analysis Module for Marine Traffic Information)

  • 이근실;문성배;전승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4
    • /
    • 2004
  • 선박의 안전한 입출항을 도모하고 해양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항로표지는 연안수역에서의 해상교통류 조사를 통하여 설치 및 관리되어왔다. 지금까지 이러한 조사는 포터블 소형 레이더를 이용한 목시관측과 현장방문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한 후처리방식에 의해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경제적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영상을 PC카메라를 동하여 획득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하고, 아울러 관측대상 선박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서 관측선박의 항적 등의 정보가 DB화되어, 실시간으로 통과척수, 속력분포, 밀도분포 등의 해상교통류 분석 통을 처리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PDF

지능형 뱀 로봇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Intelligent Snake Robot)

  • 김성주;김종수;전홍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70-75
    • /
    • 2003
  • 기존 이동로봇의 활발한 연구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이동로봇이 등장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8축으로 구성된, 총 16 Degree Of Freedom을 가지는 다 관절 뱀 로봇을 제작하였다. 뱀 로봇은 지면과의 진행 마찰력을 고려하여 무동력 바퀴를 사용하였다. 또한 PC Cam과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각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Joint Angle을 나타내기 위하여 Target의 색상과 거리를 입력으로 하였다. 뱀 로봇은 머리부분, 몸통 그리고 꼬리부분으로 나뉘어 진행하는 방식을 가지며 PC Cam 을 통해 화면에 보여지는 움직이는 특정 목표물에 대하여 진행을 하며, 진행 중 움직이거나 고정되어있는 Obstacle이 포착될 경우 충돌회피를 통하여 Target을 추종하는 방식을 실험적으로 보이고자 한다.

QT/임베디드 기반의 화상 감시시스템 설계 몇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Image Monitoring System using Qt/Embedded)

  • 노방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36-240
    • /
    • 2004
  • PXA255 프로세서 기반의 내장형 보드에 QT/Embedded 2.3.7 버전을 포팅하여 원격지의 화상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클라이언트 단말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PXA255보드에서 이더넷 통신방법에 의해 원거리의 의 Host PC로 접속하여 PC에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PCI 인터페이스 카드를 설계하여 카메라의 Pan/Tilt 에 대한 모터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320×240크기의 컬러 비트맵 형식의 영상을 타깃보드의 TFT-LCD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으로 Pan/Tilt 에 대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면 호스트 PC의 모터가 회전함으로서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칼라화상 검사 자동화시스템 (Automatic testing system for a color image)

  • 구영모;이노성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2권49호
    • /
    • pp.135-142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automatic color image testing system capable of synthetically testing a color element like a color tone and a luminance for a color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a CCD camera and a microprocess. The system consists of a CCD camera, a line conveyor, a camera driving part, a remocon, a remote sensing part, a display and a PC including a color vision board and a CPU board. By applying the system to a process, reliability for a testing result can be improved and the absolute criterion to judge a part can be made.

  • PDF

Vision-based hybrid 6-DOF displacement estimation for precast concrete member assembly

  • Choi, Suyoung;Myeong, Wancheol;Jeong, Yonghun;Myung, Hyun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0권4호
    • /
    • pp.397-413
    • /
    • 2017
  • Precast concrete (PC) members are currently being employed for general construction or partial replacement to reduce construction period. As assembly work in PC construction requires connecting PC members accurately, measuring the 6-DOF (degree of freedom) relative displacement is essential. Multiple planar markers and camera-based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s can monitor the 6-DOF relative displacement of PC members.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direct linear transformation (DLT) for homography estimation, which are applied to calculate the 6-DOF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camera and marker, have several major problems. One of the problems is that when the marker is partially hidden, the DLT method cannot be applied to calculate the 6-DOF relative displacement. In addition, when the images of markers are blurred, error increases with the DLT method which is employed for its estim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a hybrid method,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the DLT and MCL (Monte Carlo localization) methods, is proposed. The method evaluates the 6-DOF relative displacement more accurately compared to when either the DLT or MCL is used alone. Each subsystem captures an image of a marker and extracts its subpixel coordinates, and then the data are transferred to a main system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main system, the data from each subsystem are used for 3D visualization. Thereafter, the real-time movements of the PC members are displayed on a tablet PC. To prove the feasibility, the hybri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DLT method and MCL in real experiments.

