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zone respons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Forward형 고압펄스 전원장치를 적용한 오존발생 시스템 의 개발 (Development of Ozone Generating System Applying Forward Type High Voltage Pulse Power Supply)

  • 김동희;원재선;김경식;이광식;정도영;오승훈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기기및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B
    • /
    • 제52권7호
    • /
    • pp.335-342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forward type high voltage pulse power supply for high voltage small current, which can be designed as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and managed easily using Power-MOSFET in the view of commercialization. According to the switching frequency, coupling factor(k) and duty ratio(D), the Principle of basic op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pulse power supply are estimated. Simulation results hav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pulse power supply. Also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oretical discussion with a lamp type ozonizer as a load. For studying the application at the part of environment of water, When ozonizer gas reacts with a colon bacillus, the sterilization characteristics of a colon bacillus according to the ozone concentration and response time have been investigated. This proposed pulse power supply will be able to be practically used as a pulse power supply in various environment improvement facilities like sterilization of colon bacillus, deodorization, and Nox gas elimination.

IPCC SRES A2와 B1 시나리오에 따른 한반도지역의 여름철 지표 오존의 수치모의 (Simulations of Summertime Surface Ozone Over the Korean Peninsula Under IPCC SRES A2 and B1 Scenarios)

  • 홍성철;최진영;송창근;홍유덕;이석조;이재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1-263
    • /
    • 2013
  • The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changes were investiga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over the Korean peninsula for summertime using the global-regional one way coupled Integrated Climate and Air quality Modeling System (ICAMS). The future simulations were conducted under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SRES) A2 and B1 scenarios. The modeling system was applied for four 10-year simulations: 1996~2005 as a present-day case, 2016~2025, 2046~2055, and 2091~2100 as future cases.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an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increased up to 0.5~3.3 ppb under the A2, but decreased by 0.1~10.9 ppb under the B1 for the future, respectively. However, its increases were lower than an increase of the average daily maximum 8-hour (DM8H)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which was projected to increase by 2.8~6.5 ppb under the A2. The DM8H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seem to be therefore far more affected by the climate and emissions changes than mean values. The probability of exceeding 60 ppb was projected to increase by 6~19% under the A2. In the case of B1, its changes were presented with an increase of 2.9% in the 2020s but no occurrence in the 2100s due to the effect of the reduced emissions. Future projection on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was generally shown to have almost the similar trend as the emissions of $NO_x$ and NMVOC.

소나무 풍매차대묘(風媒次代苗)의 가계간(家系間) 오존에 대한 민감성(敏感性) 반응(反應) (Response of Ozone Sensitivity in Open-Pollinated Familie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장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91-196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 90가계를 대상으로 오존에 대한 민감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공광형 생장상에서 100 ppb의 오존을 5개월간 처리하였다. 잎의 가시적 피해, 근원경 생장 및 개체건중량 등을 조사하였다. 잎의 가시적 피해는 내성그룹이 1.9%인 반면 민감성 그룹은 15.20%로 나타났다. 상대근원경 생장비는 내성그룹이 12% 생장한 반면, 민감성 그룹은 23%의 생장 감소를 보였다. 개체 건중량에서도 내성그룹은 17%의 증가를 보였으나 민감성 그룹에서는 33%의 감소를 보였다. 수체 부위별로는 뿌리부분이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모든 조사 요인을 표준화한 결과 강원 4, 16, 26, 27, 73호가 오존에 대한 내성 가계로 나타났고, 강원 40, 52, 83, 경기 1, 경북 20호 등이 민감한 가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가계수준에서 그룹간에 민감성의 차이로 보아 오존에 대한 유전적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오존에 대한 가시적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고, 근원경 생장과 건중량의 감소율이 낮은 내성그룹이 확인되었다.

