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varius variu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박새과 조류의 도시림 식생유형별 출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y Vegetation Type of Paridae in Urban Forest of Korea)

  • 홍석환;곽정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0-766
    • /
    • 2011
  • 서울시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한 한국산 박새류 4종(박새 Parus major minor, 쇠박새 P. palustris hellmayri, 진박새 P. ater amurensis, 곤줄박이 P. varius varius)의 출현위치와 현존식생유형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절대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림에서의 출현개체가 가장 많았다. 면적에 따른 출현개체의 증가를 보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생유형이 동일면적으로 분포함을 가정하였을 때는 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물오리나무림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소나무림-상수리나무림-밤나무림의 순서이었다. 도시림에서의 박새류 출현은 숲의 자생성 보다는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박새속(참새목, 박새과) 조류의 계통진화 (Systematic and Evolutionary Study on the Genus Parus(Passeriformes : Paridae) in Korea)

  • 박병상;현재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17-28
    • /
    • 1990
  • 한국산 박새속(Parus) 6종 및 아종 11개 집단 159개체를 재료로 전기영동을 실시, 이들의 계통분류 및 종분화를 조사하였다. 박새(P. major) 3아종의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는 일반적인 조류의 유전적 변이정도와 대체로 유사하였으나 나머지 좋은 변이정도가 낮았다. 박새 3아종의 집단 간 및 아종 간 유전적 근연치는 공히 S=0.95 이상으로 높았으며 이들은 집단간 근연치와 아종 간 근연치가 유사하였다. 종간에는 박새(P. major)와 곤줄박이(P. varius varius)의 유전적 근연치가 S=0.80으로 제일 높았고 쇠박새(P. palustrius hellmayri)와 진박새(P. ater amurensis)가 S=0.67로 제일 낮았다. 4종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0.72로 일반적인 조류의 근연치와 유사하였다. 이들의 분화연대를 추정한 결과 쇠박새는 약 180만년 전에 박새속 조류의 공통조상에서 분화되었다고 추정되며 그후 진박새는 약 160만년전, 곤줄박이는 약 100만년 전에 각각 분화되었고 박새 3아종은 약 10만년 전후에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한국산 박새속 4종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Mitochondrial DNA analysis on 4 species of the genus Parus (Passeriformes: Paridae) in Korea)

  • 민미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2호
    • /
    • pp.73-81
    • /
    • 1997
  • 한국산 조류 중 박새속(genus Parus)에 속하는 4종 Parus major wladiwostokensis (박새), P. ater amurensis(진박새), P. palustrius hellmayri(쇠박새) 및 P. varius varius(곤줄 박이)를 대상으로 이들의 계통적 유연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mtDNA분석을 실시하였다. 6 base를 인지하는 10개의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얻어진 mtDNA의 크기는 16.6~17.0Kb였으며 Pst I과 Pvu II는 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각 종간의 절편양상을 비교하여 Parus속의 종 간 분화정도를 비교한 결과 P. m. wladiwostokensis와 P. a. amurensis의 유전적 근연관계 가 가장 가까웠고(p=0.073, F=0.294) P. a. amurensis와 P. v. varius는 비교적 현저한 유전 적 차이를 보였다.(p=0.119, F=0.143). Brown 등 (1979)의 공식을 이용하여 박새속 4종의 분 화시기를 추정한 결과 이들은 후기 선신세(Pliocene)와 초기 홍적세(Pleistocene) 사이에 분 화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Vertical Distribution of Foraging Tits in Mixed Species Flocks in Urban Forests

  • Lee, Sang-D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2호
    • /
    • pp.65-68
    • /
    • 1999
  • In December-January of 1996-1997 and 1997-1998, information was gathered about vertical distribution of foraging sites of tits in 34 flocks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forest type on the distribution of foraging sites of each species. Habitat was classified into 5 height layers vertically: ground, bushes (usually<1.5 m, up to 3 m), tree layer 1 (up to 1/3 of tree height), tree layer 2 (1/3-2/3 tree height). and tree layer 3 (>2/3 tree heigh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species: great tit (Parus major) foraged mostly on the ground, coal tit (P. ater) and long-tailed tit (Acrocephalus caudatus) - on the highest tree layer, marsh tit (P. palustris) was often seen on bushes, and varied tit (P. varius) - in tree layer 2. Smaller species used upper and outer parts of trees. suggesting that, like in most other similar studies. larger dominant species prevented smaller species from using inner parts of trees.

