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zone reduction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4초

갈참나무 4가계에서 스트레스 평가용 생리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 (Ozone Sensitivity of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Stress Evaluation in Four Families of Quercus aliena Blume)

  • 김두현;한심희;이재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78-884
    • /
    • 2010
  • 오존에 노출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 차이와 생리적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은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 MDA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과 같은 생리적 지표들을 표준화하여 결정하였다. 오존 처리 후, 갈참나무의 잎내 탄소고정효율 감소는 4가계 모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들의 감소율은 대조구의 -24.1%에서 -56.9% 범위를 보였다. 광색소 함량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총 엽록소 함량의 감소는 SU4 가계에서 가장 높았고 (-40.6%), US2 가계에서 가장 낮았다(-18.8%). APX 활성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를 뚜렷하게 보였으며, US2 가계를 제외한 3가계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리적 지표들을 기준으로 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은 US1 > SU4 > US2 > SU1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과 APX 활성은 갈참나무의 오존 스트레스 내성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지표로 판단된다.

회화나무 8 가계간 오존 내성 차이에 대한 생리적 지표의 적합성 (Suitability of Physiological Indicators of Ozone Tolerance among 8 families of Sophora japonica)

  • 한심희;김두현;이재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82
    • /
    • 2010
  • 본 연구는 오존에 노출된 회화나무 8 가계에서 측정한 생리적 지표들을 대상으로, 오존에 대한 민감성을 평가하고, 이 결과들을 종합하여 가계 간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 8가계를 대상으로 오존 처리 후, 광합성 특성, 엽록소 함량, 항산화효소 활성 및 MDA 함량을 측정하였고, 각 측정 지표들의 표준화 지수를 이용하여 내성 순위를 결정하였다. 탄소고정효율은 6번 가계를 제외한 모든 가계에서 오존 처리 후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탄소고정효율의 감소율은 -38%에서 -67% 범위를 보였다. 또한 순양자수율은 7번 가계를 제외한 모든 가계에서 오존 처리 후 뚜렷한 감소를 보였으며, 감소율은 -27%에서 -61%를 나타냈다. 엽록소 a를 비롯한 광색소 함량의 가계 간 차이는 컸으나, 오존 처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오존 처리 후, SOD 활성의 증가율은 7%에서 64%로, 가계 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APX 활성은 모든 가계에서 오존 처리 후 증가하였으며, 7번 가계가 가장 큰 활성 증가율(218%)을 보였다. 표준화 지수를 기준으로 할 때, 6번 가계의 내성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7번 가계의 내성 수준이 가장 높았다. 6번 가계는 오존 처리 후 탄소고정효율을 비롯한 광합성 특성의 감소율과 광색소 함량의 감소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내성을 나타내는 항산화효소의 활성 증가가 매우 적었다. 반대로 내성 수준이 높은 7번 가계는 오존 처리 후 광합성 특성의 감소율이 다른 가계에 비해 적었으며, 광색소 함량은 오히려 오존처리 후 증가하였고, 항산화효소의 증가율도 다른 가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오존 및 오존/UV 산화법을 이용한 휴믹산의 분해와 THM 발생능의 감소 (Decomposition of Humic Acid and Reduction of THM Formation Potential by Ozone and Combined Ozone/Ultraviolet Oxidation)