영상처리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Presentation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 이후성;양훈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155-158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indows-based presentation system using laser pointer mouse. Major-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is to synchronize the laser pointing position with the PC cursor such that the laser can function as not only pointer, but also a PC mouse. It is shown that we use a special pattern to coincide the coordinate of the camera capture image with that of the pc window. We finally show its feasibility by some experiments with the implemented system.

  • PDF

An Improved Fast Camera Calibra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s

  • Guan, Fang-li;Xu, Ai-jun;Jiang, Guang-yu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5호
    • /
    • pp.1082-1095
    • /
    • 2019
  • Camera calibr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machine vision and close-range photogrammetry. Since current calibration methods fail to obtain ideal internal and external camera parameters with limited computing resources on mobile terminals efficiently,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fast camera calibration method for mobile terminals. Based on traditional camera calibration method, the new method introduces two-order radial distortion and tangential distortion models to establish the camera model with nonlinear distortion items. Meanwhile, the nonlinear least square L-M algorithm is used to optimize parameters iteration, the new method can quickly obtain high-precise internal and external camera parameter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new method improves the efficiency and precision of camera calibration. Terminals simulation experiment on PC indicates that the time consuming of parameter iteration reduced from 0.220 seconds to 0.063 seconds (0.234 seconds on mobile terminals) and the average reprojection error reduced from 0.25 pixel to 0.15 pixel. Therefore, the new method is an ideal mobile terminals camera calibration method which can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3D reconstruction and close-range photogrammetry technology on mobile terminals.

Line Histogram Intensity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 (The Obstacle Avoidance Algorithm of Mobile Robot using Line Histogram Intensity)

  • 류한성;최중경;구본민;박무열;방만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365-137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율 이동로봇이 장애물을 회피하며 목표하는 지점까지의 경로를 구성하여 찾아가는 알고 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스템의 구성은 로봇에 탑재된 CCD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신호를 RF 무선 모듈을 이용하여 PC로 보내고 PC에서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장애물로 인식되는 지역을 회피하도록 제어 신호를 이동로봇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동로봇에 탑재된 CCD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는 매 샘플링 시간마다 캡쳐하여 PC로 전송하고 호스트는 화면에서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한 후 좌 혹은 우로 회전하여 장애물을 피해 나가도록 하며 로봇이 이동한 거리를 PC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초기에 지정한 목표지점까지 로봇이 갈 수 있도록 간략한 경로를 계획하여 추적해 나가도록 한다. 먼저 로봇으로부터 전송되어진 영상은 호스트PC에서 다음과 같은 영상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먼저 Original영상을 입력받아서 3X3 mask Sobel 연산자를 사용한다. 그리하면 윤곽선이 추출된다. 여기서 추출된 윤곽정보는 처리가 용이하도록 NOR Converter를 거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이 영상의 경계값을 찾는다. 처음에 획득한 영상은 깨끗한 환경에서 얻어진 것이 아니라 주변에 여러 가지 기구나 명암대비가 뚜렷하지 못한 조건들로 되어 있다. 어떤 장애물이라도 가까이서 획득한 영상으로 보게 되면 색상이 단일한 색상으로 나타난다. 즉, 멀리 있는 영상정보나 장애물이 없는 영상 정보 쪽에 히스토그램이 넓게 분포되기 마련이다. 이런 이유로 마지막에 Convert를 처리한 영상의 경계치를 229로 둔다. 그러면 거의 흰색에 가까우면서도 약간의 그레이 레벨만 가진다 하더라도 흑백 대비를 뚜렷하게 만들어 준다. 즉, 불순 성분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경계값을 높이는 것이다. 다음으로 처리된 영상의 좌표를 (0, 0)에서 (0, 197)까지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스캔한다. 그러면 장애물이 있는 부분의 히스토그램의 분포는 거의 변동이 없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장애물이 있는 곳을 찾아내고 이것을 회피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