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A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4초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초기 결합력과 타액오염 제거의 상관관계 (Effect of Saliva Contamination Stage and Different Decontamination Procedures on Bonding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 고한호;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8-164
    • /
    • 2019
  • 이 연구는 타액오염이 발생한 시기와 타액오염 제거 방법이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군당 10개씩 총 60개의 발거된 영구치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켜 아크릴 레진에 매몰하였다. I군은 대조군으로 폴리아크릴산(PAA)으로 산처리만 시행하였다. II, III군은 PAA 산처리 전 타액오염을 시켰고 IV, V, VI군은 PAA 산처리 후 타액오염을 시켰다. 타액오염 후 II군과 IV군은 건조하였고 III군과 V군은 수세 후 건조하였으며 VI군은 추가적으로 PAA 산처리하였다. 그 후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를 충전하였다. 전단결합강도는 만능 재료 시험기로 측정하였고 파절 양상은 주사전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조군인 I군이 유의하게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p = 0.001). 타액오염을 시행한 군들 중에서는 VI군이 유의하게 높은 전단강도를 보였다(p = 0.001). 파절양상은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729). 타액오염은 발생한 시기와 상관없이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유의하게 저하시켰다(p = 0.001). 수세와 건조만으로는 전단결합강도를 회복하지 못했다. PAA 산처리 후 타액오염이 발생한 경우 추가적인 PAA 산처리가 전단결합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p = 0.001).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의 농도 변화에 대한 단분자 LB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angmuir-Blodgett Monolayer Film for the Changes of Concentration with Polyamic Acid and Sphingomyelin Mixture)

  • 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54-760
    • /
    • 2013
  •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인지질(sphingomyelin, SP)과 polyamic acid(PAA) 혼합물의 농도(몰비 1:1, 2:1 및 3:1)를 변화시켜 혼합단분자 LB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P과 PAA 혼합물의 단분자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KClO_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각 50~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SP와 PAA 혼합물의 LB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터 환원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혼합물 LB막의 혼합(SP:PAA) 몰비가 1:1, 2:1 및 3:1에서 확산계수(D)는 각각 $2.670{\times}10^{-5}$, $3.562{\times}10^{-5}$$1.005{\times}10^{-5}cm^2s^{-1}$을 얻었다.

Polyamic Acid막의 Imide화가 산소, 질소투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idisation for Poly(Amic Acid) Films on Gas Transport)

  • 김남일;홍치선;조한석;남세종
    • 멤브레인
    • /
    • 제3권2호
    • /
    • pp.60-69
    • /
    • 1993
  • BTDA-BAPP, DSDA-BAPP, BTDA-4,4'ODA의 폴리아믹산(PAA)으로 막을 주조하고 부분이미드화하여 산소와 질소의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열이미드화로 이미드화가 증가할수록 투과속도는 초기에 증가하여 최고점을 나타내고 감소하였다. 가열이미드화할 때 ?에는 PAA 수소결합의 소실로 기체투과가 증가하나 이미드화가 증가하면 치밀화로 인하여 기체투과 감소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BTDA-BAPP, DSDA-BAPP, BTDA-4,4'-ODA는 각각 이미드화율 37%, 47%, 55%일때 최고투과계수 8.3, 0.3, 0.8 barrer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투과선택도는 이미드화와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였다.

  • PDF

Influence of ozone and paracetic acid disinfection on adhesion of resilient liners to acrylic resin

  • Ekren, Orhun;Ozkomur, Ahme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4호
    • /
    • pp.290-295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aracetic acid (PAA) and ozone disinfection on the tensile bond strength (TBS) of silicone-based resilient liners to acrylic resin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 dumbbell shaped heat-polymerized acrylic resins were prepared. From the mid segment of the specimens, 3 mm of acrylic were grinded off and separated parts were reattached by resilient liners.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2 control (control1, control7) and 4 test groups of PAA and ozone disinfection (PAA1, PAA7, ozone1 and ozone7; n=10). While control groups were immersed in distilled water for 10 min (control1) and 7 days (control7), test groups were subjected to PAA (16 g/L) or ozone rich water (4 mg/L) for 1 cycle (10 min for PAA and 60 min for ozone) per day for 7 days prior to tensile tests. Measurements of the TBS were analyzed using 3-way ANOVA and Tukey's HSD test. RESULTS. Adhesive strength of Mollosil decreased significantly by application of ozone disinfection. PAA disinfection had no negative effect on the TBS values of Mollosil and Molloplast B to acrylic resin. Single application of ozone disinfection did not have any negative effect on TBS values of Molloplast B, but prolonged exposure to ozone decreased its adhesive strength. CONCLUSION. The adhesion of resilient liners to acrylic was not adversely affected by PAA disinfection. Immersion in ozonated water significantly decreased TBS of Mollosil. Prolonged exposure to ozone negatively affects adhesion of Molloplast B to denture base materials.

Poly(vinyl alcohol)/sulfo-succinic acid 이온교환막에 poly(acrylic acid)첨가에 따른 특성 연구 (The Effect of PAA on the Characterization of PVA/SSA ion Exchange Membranes)

  • 임지원;천세원;홍상혁;황호상;정성일
    • 멤브레인
    • /
    • 제13권2호
    • /
    • pp.118-124
    • /
    • 2003
  • 막소재는 투과증발 막공정에서 메탄을 저항체로 잘 알려진 Poly(vinyl alcohol, PVA)과 술폰기가 있는 가교제 sulfo-succinic acid(SSA)를 PVA에 대해 17 wt.%로 고정시켜 제조하였다. 이에 이온교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이온교환기가 포함된 poly(acrylic acid, PAA)를 첨가하여 함량변화에 따라 메탄올투과도 (methanol permeability) 특성과 이온전도도(ion conductivity)를 측정하였으며, 기본적인 이온교환막의 특성인 함수율 (water content), 이온교환용량 (ion exchange capacity, IEC) 등을 측정하였다. PAA함량에 따른 메탄을 투과도와 이온전도도 결과는 SSA만을 사용했을 때 보다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는데 이는 PAA의 함량 증가를 통하여 가교도의 증가로 인한 자유부피감소가 카르복실기인 양이온교환기 도입 영향보다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온전도도와 메탄올투과도의 결과로부터 'vehicle mechanism'이 본 실험에서 제조된 PVA/SSA/PAA막에서 더 우세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사료된다.

