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W

검색결과 5,093건 처리시간 0.034초

사일리지용 옥수수 수입적응성 인증 품종의 평창지역 생산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Productivity for Silage Corn (Zea mays L.) Variety Certified Import Adaptability in Pyeongchang Area)

  • 김종근;이우위;박형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67
    • /
    • 2017
  • 본 시험은 강원 평창지역에서 수입적응성 인증 품종간의 생산성 비교를 통하여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8개의 품종 중에서 생선성이 우수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8개의 품종(광평옥, 31N27, 32P75, 32W86, P3156, P3394, DK689 및 DK729) 을 대상으로 시험구는 8처리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옥수수 재배는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에 조성된 시험포장에서 2015년 5월 1일부터 9월 2일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구 크기는 $15m^2$으로 하였다. 초장은 32W86 품종이 가장 컷으며 광평옥의 착수고가 가장 높았다 (p<0.05). 출수 및 출사기는 7월 27-8월 3일 사이로 늦은 편이었으며 출수 1-3일후에 출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사소요일수는 평균 92일이었고 31N27이 가장 적었으며 (p<0.05), DeKalb 품종들이 많았다. GDD는 평균 $1,023^{\circ}C$이었으며 P3394 품종의 GDD가 가장 낮았다. 저항성 평가에서 질병은 P3394가 가장 낮았고 곤충은 P3156 품종에서 낮았다. 모든 품종에서 도복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DK 729 품종의 후기 녹체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전체 건물함량은 평균 30.77%로 높은 편이었으며 32W86품종의 건물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0.05). 암이삭 무게는 32W86품종이 가장 무거웠으며 광평옥이 가장 적었다. 암이삭 비율은 32W86 및 P3394 품종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품종에 따른 평균 생초수량은 59,017kg/ha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DK 689품종의 건물수량이 높아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TDN 수량 역시 DK 689 품종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수입적응성 인중 품종간의 생산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안정적인 재배를 위해서는 광평옥, 32W86 및 32P75품종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NOTES ON CARLESON TYPE MEASURES ON BOUNDED SYMMETRIC DOMAIN

  • Choi, Ki-Seo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5-74
    • /
    • 2007
  • Suppose that $\mu$ is a finite positive Borel measure on bounded symmetric domain $\Omega{\subset}\mathbb{C}^n\;and\;\nu$ is the Euclidean volume measure such that $\nu(\Omega)=1$. Suppose 1 < p < $\infty$ and r > 0.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the norms $sup\{\int_\Omega{\mid}k_z(w)\mid^2d\mu(w)\;:\;z\in\Omega\}$, $sup\{\int_\Omega{\mid}h(w)\mid^pd\mu(w)/\int_\Omega{\mid}h(w)^pd\nu(w)\;:\;h{\in}L_a^p(\Omega,d\nu),\;h\neq0\}$ and $$sup\{\frac{\mu(E(z,r))}{\nu(E(z,r))}\;:\;z\in\Omega\}$$ are are all equivalent. We will also show that the inclusion mapping $ip\;:\;L_a^p(\Omega,d\nu){\rightarrow}L^p(\Omega,d\mu)$ is compact if and only if lim $w\rightarrow\partial\Omega\frac{\mu(E(w,r))}{\nu(E(w,r))}=0$.

Fibrin 용해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um with a Fibrinolytic Activity)

  • 정용준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103-108
    • /
    • 1999
  • 혈전 용해효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장류 및 토양사료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그 중 fibrin 용해활성이 높고 기질특이성이 우수한 S7-l6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은 Gram 양성의 간균으로 운동성이 있고, catalase 양성이었으며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BClcilius sp. S7-16으로 명명하였다. $\alpha$cill$\mu$ sp S7-16의 효소생산 조건을 검토한 결과,0.5% (w/v) polypeptone, 0.5% (w/v) yeast extract, 0.3% (w/v) NaCI, 0.l%(w/v) $KH_2P0_4$, 0.3% (w/v) $KH_2P0_4$, 0.01% (w/v) $MgSO_4.7H_20$(pH7.0)의 배지조성하에서 $35^{\circ}C$애서 180 rpm으로 24시간 회전진탕배양하였을 때 fibrin 용해효소 생산이 최대를 보였으며, 이때 casein 용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Fibrin 용해효소의 효소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 조건하에서 얻어진 배양상동액에 20~60% ammomum sulfate 분획침전을 행하여 조효소액을 조제하였으며, 얻어진 조효소액은 pH4~11의 범위에서 안정하였으며, $50^{\circ}C$까지 비교적 활성이 유지되는 열안 정성을 보여주었다. 조효소액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7.5, $40^{\circ}C$부근에서 최적활성을 보였다.

