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ysters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굴의 저온진공건조 열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Low temperature vacuum dry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Korean raw oysters)

  • 김경근;송치성;최세현;이서연;문수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9
    • /
    • 2016
  • 굴은 향기가 좋고 영양성분이 풍부하며 질병 예방의 기능성이 높은 우수한 수산식품으로 동서양인 모두가 선호한다. 대량으로 생산된 굴의 보관 및 유통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건조하는 것인데, 기존의 열풍건조나 동결건조에 의할 경우에는 굴의 육질이 매우 약하여 향과 영양 성분의 파괴가 많아 완전건조가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15^{\circ}C$ 저온진공건조기술을 이용하여 한국산 양식 생굴과 자연산 생굴을 완전 건조하는 과정에서 진공상태하의 진공열전달특성에 관한 실험적 결과를 보고하였다.

서울에서 시판중인 굴의 세균학상 오염과 분리된 비브리오속 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of Vibrio spp. and Bacterial Contamination of Commercial Oysters in Seoul, Korea)

  • 홍은경;박소희;윤지희;강병용;하남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4호통권51호
    • /
    • pp.273-27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measure the level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oysters, and observ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Vibro spp. found in oysters. For this experiment, 100 oysters were collected from 100 markets around seoul area from October, 2004 to January, 2005. Bacterial contaminations of the oysters were confirmed by performing the method of standard plate count and desoxycholate lactose agar plate. Total plate counts were $2.7\times$$10^{2}$$\sim$$1.2\times$$10^{5}$ cfu/g. Coliform group were $1.0\times$$1.0^{1}$$\sim$$3.2\times$$10^{5}$ cfu/g. Results have shown that Vibrio spp. was present in $64\%$ of the 100 sampls.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Vibrio spp. showed that $MIC_{50}$ of chloramphenicol was 0.2 g/mL, $MIC_{90}$ was 25 $\mu$g/mL, and $MIC_{50}$ of tetracycline was < 0.05 $\mu$g/mL, $MIC_{90}$ was 25 $\mu$g/mL, and $MIC_{50}$ of ciprofloxacin was 0.01 g/mL, $MIC_{90}$ was 10> $\mu$g/mL. Three of the six strains were identified as Vibrio alginolyricus.

자란만사량도 해역의 굴(Crassostrea gigas) 및 육상오염원에서 분리한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항생제 내성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Major Inland Pollution Sources in the Jaranman-Saryangdo Area in Korea)

  • 권지영;권순재;양지혜;목종수;정상현;하광수;이희정;정연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05-616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abunda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in oysters Crassostrea gigas and major inland pollution sources sampled in 2014-2015 from Jaranman-Saryangdo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ranges of the geometric mean of E. coli concentrations in oysters and major inland pollution sources were <20-29.8 MPN/100 g and 7.5-137.2 MPN/100 g, respectively. We isolated 247 strains of E. coli (28 from oysters and 247 from major inland pollution sources) and examine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all isolates. Isolates from both sources were highly resistant to rifampin (99.5-100%) and cephalothin (70.8-78.6%). The resistance rate was higher in E. coli isolated from oysters those from inland pollution sources. Multiple resistance against at least four antimicrobials was observed in 85.7% and 21.0% of the oyster and major inland pollution sources isolates, respectively.

패류의 중금속 축적에 관한 연구 1. 녹색 굴의 동함유량에 관하여 (ACCUMULATION OF HEAVY METAL IN SHELLFISH 1. On the Copper Content in Green Oysters)

  • 조용계;김춘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1-65
    • /
    • 1971
  • 장항만 연안에 서식하는 굴과 대천지방에 서식하는 굴의 연체부의 동함량에 관하여 1970년 10월 부터 1971년 2월까지 4개월에 걸쳐 채집 분석했다. 이 양군간에 굴 연체부의 동함량에는 현저한 유의차가 인정되였다. 장항만 연안에 서식하는 굴은 장항제연소에서 흘러나오는 폐수와 광재에서 용출하는 동에 의하여 주로 오염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장항만 연안에 서식하는 굴은 동함량이 $434.4{\pm}141.9mg$ Cu/kg wet base였으며, 대천지방에 서식하는 비오염된 굴은 평균 $19.0{\pm}4.9mg/kg$ wet base의 수치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실험을 도와준 최병선군과 전의식군에게 사의를 표하는 바이다.