  • 박주석;박태진;권봉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5-63
    • /
    • 1996
  • This research was based on comparing ozonation with combined ozone/ultraviolet oxidation through the methods of reducing THM produced during water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ecline of THM concentration was appeared according as ozone dosage increases with ozonation and combined ozone/ultraviolet oxidation. The more effective method was the treatment of irradiating UV then ozonation. In the beginning of reaction the decline rate of THM formation potential was low, I thought it was because that the reaction of ozone and humic acid needed times to be steady state, or that THM formation potential existed according to humic acid. 2. The effect of combined ozone/ultraviolet oxidation when ozone dosage was 4.2mg/L min was almost the same that of ozonation when ozone dosage was 8.6mg/L min. 3. In experiment of TOC decline through ozonation and combined ozone/ultraviolet oxidation, TOC concentration was also dropped according to increasing ozone dosage and the more effective results were showed in treatment of irradiating UV than ozonation. But the similar TOC remove rates were showed in experiment of changing with ozone dosage during combined ozone/ultraviolet oxidation TOC remove rates were low in proportion to the remove rates of THM formation potential, it was considered that humic acid was made low molecule itself though ozonation and ozone/ultraviolet oxidation. Moreover, the high degree of remove efficiency will be get though the treatment of activated carbon of GAC treatment after combined ozone/ultravilet oxidation.

  • PDF

공기순환장치 적용 오존 플라즈마 살균장치 개발 (Development of Ozone Plasma Sterilizer with Air Circulation Device)

  • 안준;전영남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5-110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sterilization plasma device that would be proficient at sterilizing and removing pathogenic bacteria and viruses, and applicable to air purification systems. Metho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packed bed DBD reactor and the ozon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n ozone filter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reactor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novel packed-bed DBD reactor was propo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sma discharge was uniformly and stably discharged throughout the entire layer, and sufficient ozone was generated for sterilization. The ozone filter was tested for three methods: adsorption, adsorption-decomposition, and catalytic decomposition. When the filter thickness was 30 mm, the ozone concentrations were 0.03 ppm, 0.01 ppm, and 0.21 ppm, respectively. The adsorption and adsorption-decomposition methods satisfied the EPA standard of less than 0.05ppm, but the catalytic decomposition method did not.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sorption-decomposition method has relatively excellent ozone filter performance and can provide the best ozone filter.

오존 기상처리방법에 의한 비스코스 레이온의 탈색효과 (Decoloring Effect of Viscose Rayon by Using Vapor Type Ozone Processing)

  • 김경아;이문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03-109
    • /
    • 1998
  • 본 연구는 오존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기상의 처리방법에 따른 비스코스 레이온의 탈색효과를 연구하였다. 오존이 발생할 때는 기체상태로 고농도이지만, 수용액 상태로 물에 녹이는 과정에서 기화요인에 의하여 오존의 손실이 많았다. 따라서 기존의 오존처리방법인 수용액상태의 처리방법이 아니라 기상의 오존을 직접 직물에 처리하므로 고농도의 오존을 단시간동안 처리하여 직물에 존재하는 색소를 산화시켜 탈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상의 오존은 직접 유기색소와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물을 매개체로 하여 pick up ratio를 60%, 50%, 40%, 30%, 20%로 변화시키면서 비스코스 레이온의 탈색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ick up ratio가 40%일 때가 유기색소를 분해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수산기가 발생하므로 처리포의 탈색효과가 가장 좋았다. 그러나 처리기간이 길수록 너무 과다하게 오존에 의해 산화되므로 강도와 신도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최적의 기상오존 처리시간은 60분정도에서 처리하는 것이 강도와 신도의 저하를 가장 적게 할 수 있고 백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오존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감량화와 안정화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Sewage Sludge by Ozonation)