미세 다공성 중공사 PVA복합막을 이용한 에탄올 수용액의 투과증발분리 특성 (Pervaporation Separation Characteristics for Water-Ethanol Mixtures Using Porous Hollow Fiber PVA Composite Membranes)

  • 김지선;박헌휘;서창희;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3권5호
    • /
    • pp.360-366
    • /
    • 2013
  •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poly (acrylonitrile) (PAN) 중공사막에 친수성 고분자인 poly (vinyl alcohol) (PVA)과 가교제인 poly (acrylic acid) (PAA)을 코팅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투과특성평가를 위해 90 wt% 물-에탄올 혼합액에 대한 투과증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반응온도, PAA용액의 농도, 공급액의 온도변화에 따른 투과도 및 선택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반응온도, PAA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낮아지고 선택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공급액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투과도는 증가하고 선택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PVDF중공사 막은 투과도는 PAA 3 wt%, 반응온도 $60^{\circ}C$, 공급액 온도 $70^{\circ}C$에서 $502g/m^2hr$, 선택도는 PAA 11 wt%, 반응온도 $100^{\circ}C$, 공급액 온도 $50^{\circ}C$일 때, 218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Structure Formation in Multilayered Films Prepared by the Layer-by-Layer Deposition using PAA and HM-PEO

  • Seo, Jin-Hwa;Lutkenhaus Jodie L..;Kim, Jun-Oh;Hammond Paula T.;Char Kook-Heon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95-295
    • /
    • 2006
  • In present study, poly(acrylic acid) (PAA) and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ethylene oxide) (HM-PEO) multilayers based on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component polymer pair have been prepared by the LbL deposition method. Dip assembled HM-PEO/PAA multilayers yield unique film morphologies in comparison with PEO/PAA multilayers due to the micellar formation of HM-PEO owing to the hydrophobic attraction between alkyl chains end-capped with the PEO chains. Individual HM-PEO micelles were connected through the bridging PEO chains to form temporary networks on multilayer surface and induced peculiar surface morphology on HM-PEO/PAA multilayers above the critical number of bilayers.

  • PDF

Synthesis and Chiro-Optical Properties of Water Processable Conducting Poly(diphenylamine) Nanocomposites

  • Showkat, Ali Md;Lee, Kwang-Pill;Gopalan, Anantha Iyengar;Kim, Sang-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6호
    • /
    • pp.575-580
    • /
    • 2007
  • Water-soluble, chiral conducting, poly(diphenylamine) (PDPA) nanocomposites were synthesized by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of diphenylamine in the presence of poly(acrylic acid) (PAA) as a template and camphor sulphonic acid (CSA) as the chiral inductor, Composites were formed as stable aqueous dispersions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DPA to PAA molar ratios, PAA molecular weight, etc. Circular dichroism(CD) spectra of the composites indicated the induction of chirality to PDPA. Compared to simple chiral PANI, the PDPA/PAA/CSA nanocomposites showed a different Cotton effect. The appearance of a CD band in the composite was complimentary to the bisignate, exciton-coupled band in the UV-Visible spectrum. FTIR spectra indicated the intimate mixing of PDPA and PAA.

6FDA와 4APS, 3APS를 이용한 PAA의 합성 및 polyimide 경화공정 (Synthesis of PAA from 6FDA, 4APS and 3APS and Curing of Polyimide)

  • 이윤배;마동환;전준호;성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43-346
    • /
    • 2008
  • 2,2-BIs (3,4-anhydrodicarboxyphenyl)hexafluoropane(6FDA)와 4-aminophenyl sulfone(4APS), 3-aminophenyl sulfone(3APS)를 사용하여 Polyimide(PI)의 전구체인 Poly(amic acid)(PAA)를 합성하였다. 그 후 PAA의 용해도를 측정 하였다. 그리고 PAA에 열을 가하여 PI로 경화됨을 FT-IR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 PDF

In Vitro Anti-Oomycete Activity and In Vivo Control Efficacy of Phenylacetic Acid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Lee, Jung-Yeop;Kim, Hye-Sook;Kim, Ki-Deok;Hwang, By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177-183
    • /
    • 2004
  • Phenylacetic acid (PAA) was evaluated for in vitro anti-oomycete activity and in vivo control efficacy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high level of anti-oomycete activity of PAA (10 $\mu\textrm{g}$/ml) against P. capsici is mainly due to the lytic effect on zoospores. Zoospore lysis began in the presence of 5 u$\mu\textrm{g}$/ml of PAA and most of the zoospores were collapsed at 10 $\mu\textrm{g}$/ml. PAA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zoospore germination and hyphal growth of P. capsici at the concentration of 50 $\mu\textrm{g}$/ml. In the glasshouse, the protective effect of PAA against Phytophthora blight was high on pepper plants when treated just before inoculation with P. capsici. In the artificially infested field, protection of pepper plants against the Phyto-phthora epidemic was achieved at a considerable level by PAA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