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검색결과 147,726건 처리시간 0.104초

7개(個) 수종(樹種)의 잎이 pH수준별(水準別) 처리(處理)에 따른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및 침출액(浸出液) pH변화(變化)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s of Leaves and pH of the Extracted Solutions from the Leaves of 7 Tree Species by pH Level)

  • 우종호;안인석;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145-152
    • /
    • 1998
  • 산성우에 대한 수목 잎의 반응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상수리나무, 벚나무, 은행나무, 잣나무, 소나무 잎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pH(pH 2.0~pH 6.0)수준 및 시간별로 처리하여 침출수의 pH와 잎의 엽록소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공시 수종의 잎을 pH 3.0~pH 6.0의 용액에 담그었을 때 처리 용액의 pH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종별로 일정한 pH대로 변화하여 48시간 후에는 느티나무 pH 5.0~pH 5.5, 아까시나무 pH 5.5~pH 6.0, 상수리나무 pH 4.5~pH 5.0, 벚나무 pH 5.5~pH 6.0, 은행나무 pH 3.5~pH 4.5, 잣나무 pH 3.5~pH 4.5로 바뀌어 갔다. 그러나 소나무의 경우에는 일정한 pH대를 파악할 수 없었다. pH 2.0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벚나무에서 pH가 약간 상승하였고 다른 수종의 경우 거의 변화가 없었다. 2. 여러 가지 pH 용액 처리후 엽록소 함량 변화에 대한 실험에서 pH 2.0 용액 처리시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벚나무에서 엽록소의 함량이 감소였다. 한편, 다른 pH 수준에서는 엽록소 함량이 거의 일정하였다. 다른 수종들에 대한 다양한 pH 처리수준 및 처리 시간에 따른 엽록소 함량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를 통하여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벚나무 잎의 산성우 pH 상승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수지 퇴적물로부터 인의 존재형태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on the Phosphorus Fraction Properties from Reservoir Sediments)

  • 이진경;안태웅;오종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840-850
    • /
    • 2010
  • 새만금호와 인접한 배후지역에 위치하며 새만금 수질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간척농지 지구 계화조류지를 대상으로 환경변화에 의해 수계로 용출되어 부영양화의 주원인이 되는 인의 존재형태와 수계내 영향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계화조류지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 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Saloid-P의 형태가 2.28~7.75 mg/kg(1.4%), Al-P 0.34~5.36 mg/kg (0.5%), Fe-P 31.04~837.25 mg/kg (39.8%), Ca-P 149.91~257.09 mg/kg (56.6%), Red-P 0.29~2.07 mg/kg (0.4%), Occd-P 2.23~8.89 mg/kg (1.3%)를 나타냈다. 퇴적물내 인의 존재형태를 비교하면, 계화조류지는 Ca-P (56.6%)와 Fe-P (39.8%) 의 형태가 97% 이상이며, 계화조류지 퇴적물내 인의 형태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Ca-P와 Fe-P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수계내 인자를 분석한 결과, Fe-P는 총질소(T-N) (r=0.761, p<0.05)와 질산성질소($NO_3$-P) (r=0.754, p<0.05), 암모니아성질소($NH_4$-N)(r=0.728, p<0.05), 총인(T-P) (r=0.774, p<0.05), 용존성 무기인($PO_4$-P) (r=0.767, p<0.05)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Ca-P의 형태는 조사항목 중 수계내 인자와의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퇴적물내 중금속이 인의 존재형태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 Ca-P 형태의 인은 특정 중금속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Fe-P 형태의 인은 비소(As) (r=0.817, p<0.01), 구리(Cu) (r=0.793, p<0.05), 카드뮴(Cd) (r=0.786, p<0.05), 아연(Zn) (r=0.738, p<0.05)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처리 검색 기반의 P2P 그룹 검색 알고리즘 (P2P Group Search Algorithm based on Preprocessing Search)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522-527
    • /
    • 2010
  • 네트워크로 연결된 환경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버가 보유한 파일을 요청함으로써 자원을 공유하였으나 서버의 부하로 P2P 시스템이 그 기능을 대신하고 있다. 이러한 P2P 시스템에 관한 성능 향상을 목표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2P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성 개선 효과를 기반으로 P2P 검색 시스템의 전처리 검색 기반 그룹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가 검색 용어를 검색 리스트 기반으로 전처리 과정을 거쳐 검색 속도를 높이고자 한다.

P2P Network Simulation System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Convergence Networks

  • Kim, Yu-Doo;Moon, Il-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4호
    • /
    • pp.396-400
    • /
    • 2011
  • P2P(peer to Peer) network is a distributed network architecture composed of participants that make a portion of their resources directly available to other network participants, without the need for a central server. Currently, convergence network industry using wired and mobile are grows rapidly. So P2P protocols will be used between mobile and wired network. But current P2P protocols are focused on the wired networks only and there are no simulators for performance analysis of mobile P2P. In this paper, we design a P2P simulation system for performance analysis of P2P protocols in mobile, wired and convergence networks. It is constructed by a well-known mobile network simulator and wired based P2P protocol simulator. Finally we have implemented a smart TV test-bed using our P2P test-bed for convergence networks.