서울시의 대기오염과 일별 사망자 수의 관련성에 대한 시계열적 연구 (Air Pollution and Daily Modality in Seoul)

  • 조수헌;권호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2호
    • /
    • pp.191-199
    • /
    • 1999
  •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1995년까지의 서울시 사망자료와 대기오염 자료를 general additive Poisson model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외국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기 오염 물질의 증가가 사망자 수의 증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은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분진에 의한 영향 보다는 오존에 의한 영향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오존은 100ppb가 증가할 때 마다 사망자 수를 3-10% 증가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오존주의보가 발령될 때마다 서울시에서는 많게는 평소보다 10%정도의 추가적인 사망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 나라의 대기오염 양상이 분진과 $SO_2$ 중심의 '런던스모그'형에서 오존과 $NO_2$ 등에 의한 광화학적 스모그로 바뀌고 있는 사실을 감안할 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병원입원율, 또는 응급실 내원환자수에 대한 오존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더불어 오존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들이 시급히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Commentary on Air Pollution Monitoring Programs in Korea

  • Ghim, Young-Sung;Kim, Jin-Young;Shim, Shang-Gyoo;Moon, Kill-Ch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8권E1호
    • /
    • pp.21-28
    • /
    • 2002
  • Air quality issues in Korea rapidly changed at the beginning of the 1990s from primary to secondary pollutants starting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The present frame of national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s was established between the end of the 1980s and the beginning of the 1990s. Background monitoring was initiated in the middle of the 1990s in response to increasing public concern about the long-rang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Apart from the national monitoring, both routine and intensive measurements of fine particles have been made for research purposes since the middle of the 1990s at several background sites. However, air pollution monitoring in urban areas for other purposes was relatively scarce as national monitoring has been concentrated in these areas. Although ozone pollution has become a significant issue in major metropolitan areas every summer, only a little information on ozone precursors is available. During the past few years, the number of national monitoring stations has greatly increased. The government has a plan to gradually expand monitoring items as well as stations. It is anticipated that highly detailed information on both photochemical reactants and products will be available within the next several years. More emphasis will be placed on toxic substances based on risk assessment in monitoring for both research and policy making.

R.F. Magnetron Sputtering법을 이용한 ITO 박막 오존 가스센서의 제조 및 특성 (The Fabrication of ITO Thin-film O3 Gas Sensors Using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and their Characterization)

  • 권정범;정경근;이동수;하조웅;유광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840-845
    • /
    • 2002
  • 오존 가스센서는 저가이고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감도가 높고 우수한 선택성을 지닌 반도체식 가스센서가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 magnetron sputtering법을 이용하여 ITO($In_2O_3 95%,\;SnO_2$ 5%) 박막을 알루미나 기판위에 증착시켰다. 증착시 기판온도는 300$^{\circ}C$와 500$^{\circ}C$였고, 시편의 일부를 공기중 500$^{\circ}C$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ITO 가스 감지막은 열처리 전${\cdot}$후 모두 결정을 형성하였다. 오존 가스에 대한 감도측정 결과, 300$^{\circ}C$에서 증착한 다음 열처리한 센서에서 가장 높은 감도(1 ppm이하 감지 가능)를 나타내었다. 작동온도가 높을수록 감도는 줄어들었지만 빠른 응답 특성과 안정성을 가졌다.

야간 지표 고농도 오존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High Nocturnal Concentration of Ground Level Ozone)

  • 김유근;홍정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45-554
    • /
    • 1998
  • The diurnal variation of O3 concentration shows two peaks, the first peak at noontime and the secondary peak at night. In order to show why the secondary peak, high nocturnal O3 concentration, occurs without sunlight which is a essential factor of a photochemical response, the O3 concentration, several weather elements and synoptic weather map were used for June∼September at 1995, 1996. The mean concentration of high nocturnal O3 concentration days is higher by 5.4 ppb than that of low nocturnal O3 concentration days. The nocturnal O3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diurnal O3 concentration during high nocturnal O3 concentration days, at July, 1995 and June, 1996. The high nocturnal O3 concentration is related to low air pressure, high cloud cover and high wind spe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nocturnal O3 concentration and wind speed, pressure and cloud cover is 0.387, -0.218, and 0.194, respeftiviely. It is interesting that the O3 concentration increases at Pusan when the typhoon passes by. The same result showed at Taegu when the typhoon FAYE passed b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octurnal O3 concentration for June∼September at 1995 and 1996, it seems that the high nocturnal O3 concentration relates to the trough and cyclones passing by Pusan.