  • 이창근;황은주;강성재;빈정인;이병헌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0-295
    • /
    • 2004
  • In this study, ozone was adopted for th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waste sludge from the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The waste sludge used in the experiments was primary sludge, excess sludge and a mixture of the two. The sludge cells and flocs were disrupted by ozonation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TSS and VSS concentrations. In the case of the primary sludge with a concentration of 20 gTS/L, the TSS and VS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28%, 33% and the TCOD concentration was reduced 20% respectively. The consumption of ozone was $0.18gO_3/gSS$. In the case of the excess sludge with a concentration of 7.5 gTS/L, the TSS and VS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37%, 41%, and the TCOD concentration was reduced 19% respectively. The consumption of ozone was $0.33gO_3/gSS$. In the case of the mixed sludge of 9.3 gTS/L, the TSS and VS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by 45%, 53%, and the TCOD was reduced 26% respectively. The desirable consumption of ozone was $0.27gO_3/gSS$. As ozonation proceeded, the level of SCOD increased due to the release of intracellular materials. However TCOD was reduced due to mineralization resulting from the transformation of organic materials to inorganic materials.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별 기상기여도 차이가 고농도 오존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gional Warming On the Ozo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Meteorological Contribution in Each City ove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정여민;이화운;최현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05-416
    • /
    • 2011
  •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regional warming on the ozo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meteorological contribution in each city ove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RF - CMAQ model was used to access the ozone differences in each case, during the episode day. Meteorological contributions estimated by WRF command a reasonable feature on the dispersion of ozone concentrations in each city according to regional warming. This causes a difference in estimated ozone concentration. A higher ozone concentration difference tend to be forecasted in coastal cities than in upcountry city. Therefore, the emission reduction policy according to the regional warming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contribution of each city.

수표면방전의 방전 수돌기의 높이제한과 오존발생특성 (Reduction of Height of Taylor Cone Caused by Water Surface Discharge and Its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 박승록;김진규;김주용;이대희;문재덕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0권7호
    • /
    • pp.334-339
    • /
    • 2001
  • A silent type ozone generator using water surface has been studied and improved its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the controlling the height of Taylor cone by installing a mesh electrode, a dielectric bed of glass beads in the just under th surface of the water.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ozone generation quantity of the test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discharge current oscillograms of the each cases of the mesh electrode and the beds were observed and compared each other to analyze the discharge conditions. The Taylor cone height could be the cause of the discharge bridge to decrease the ozone generation on the discharge spacing. In this study, the hight of Taylor cone could be reduced greatly by installing the mesh and the glass beads bed just under the water surface. Therefore a higher ozone generation also could be obtained.

  • PDF

촉매 공정의 배기가스 질소산화물 저감 성능에 미치는 오존주입의 영향 (Effect of Ozone Injection into Exhaust Gas on Catalytic Reduction of Nitrogen Oxides)

  • 윤은영;목영선;신동남;고동준;김경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0-33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촉매공정의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기가스에 오존을 주입하였다. 배기가스에 오존을 주입하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NO의 일부가 $NO_2$로 빠르게 산화되며, NO와 $NO_2$ 혼합물은 촉매반응기에서 $N_2$로 환원된다. 오존의 발생을 위해 유전체 장벽 방전 반응기가 사용되었고 촉매로는 상용 $V_2O_5-WO_3/TiO_2$ 촉매가 사용되었다. 질소산화물의 환원제는 암모니아였다. 촉매반응기 전단의 $NO_2$ 함량은 오존 주입량에 의해 변화될 수 있었으며, $NO_2$ 함량 변화가 촉매의 질소산화물 저감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NO_2$ 함량이 촉매반응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한 조건에서 수행되었는데, 주요 변수로 선정한 것은 반응온도, 초기 $NO_x$ 농도, 암모니아 농도, 그리고 배기가스 유량이었다. 오존주입에 의한 $NO_2$ 함량 증가는 촉매공정의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이러한 성능 향상 효과는 반응온도가 낮을수록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오존 주입 방법은 기존 촉매 공정의 개선에 크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건전지에서 회수된 Mn을 이용한 오존분해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teristics for Ozone Decomposition over Recovered Mn from Spent Betteries)

  • 김거종;홍성창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61-16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폐건전지로부터 회수된 특정 성분들을 이용하여 오존분해 촉매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폐건전지에서 축출된 성분 중, Mn의 함량이 오존분해 반응에 주요 인자임을 보였다. 또한, Zn 함량에 따라 deactivation rate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K 함량은 오존분해 반응과 상관성이 없음을 나타냈다. 그리고 $TiO_2$를 첨가하여 제조한 촉매는 Mn 함량의 감소로 인한 효율 저하를 나타냈으며, Mn 구조상의 특징은 오존분해 반응과 상관성이 없음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