  • PDF

시판 냉동굴(Crassostrea gigas)의 위생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Frozen Oyster Crassostrea gigas as a Raw Material for Seafood Products)

  • 박선영;조혜정;이석민;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861-86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frozen oysters as a raw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seafood products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harmful microorganisms and chemicals in thawed flesh. The microbial concentrations in thawed oysters were 2.3-5.0 log CFU/g for viable cell counts, not detected (ND)-1.0 log CFU/g for coliform bacteria, and ND for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and Clostridium perfringens. In frozen oysters,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for viable cell counts was ND-0.030 mg/kg, for lead was ND-0.393 mg/kg, and for cadmium was 0.021-0.597 mg/kg. Benzo(a)pyrene, shellfish poison (paralytic shellfish and diarrhetic shellfish poisons), and radioactivity were not detected in the thawed oyst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ozen oysters can be safe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seafood products.

오리엔탈소스 훈제굴(Crassostrea gigas) 통조림의 제조공정 최적화 및 관능특성 (Processing Optimiz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nned Smoke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Oriental Sauce)

  • 이지운;윤인성;권인상;김진수;이정석;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84-293
    • /
    • 2022
  • In this study, we aimed to optimize the blending conditions of sunflower oil (A), water (B), and oriental sauce (C) for canned smoke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oriental sauce (SOO).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e found that the optimal independent variables [X1, A/(B+C); X2, B/C] based on the salinity (Y1) amino acid nitrogen content (Y2), and overall acceptance (Y3) of high-quality SOO were 48.7% (w/w) for sunflower oil, 25.5% (w/w) for water, and 25.8% (w/w) for oriental sauce. Under optimal conditions, the experimental values of Y1, Y2, and Y3 were 1.68±0.4 g/100 g, 155.4±2.4 mg/100 g, 6.2±0.23 score,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dicted values (P<0.05). The SOO prepared under optimal conditions had a higher overall acceptance than commercial canned smoked oyst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ing canned smoked oysters in oriental sauce can be industrialized, and the product is predicted to b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생굴(Crassostrea gigas)의 선도 변화에 포장용기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ackaging Container on the Freshness of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 윤나영;안병규;인정진;한형구;이우진;서정화;정삼근;심길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3-77
    • /
    • 2022
  • The shelf life of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wo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containers, polyethylene (P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pH, glycogen and soluble protein content, turbidity, and viable cell count. After 7 days of storage, the pH of the packing water in the PE container decreased to 5.88, while the pH in the PET container decreased to 6.03. In the PE container, the glycogen content of the oysters decreased by 0.85 g/100 g and the soluble protein content and turbidity of the packing seawater increased by 1,927.21 mg/100 g and 3.24 McF, respectively. In the PET container, the glycogen content of the oysters decreased by 0.96 g/100 g and the soluble protein content and turbidity of the packing seawater increased by 1,674.75 mg/100 g and 0.98 McF, respectively. The reaction rate constants (K) were as follows: glycogen content, -0.18 (PE) and -0.10 (PET); soluble protein content, 0.29 (PE) and 0.26 (PET); and turbidity, 0.41 (PE) and 0.06 (PE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T can be used as a new packaging container material for raw oysters because the quality is maintained and it offers more convenient handling during distribution.

전처리와 저장조건이 굴 통조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reatment and Storage Condition on the Quality of Canned Boiled Oyster)

  • 노낙현;성대환;양한섭;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0-138
    • /
    • 1981
  • 굴 보일드 통조림의 저장중 품질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변색과 영양가의 손실이 전저리와 저장조건을 달리함으로써 억제가 가능한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착수하였으며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첨가제의 처리는 밀봉직전에 첨가제 용액을 직접 주입하거나 자숙후 첨가제 용액에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2.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는 산성보다는 알칼리성에서 더 안정했으며, 아미노태질소와 유효성 lysine은 반대현상을 보였다. 3. 자숙굴의 육과 내장에 대한 클로로필의 분배비는 1/55, 카로티노이드의 분배비는 1/68이였으며 5개월 후에는 각각 $1/14\sim1/40$$1/4\sim1/20$으로서 카로티노이드가 클로로필에 비하여 훨씬 이행속도가 빨랐다. 4. $Na_{2}EDTA$의 처리는 변색과 영양가 손실의 억제에 상당한 효과가 있었으며, sodium-polyphosphate의 처리는 육의 연화 또는 붕괴를 촉진시키는 역효과를 보였다. 5. 굴통조림 저장중 아미노태질소와 유효성 lysine은 저장초기에 빨리 감소하였으며, 2개월 일 때는 전감소율의 $50\%$에 달하였다. 6. $4^{\circ},\;20^{\circ}C,\;55^{\circ}C$의 각 온도별로 저장한 굴 통조림의 변색과 영양가의 손실은 온도가 다른 요인에 비해 훨씬 큰 영향을 끼쳤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그 손실이 적었다. 7. 관능검사 결과$Na_{2}EDTA$로 처리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가장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sodium-polyphosphate로 처리하여 $55^{\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품질이 가장 나빴다.