  • PDF

전지구에 대한 TOMS 오존전량과 반사율의 경년 변화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TOMS Total Ozone and Reflectivity over the Globe)

  • 유정문;전원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03-718
    • /
    • 2000
  • 전지구(全地球)에 대한 오존전량과 반사율의 경년(經年)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79-92년 기간의 Nimbus-7/TOMS 자료의 월평균과 그 아노말리 값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대기 열적 변화에 따른 오존의 경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TOMS 자료 외에 위성관측 MSU채널4(하부성층권) 자기온도와 두 개의 대기대순환 모델(NCEP, GEOS) 재분석 온도를 이용하였다. 또한 대기의 열적 및 강수(구름)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경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는 MSU 채널1(하부 대류권)밝기온도를 이용하였다. 오존전량의 시계열은 뚜렷한 계절 변화와 함께 전구적으로 감소 경향(-6.3${\pm}$0.6 DU/decade)을, 그리고 엘니뇨보다는 화산폭발이 있었던 기간에 더 뚜렷한 변동을 보였다. 오존전량과 위성관측 및 모델 재분석의 하부 성층권 온도는 1980-92년 기간의 경년 변화에 있어서 서로 양의 상관(0.2-0.7)을 보였다. 반사율은 같은 기간에 전구적으로 다소 증가 경향(0.20${\pm}$0.06 %/decade)을 보였으며 1982-83년, 1991-92년의 엘니뇨 특징을 잘 반영하였다. 열대 지역에서의 반사율의 연주기 변동은 양반구의 고위도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으며, 이는 아열대 고압대 및 열대 용승 지역에서 대기 침강으로 인하여 구름이 소산되거나 하층운의 발달로 인하여 낮은 반사율과 함께 그 변동도 작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구에 대한 반사율과 MSU 하부 대류권 온도는 경년 변화에 있어서 서로 음의 상관(-0.9)을 보였으나, 대류활동이 활발한 열대 해양에서는 낮은 양의 상관(0.2)을 보였다. 이러한 양의 상관은 해양에서 구름 및 강수의 증가에 따라 채널1 밝기온도를 증가하게 하는 마이크로파 방출율의 효과를 반영하였다. 오존과 하부 성층권 온도 사이에, 그리고 반사율과 하부 대류권 온도 사이에 존재하는 유의적인 상관은 오존 및 반사율의 위성관측 자료가 기후변동에서의 피이드백 작용을 이해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음을 본 연구는 제시한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Rice Mitochondrial Small Heat Shock Protein Gene

  • Kim, Do-Hyun;Alam, Iftekhar;Lee, Dong-Gi;Lee, Byung-Hy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5-290
    • /
    • 2020
  • To understand the role of small heat shock protein (sHSPs) in rice plant response to various stresses such as the heat and oxidative stresses, a cDNA encoding a 24.1 kDa mitochondrial small HSP (Oshsp24.1) was isolated from rice by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PCR.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shows very high similarity with other plant small HSPs. DNA gel blot analysis suggests that the rice genome contains more than one copy of Oshsp24.1. High level of expression of Oshsp24.1 transcript was observed in rice seedlings in response to heat, methyl viologen, hydrogen peroxide, ozone, salt and heavy metal stresses. Recombinant OsHSP24.1 protein was produced in E. coli cells for biochemical assay. The protein formed oligomeric complex when incubated with Sulfo-EGS (ethylene glycol bis (succinimidyl succinate)). Our results shows that Oshsp24.1 has an important role in abiotic stress response and have potential for developing stress-tolerant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