  • PDF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Maneuver, Trees and Location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High-elevation 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Mt. Jumbongsan

  • Park, Chan-Ryu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1호
    • /
    • pp.41-4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behavior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 and Carpinus cordata at 1,000 meters above sea level during breeding season of birds from 1995 to 1997 in Mt. Jumbongsan. Breeding birds were about 25 species and dominant birds were Erithacus cyane, Parus ater and Parus palustris. A relatively high number of bush-nesters can be a characteristic of breeding bird community at study area. Three gleaners (Tits, P. varius, P. palustris and P. ater) selectively preferred the trees irrespective of dominant tree species, whereas bark foragers (Nuthatch, Sitta europaea) utilized the dominant trees. The four birds showed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location, but the three tits did not show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maneuver and trees. Closely related tits may coexist with each other by inter-specific different use of foraging location determined by foliage structure and leaf arrangement.

고도와 기온변화와에 따른 박새류의 번식생태 (Breeding Ecology according to Altitude and Temperature Variation in Titmouse)

  • 김동민;오흥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66-675
    • /
    • 2013
  • 이 연구는 2009년 3월에서 2012년 7월까지 한라산에 설치한 인공둥지에서 번식하는 박새류(Titmouse)의 고도변화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박새류의 최초산란일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늦어지는 양상을 보였고, 고도상승에 따른 기온감소가 최초산란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과를 종합해보면, 번식기(4~6월)의 평균기온과 산란일 간에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는 않았다(p>0.05). 인공둥지 이용률은 지역과 연도별 차이는 없었으나 박새(Parus major)와 곤줄박이(Parus varius) 두 종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배산란수는 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나(p<0.05) 고도와 연도별 차이는 없었다(p>0.05). 부화성공률, 이소성공률, 번식성공률은 각각 2011년 67.3%, 99.5%, 67.0%이었고, 2012년에는 71.3%, 96.8%, 69.0%로 이소성공률은 높았고, 부화성공률과 번식성공률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고도 차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가 번식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인되었으나 다른 번식생태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기온변화가 박새류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미기후요인과 먹이원 등의 조사를 통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Maxent 모형을 활용한 인왕산-안산 서식지 분포 예측 (Prediction on Habitat Distribution in Mt. Inwang and Mt. An Using Maxent)

  • 서새별;이민지;김재주;전승훈;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432-4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도심 내 단절되어 있는 서식지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생태통로를 구축하고자 하는 선행연구로 서울시의 인왕산과 안산의 생물 종 분포를 예측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인 인왕산과 안산의 생물 종 분포는 출현자료만으로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Maxent(Maximum Entropy Approach)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axent 모형을 활용하여 종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출현자료는 포유류 23개 지점과 박새류(Parus major, P. palustris, P. varius) 3종 15개 지점을 활용하였다. Maxent 모형의 환경변수로는 지형인자 4가지, 식생인자 4가지와 거리인자 2가지를 대상으로 구축하였다. 이 변수들을 활용하여 종 분포를 예측한 결과, 포유류의 경우에는 수치표고자료(DEM)가 34%, 산림지역의 경계로부터 산림내부의 거리가 24.8%, 수종이 10% 순으로 종 분포 모형에 기여도가 높았다. 반면 박새류의 경우에는 수치표고자료가 39.6%, 도로로부터의 거리가 35.4%, 나무의 밀도가 8.2% 순으로 모형에 기여도가 높았다. 따라서 조류 및 포유류는 산림 내부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 보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Differences in Artificial Nest Boxes Use of Tits Betwee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 Rhim, Shin-Jae;Lee, Ju-Yo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38-34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differences in artificial nest boxes use of tits betwee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at 2nd campus of Chung-Ang University ($37^{\circ}00^{\prime}04^{{\prime}{\prime}}N$, $127^{\circ}13^{\prime}96^{{\prime}{\prime}}E$), Ansung, Korea from January to August 2005. Tree species richness, tree species diversity index (H') and total basal areas were higher in deciduous forest than in coniferous forest. High, middle, low and understory canopy layers were more developed in deciduous forest, except the coverage of bush-ground layer. Varied tit Parus varius, marsh tit P. palustris and great tit P. major used the artificial nest boxes in this study. Number of breeding pairs of tits used artificial nest boxes, clutch size, and weight and size of eggs were higher in deciduous forest than in coniferous forest. The differences in habitat structure between study sites are very likely to have influenced how breeding birds used the available habitat. Artificial nest boxes could be used as management and conservation tool for birds, particularly in areas, where the availability of natural cavities and coverage of higher layer are limited.