  • PDF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의 제2중간숙주로서 참굴의 역할 (Oysters, Crassostrea gigas,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Gymnophalloides seoi (Gymnophallidae))

  • 이순형;최민호;서민;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1-8
    • /
    • 1995
  • 우리 나라 고유의 인체 기생 장흡충 Gwmopholloides seoi Lee, Chai and Hong, 1993은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신안군 도서지방에 큰 유행지가 있음이 밝혀져 의학적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인체 감염원이 되는 제2중간숙주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연산 참굴(Crossoskrea gigas)이 제2중간숙주의 하나일 것으로 추정하고 신안군 유행지에서 참굴을 채집한 후 gniulophallid metacercariae에 감염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조사한 참굴 50마리 모두에서 glrnnophallid metacercariae가 발견되어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참굴 1마리 당 평균 610개(개체당 2-4.792개)의 감염량을 보였다 충체의 종은 추후 마우스 감염 실험을 통하여 G. seoi로 동정할 수 있었다. 유충(metacercariae)은 낭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구흡반으로 참굴의 외투막(mantle surface)을 흡착하고 있었으며, 참굴의 절편 표본에서 참굴큰입흡충 속의 특징 중 하나인 복측흡(ventral pit)이 관찰되며. 복흡반 전방에 근육질이 아닌 생식공이 있고 저정낭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저정낭은 대부녁의 충체에서 단낭성(mono-sac)이어서 유일한 다른 종인 G. toiensis가 이낭성(bipartite) 저정낭을 가진 것과는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참굴이 G. seoi의 제2중간숙주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한 인체 감염원일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 흡충의 우리말 이름을 참굴큰입흡충으로 제안한다.

  • PDF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II) 참굴의 산지별 특성 (BIOLOGICAL STUDIES ON OYSTER CULTURE(II) Morphological Charaeteristics of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 유성규;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65-75
    • /
    • 1973
  • 1972년 5월과 10월에 서해안의 대천과 부안, 남해안의 남성, 차면, 이명 및 추봉 그리고 동해안의 포항의 각 양식장에서 양식하고 있는 참굴을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안측 굴은 소형이고, 동해안측으로 갈수록 대형이었고, 또 간석지산 굴은 대체로 소형이었으나 수심이 깊은 데 것은 대형이었다. 2. 추봉산과 포항산은 장형굴에 속하나, 부안, 남성, 이명 및 차면산은 서로 거의 유사한 단형굴에 속한다 3. 수심이 다 같이 깊은 곳에서 살던 것이라 하더라도 수하 양식굴인 추봉산은 바닥 양식굴인 포항산보다도 껍데기가 가벼웠다. 4. 각고에 대한 각장은 산지에 따라 변이가 아주 심해서 각 산지별 상호간에 모두 유의의 차가 있었다. 5. 껍데기 무게에 대한 살무게인 비만은 10월보다 5월이 좋았고, 산지별로는 추봉산치 좋았고 포항산은 나빴다. 그리고 추봉산은 5월과 10월의 차이가 적었지만 포항, 차면, 이명 및 부안산은 비교적 그 차이가 크다. 6. 살무게에 대한 건조살무게의 경사값은 10월보다 5월이 크고 산지별로는 추봉, 포항 및 대천산이 크며, 이명, 차면 및 남성산이 작다. 즉, 수분 함량은 5월보다 10월이 많았고, 산지별로는 이명, 차면 및 남성산이 많았고, 추봉, 포항 및 대천산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