  • PDF

Photobacterium phosphoreum을 고정화하기 위한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CMC] 담체의 이용성 연구 (Studies on the Use of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Matrix for the Immobilization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 이용제;정성제;허문석;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49-54
    • /
    • 2000
  • 1.0%(w/v)의 CMC 담체는 고정화를 유지할 수 있는 점도를 가지며 0.1 M 이하의 양이온과 이온가교결합을 할 수 있는 농도이다. Luminometer tube내의 시료에 유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산소의 공급을 일정하게 하여 P. phosphoreum을 고정화 30분 후 bioluminescence intensity가 안정되어 바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1.0%(w/v) CMC담체는 pH 6.92로 최적조건인 pH 7.0에 근접했으며, 발광기작에 필요한 산소전달(oxygen transfer)이 1.5%(w/v)~3.0%(w/v) CMC 담체보다 뛰어나 Bioluminescence intensity의 안정성을 부여하였다. Cr-화합물인 $Na_{2}CrO_{4}$, $K_{2}CrO_{4}$, $CrO_{3}$, CrK$(SO_4)_{2}$$CrCl_{3}$의 CMC담체에 대한 민감도는 $\gamma$값을 이용해서 $EC_{50}$값으로 나타내었을 때 $Na_{2}CrO_{4}$, $K_{2}CrO_{4}$, CrK$(SO_4)_{2}$$CrCl_{3}$$EC_{50}$값이 1.0%(w/v)CMC에서는 5.4~16.3 g/L으로 1.5%(w/v)~3.0%(w/v) CMC에서는 6.2~555.9 g/L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것은 1.0%(w/v) CMC가 낮은 독성 농도에서 bioluminescence intensity가 50%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상관계수($R^2$)가 0.911~0.990 으로 높게 산출되었다. 따라서 1.0%(w/v) CMC 담체가 P. phosphoreum의 biolumincsene에 안정성을 주었으며, 독성물질에 가장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i-P합금 첨가한 W-Cu접점의 전기접점특성과 미세조직 (Electrical contact property and microstructure of Ni-P alloy added W-Cu contact materials)

  • 김태형;배광욱;이재성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3권4호
    • /
    • pp.325-331
    • /
    • 1990
  • 본 연구는 텅스텐 소결에 저온 활성제로 작용하는 Ni-P 공정합금을 미량첨가하여 제조공정의 간단화를 통한 새로운 W-Cu계 전기접점제조를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회 용침공정을 통해 제조한 W(Ni-P)-Cu 합금에 대한 전기접점특성을 조사하여 접점의 미세구조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Ni-P 합금첨가한 접점은 기존의 순수 W-Cu 합금에 비해 낮은 접촉저항 및 낮은 아크소모를 나타내는 우수한 접점성능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Ni-P합금이 Cu용침이 개시되기전 짧은 승온단계에서 분말간의 강한 결합과 Cu용침에 유리한 기공통로를 갖는 W 분말 골격체의 형성을 유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온라인 게임에서의 새로운 과금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Charging Model in the Online Game)

  • 맹주홍;정민수;서재원;박윤조;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102-103
    • /
    • 2018
  • 최근 국내 게임 시장이 12조원을 육박하고 있는 시장 현황에서 게임 매출 부분에서 게임내 어떤 과금정책을 적용할 것인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시중에 출시된 게임 중에서는 P2W 모델이 접하기 쉬운 모델이긴 하지만 최근에는 B2P 모델을 많이 적용하고 있는 과금정책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 내 P2W의 과금 모델과 B2P의 과금 모델의 선호도를 조사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새롭게 명명한 T2H 모델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어떠한 과금 모델이 게임시장에서 더 유리하고 선호도가 높은 모델인지를 제시한다.

  • PDF

P(VDF/TrFE) 필름의 두께에 따른 인체 감지형 초전형 PIR 적외선 센서의 특성 (Effect of P(VDF/TrFE) Film Thickness on the Characteristics of Pyroelectric Passive Infrared Ray Sensor for Human Body Detection)

  • 권성열
    • 센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17
    • /
    • 2011
  • A thick 25 ${\mu}m$ thickness poled P(VDF/TrFE) film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has been fabricated and then thin 1.6 ${\mu}m$ thickness P(VDF/TrFE) film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has been fabricated also. These thick and thin P(VDF/TrFE) film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was mounted in TO-5 housing to detect infrared light of 5.5 ~ 14 ${\mu}m$ wavelength for human body detecting with each other. The noise output voltage of the thick P(VDF/TrFE) film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were 380 mV and NEP(noise equivalent power) is $3.95{\times}10^{-7}$ W which is the similar value with the commercial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using ceramic materials as a sensing material. The NEP and specific detectivity $D^*$ of the thin P(VDF/TrFE) film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were $2.13{\times}10^{-8}$ W and $9.37{\times}106$ cm/W under emission energy of 13 ${\mu}W/cm^2$ respectively. These result caused by lower thermal diffusion coefficient of a thin 1.6 ${\mu}m$ thickness PVDF/TrFE film than the thick 25 ${\mu}m$ thickness poled P(VDF/TrFE) film pyroelectric infrared ray sensor.