Nest Box Preference by Secondary Cavity-Nesting Birds in Forested Environments

  • Choi, Chang-Yong;Nam, Hyun-Young;Lee, Eun-Jae;Chung, Ok-Sik;Park, Yong-Su;Lee, Jong-Koo;Hyun, Jee-Yun;Lee, Woo-Sh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1호
    • /
    • pp.49-56
    • /
    • 2007
  • We placed and monitored 2,137 nest boxes to determine how the size of the entrance hole and the box placement influenced nest box selection by secondary cavity-nesting birds and to derive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nest boxes for management of cavity-nesting birds in forested environments. A total of 566 pairs of seven bird species used the nest boxes from 1997 to 2006, 562 of which were secondary cavity-nesters. Sympatric tits such as varied tits (Parus varius), great tits (P. major), and marsh tits (P. palustris) were common breeding birds in nest boxes, and showed clear preferences for 4.0 cm, 3.5 cm and 3.0 cm nest holes, respectively. Tree sparrows (Passer montanus) and Eurasian nuthatches (Sitta europaea) preferred 4 cm and 3.5 cm holes, respectively. We did not detect selection for the directional orientation for the entrance hole, but the birds appeared to avoid nest boxes that faced steep or gentle upward slopes and those less than 1.8 m from the ground. These results are probably related to avoidance of disturbance and predation. We suggest that diverse species can be supported by the placement of nest boxes with entrance holes of various sizes and that specific species can be targeted by selecting the hole sizes preferred by those species. To attract secondary cavity-nesters, managers should avoid placing nest boxes close to the ground and facing hill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areful selection and placement of nest boxes is needed to avoid biases in research using nest boxes.

활엽수림에 설치한 인공새집을 이용한 박새류의 번식 생태 (Breeding Ecology of Tits Parus spp. Using Artificial Nest Boxes in a Deciduous Forest)

  • 임신재;손승훈;김규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97-401
    • /
    • 2011
  • 본 연구는 활엽수림 지역에 설치한 인공새집에서 번식을 실시한 박새류의 번식 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매년 3월부터 7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5년에 걸친 조사기간 동안 활엽수림에 설치한 인공새집에서는 곤줄박이, 쇠박새, 박새 등의 박새류가 번식을 하였다. 박새류가 번식을 실시한 인공새집은 입구직경별로 번식쌍수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별로는 박새가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곤줄박이가 가장 적게 이용하였다. 인공새집을 이용한 박새류는 몸의 크기에 따라 선호하는 입구직경이 달랐는데, 몸의 크기가 큰 박새는 입구직경이 35~40 mm인 인공새집을 주로 이용하였다. 반면 몸의 크기가 가장 작은 쇠박새는 입구직경이 30 mm인 인공새집에서 주로 번식을 하였다. 첫 산란일, 한배 산란수, 한배 새끼수, 포란기간, 육추기간, 번식성공률은 종별,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박새류의 번식생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환경요인과 번식생태에 관한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