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LI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PBLIS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탈측량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및 활용 (The accuracy analysis and The practical use of the Total Surveying System with PBLIS data)

  • 김감래;라용화;박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31-534
    • /
    • 2003
  • 본 연구는 지적도면전산화사업으로 수치화된 데이터를 PBLIS에 이용하여 지적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를 토탈측량시스템(Pen컴퓨터)에 활용함으로서 도해지적에서 발생되는 제도오차, 축척오차 및 지적도면의 신축오차 등의 기술적인 오차와 측량을 할 때마다 측량사에 따른 개인오차를 제거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인접 필지의 반복적인 실형 측량을 배제함으로서 현장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하게 될 것이다.

  • PDF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지적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Data of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 주정준;김성삼;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31
    • /
    • 2004
  • 지적측량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등록된 경계를 지표에 복원할 목적으로 각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으로 크게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되며, 세부측량은 다시 도해지적측량과 수치지적측량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사업으로 구축된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자료에 의한 도해적인 평판측량과 경계점좌표에 의한 수치지적측량을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평판에 의한 도해지적측량 위치오차가 0.766m,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치지적측량 위치오차는 0.638m로 관측되어 도해지적측량에 의한 성과보다 수치지적측량에 의한 성과가 더 정확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적경계측량을 할 경우 PBLIS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PBLIS 데이터를 이용한 토탈측량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A Study on Accuracy of the Total Surveying System with PBLIS Data)

  • 김감래;라용화;박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9-214
    • /
    • 2003
  • 지적 분야는 지적도면전산화사업의 일환으로 수치화된 도형정보와 대장정보를 PBLIS에 탑재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서 현행 측판측량체계를 전자측판측량체계로 전환함으로서 도해지적에서 발생되는 제도오차, 축척오차 및 지적도면의 신축오차 등의 기술적인 오차와 측량을 할 때마다 측량사에 따른 개인오차가 제거됨은 물론 실측도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측량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토지종합정보망시스템의 고도화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 오종우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9-3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timal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In order to produce a new LMIS model the existing model of Tulloch(1996) was evaluated. Analysis of the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LMIS) is focused on the period of 1998 and 200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involv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to the e-government. Second, the KLIS(Korea Land Information Systems) is required technological and legal infrastructure for the service using optimize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as combining LMIS and PBLIS(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s). Third, the spatial data of the LMIS can be promoted by ensuring reliable IT environments. Forth, optimized LMIS should be revised to reflect the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LIS and GIS boundaries and between LMIS, urban infrastructure, and related information sectors. Fifth, In terms of services LMIS is required focusing end users rather than supplier focused strategy.

  • PDF

Autodesk Map 5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접합에 대한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n continuance cadastral map matching with Autodesk Map 5)

  • 김감래;라용화;박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54
    • /
    • 2003
  • As of date, the cadastral information which is the utility to be computerized have not been identical with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relational groups each other and updated real-time, therefore the relation group or the academic circles carried out in many researches on a cadastral map matching, but the cadastral maps have not been even occurre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so that the theory arrangement doesn't seem simple as to a cadastral map matching. As being take such reality into consideration, We have to be based on $\boxDr$construction ministry of the rules for continuous map$\boxUl$ for a continuous cadastral map with using PBLIS data; so the operators use Autodesk Map 5 which added applications and match the neat line by the identical scale, the different scale, the district boundary and the origin according to the judgement myself We have the purpose to minimize the problem as analyzing the accuracy between the parcel coordinates If the matched map and ones of moved map.

  • PDF

정사영상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편집의 신뢰성 향상 방안 (Confidence Improvement of Serial Cadastral Map Edit Using Ortho Image)

  • 김감래;라용화;안병구;박세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3-259
    • /
    • 2004
  •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의 원활한 운영과 토지정보의 활용을 도모함은 물론 지적측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곽 단위가 아닌 연속도면으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행정자치부에서는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적도면전산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설교통부 추진 $\ulcorner$연속지적(임야)도면 작성 작업규정$\lrcorner$에 따라 연속지적도를 편집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측량을 수반할 경우 많은 예산과 기간이 소요되므로 컴퓨터상에서 작업수행자와 검수담당자의 판단에 따라 지적도면을 접합할 때 도곽 부근의 필지경계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면 전산 데이터를 보정하여 AutoDesk Map으로 편집한 연속지적도와 항공사진으로부터 생성된 정사영상을 중첩, 도곽선에 걸쳐진 필지경계선을 조정함으로써 필계점 좌표, 면적 및 평균제곱근오차를 산출하였다. 본 실험에서 구한 평균제곱근오차를 비교ㆍ분석하여 필지경계선의 불일치를 최소화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하고자 한다.

정사투영 영상지도에 의한 수치지형도와 지적정보의 중첩정확도 분석 (Analysis of Overlay Accuracy in Digital Topographic Map and Cadastral Information Using Ortho Image map)

  • 강준묵;최종현;강영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7-68
    • /
    • 1999
  • 지형정보의 활용을 위한 기본도 구축은 효율적인 GIS 작업의 성공여부를 좌우할 만큼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실용적인 기본도 제작을 위해서는 국가지리정보체계와 필지중심토지정보체계를 일원화할 수 있는 지형 및 지적정보의 연계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1:5,000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정사투영 영상지도를 제작하고 map revision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기본도를 제작하고 지형 및 지적정보의 중첩정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상지도와 지적정보를 중첩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제공은 물론 정확한 토지현황 파악과 환경 및 도시계획분야에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지적도면 전산화를 위한 스캐너 검사 및 벡터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canner Test and Vectorizing Programs for Digitization of Cadastral Maps)

  • 정동훈;정재준;신상희;김병국;김용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15-125
    • /
    • 1999
  •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의 기본도로 사용될 지적도를 전산화하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72만 매에 달하는 지적도를 현재의 디지타이징 방식으로는 전산화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스캔방식의 지적도 전산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 가장 중요한 스캐너 검사, 벡터라이징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하여 논하였다. 실수요자인 대한지적공사의 요구사양을 분석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알고리즘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캐너 검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양한 스캐너를 쉽게 검사할 수 있으며 요구정확도를 만족한다면 저가의 스캐너도 지적도 전산화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벡터라이징 프로그램은 신속성과 정확성, 사용성의 향상에 목표를 두어 지적도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으므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토지정보화 방법론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Land Informatization Methodology)

  • 진희채;김은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55-168
    • /
    • 2016
  • 토지정보화 방법론은 정보시스템 개발 방법론의 과정을 따르면서 토지정보의 구축 및 관리, 활용에 특화된 토지정보화와 관련된 시스템의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정보시스템의 구축 방법론의 이해와 토지정보화에 대한 특수한 상황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정보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토지정보시스템들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고, 기초 방법론으로는 EA기반의 참조모형 및 컴포넌트 기반의 방법론을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토지정보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나 이슈사항, 단계별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 등을 제시하여 방법론 세부항목으로 구성함으로서 토지정보화 방법론의 특수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