라이브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P4P 프레임워크 기반의 P2P 오버레이 시스템 (A P2P Overlay System based on P4P-framework for Live Multimedia Streaming Services)

  • 변해선;이미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1호
    • /
    • pp.51-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라이브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할 수 있는 P4P(Proactive network Provider Participation for P2P) 기반의 P2P(Peer-to-Peer) 시스템을 제안한다. 라이브 멀티미디어의 엄격한 지연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제안하는 방안에서는 P4P의 네트워크 제공자 측 서버가 네트워크 자원 활용 최적화를 위한 정보와 더불어 지연 및 혼잡 링크에 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명시적으로 P2P 시스템에 제시하도록 하고, 이에 기반하여 P2P 시스템 측 서버가 피어링 제의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모든 피어들이 소스 피어의 재생 지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는 라이브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재생 동기화 방안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제안 방안은 P4P의 기본 목적인 네트워크 자원 활용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면서 라이브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재생 시작 지연 및 제어 오버헤드를 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스템 전체 피어들 간 재생 지점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실시간성을 개선함을 볼 수 있었다.

비트 일부로부터 Multi-Prime RSA와 Prime Power RSA의 개인키를 복구하는 알고리즘 (Key Recovery Algorithm from Randomly-Given Bits of Multi-Prime RSA and Prime Power RSA)

  • 백유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401-1411
    • /
    • 2016
  • Multi-Prime RSA와 Prime Power RSA는 변형 RSA 시스템의 일종이며, 이 중에서 Multi-Prime RSA는 서로 다른 r(r>2)개의 소수 $p_1,p_2,{\cdots},p_r$에 대하여 $N=p_1p_2{\cdots}p_r$을, Prime Power RSA는 서로 다른 소수 p, q와 양의 정수 r(>1)에 대하여 $N=p^rq$를 각각 모듈러스로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Heninger와 Shacham에 의해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이 시스템들에 대한 안전성을 분석하며 구체적으로, 만약 $p_1,p_2,{\cdots},p_r$의 전체 비트 중 $2-2^{1/r}$의 비율에 해당하는 비트가 랜덤하게 주어지면 $N=p_1p_2{\cdots}p_r$이 다항식 시간 안에 소인수분해될 수 있음을, 그리고 p, q의 전체 비트 중 $2-{\sqrt{2}}$의 비율에 해당하는 비트가 랜덤하게 주어지면 $N=p^rq$가 다항식 시간 안에 소인수분해될 수 있음을 각각 보인다. 또한 $N=p_1p_2p_3$, $N=p^2q$, $N=p^3q$에 적용한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의 결과를 검증한다.

에이전트 기반 소셜 네트워크 P2P 시스템 설계 (Design of Social Network P2P System based on Agent)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21-126
    • /
    • 2013
  • 분산 시스템 분야에서 최근 P2P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컨텐츠 정보 제공의 역할을 하는 서버와 피어들로 구성된 P2P 시스템은 일반적인 자원 보유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에 비해 서버의 부하가 적다. 본 논문은 에이전트 기반 소셜 네트워크 P2P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에 의한 시각 정보 기반의 가격 결정 메뉴의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우수한 성공률을 보이는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P2P 서버의 사용으로 영세한 중소업종에 적합하며 이전 연구에 비해 업주의 시스템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이 높아졌다.

시각 정보 기반 소셜 네트워크 P2P 시스템 (Social Network P2P System based on Visual Information)

  • 김분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03-1108
    • /
    • 2012
  • 최근 P2P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P2P 시스템에서 컨텐츠 정보 제공의 역할을 하는 서버와 피어들로 구성된 P2P 시스템은 일반적인 자원 보유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에 비해 서버의 부하가 적다. 본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 P2P 시스템 기반의 효율적인 메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정보 기반의 가격 결정 메뉴의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우수한 성공률을 보이는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P2P 서버의 사용으로 영세한 중소업종에 적합하다. 이 시스템은 이전 연구에 비해 사용성이 높아졌다.

Melatonin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via p53 in LNCaP Cells

  • Kim, Chi-Hyun;Yoo, Ye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6호
    • /
    • pp.365-369
    • /
    • 2010
  •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melatonin promotes apoptotic cell death via p53 in prostate LNCaP cells. Melatonin treatment significantly curtailed the growth of LNCaP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Melatonin treatment (0 to 3 mM) induced the fragmentat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activation of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Moreover, melatonin markedly activated Bax expression and decreased Bcl-2 expression in dose increments. To investigate p53 and p21 expression, LNCaP cells were treated with 0 to 3 mM melatonin. Melatonin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p53, p21, and p27. Treatment with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hibitors, PD98059 (ERK inhibitor), SP600125 (JNK inhibitor) and SB202190 (p38 inhibitor), confirmed that the melatonin-induced apoptosis was p21-dependent, but ERK-independent. With the co-treatment of PD98059 and melatonin, the expression of p-p53, p21, and MDM2 did not decrease. These effects were opposite to the expression of p-p53, p21, and MDM2 observed with SP600125 and SB202190 treatments.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53-dependent induction of JNK/p38 MAPK directly participates in apoptosis induced by melatonin.

한국산 난버섯속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enus Pluteus of Korea)

  • 이지나;이희경;민경희;박완희;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6-301
    • /
    • 1992
  • 전국 각지 15등지에서 1984년 부터 1991년 까지 채집된 난버섯속은 8종으로 분류되었다. 이 8종은 P. atromarginatus(끝검은난버섯), P. spinulosus(가시난버섯), P. atricapillus(난버섯), P. patricius(털보난버섯), P. depauperatus(살갗난버섯), P. satur(우산난버섯), P. chrysophlebius ssp. sublaevigatus(노란줄난버섯), P. podospileus(톱밥난버섯)이며, 이 중 미기록종은 P. atromarginatus, P. spinulosus, P. Patrxcius, P. depauperatus, P. satur, P. chrysophlebius ssp. sublaevsgatus 6종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