반응표면방법에 의한 Phellinus sp. 고체배양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Solid Culture of Phellinus sp.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강태수;강안석;손형락;강미선;임양이;이신영;정성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65-274
    • /
    • 1998
  • 목질진흙버섯(Phellinus sp.) 자실체의 인공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마련의 일환으로 자실체로부터 순수분리한 상황속의 한 균주를 이용하여 참나무 (Quercus aliena), 뽕나무(Morus alba) 및 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3종 톱밥기질에 따른 균사생육의 최적조건을 반응표면분석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3종의 독립변수(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와 그 최적값을 검토한 결과, 쌀겨첨가량은 3종의 톱밥배지 모두에서 약 30%(w/w) 첨가시에 가장 좋았으며, 수분함량은 $65{\sim}70%(w/v)$ 범위 에서 좋았다. 배지의 초기 pH는 참나무와 뽕나무에서는 $pH\;5{\sim}6$, 오리나무 톱밥배지의 경우는 pH 6에서 가장 좋았다. 균사의 생육온도는 모든 톱밥배지에서 $25{\sim}3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좋았으나, 톱밥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쌀겨첨가량$(X_1)$, 배지의 초기 $pH(X_2)$ 및 수분함량 $(X_3)$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고, 균사의 생육길이를 독립변수(Y)로 하여 반응 표면분석한 결과, 참나무 톱밥의 경우, 쌀겨첨가량 31.01%(w/w), 배지의 PH 5.31, 그리고 수분함량 69.03%(w/v)에서 얻어졌으며, 이때 기대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8.32cm이었다. 특히, 쌀겨 첨가량$(X_1)$과 수분함량$(X_3)$)의 회귀계수가 높아, 이 변수들이 균사생육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뽕나무 톱밥배지의 경우, 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의 정상점은 각각 28.77%(w/w), 5.28및 69.8%(w/v)로, 예측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7.60 cm이었다. 오리나무 톱밥 배지의 정상점은 쌀겨첨가량 28.74%(w/w), 배지의 pH 6.04및 수분함량 66.96%(w/v)으로, 이때, 예상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5.38cm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과 독립변수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았고, 쌀겨첨가량과 배지의 초기 pH가 수분함량보다 균사생육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을 위한 최적의 톱밥 수종은 참나무(Quercus aliena)>뽕나무(Morus alba)>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순이었다.

  • PDF

수용액상 니트로스아민의 UV 광분해에서 pH 영향 (Effect of pH on UV Photodegradation of N-Nitrosamines in Water)

  • 심재구;아킬아프잘;최보미;이정현;곽노상;임호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7-366
    • /
    • 2016
  • N-니트로스아민은 인체에 매우 위험한 발암성 화합물이다. 수용액상 N-니트로스아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자외선 조사가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처리와 연관성이 높은 N-니트로스아민(즉, N-nitrosodibutylamine (NDBA)과 N-nitrosopyrrolidine (NPYR))의 UV 광분해에서 pH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NDBA과 NPYR의 광분해 속도상수는 pH2-10 사이에서 각각 3.26×10-2 L/W-min에서 5.08×10-3 L/W-min와 1.14×10-2 L/W-min에서 2.80×10-3 L/W-min로 나타났다. 한편 산화 생성물인 NO2-와 NO3- 이온의 생성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약산성에서 중성의 조건에서는 NO3-에 비해 NO2-이 주로 생성되었고, 강한 산성에서는 NO3-이 더 많이 생성되었다. 총유기 탄소(TOC)와 총질소(TN)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이것으로부터 N-니트로스아민과 생성물이 광분해 시스템에서 거의 손실이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BDBA가 NPYR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광분해되었다. 또한 수용액상 N-니트로스아민을 UV 광분해로 제거할 때 pH가 낮을수록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성퇴적층지반 조사결과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Acumulted Sit Foundation)

  • 김주범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11-3616
    • /
    • 1974
  • Alluvial plain of the coast of Kum river tail were found as being mostly consisted of weak foundation.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density and change of moisture content which were formed by the load due the construction of earth works were disclossed by the field investigations and laboratory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 1) Banking materials are SM and soft soil stratum is CL. 2) Field moisture content; Wf=19-1.37c c; percentage of clay (less than 0.005mm) 3) optimum water content and maximum density of banking materials; rt=2.15$\mid$0.0165W(12%24%) 4) Density and moisture coutent of banking materials; rt=2.146-0.0095W (8%50%) 5) Density and moisture content of weak foundation; rt=2.06-0. 007W After construction (20%50%) Befor construction (40%60%) 6) Load and settlement of weak foundation; Everage settlement ratio; 12% of actual load p Maximum settlement ratio; 19% of actual load p Minimum settlement ratio: 5% of actual load p 7) Relation of cohesion and unconfined compression test value; c=1/2qu (qu<0.5kg/$\textrm{cm}^2$) c=1/3qu (qu<0.5kg/$\textrm{cm}^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