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yster mushroom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8초

버섯 푸른곰팡이균에 대한 길항세균의 항균활성과 세포외 분비효소 생성능 (Antifungal Activity and Exoenzyme Production of Several Bacteria Antagonistic to Trichoderma spp. Causing Green Mold Disease)

  • 현성희;민봉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7-151
    • /
    • 2002
  • Trichoderma속 균주는 느타리버섯 재배 시 발생되는 버섯 푸른곰팡이병의 주요 원인균이다. 후발효된 버섯 배지로부터 버섯 푸른곰팡이병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길항세균(KATB 99121, KATB 99122 및 KATB 99123)을 분리하였다. 분리세균 중 KATB 99121은 T. harzianum(4균주). T. viride 및 T. hamatum과 동물병원성 곰팡이 Candida albicans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 활성이 관찰되었고, 특히 세균의 배양상등액 접종실험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KATB 99121은 전분, 단백질 및 섬유소를 분해하는 효소를 세포외로 분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KATB 99122와 KATB 99123은 전분, 단백질, 섬유소 분해효소는 물론 지질 분해효소도 분비하고 있었으며 ${\beta}$-glucosidase활성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이들 길항세균들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미생물 살균제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저장기간에 따른 Pleurotus ostreatus 톱밥 종균의 생산성 비교 (Comparison in Produ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Sawdust Spawn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이윤혜;지정현;김영호;유승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19-321
    • /
    • 1999
  • 느타리버섯 종균을 배양 후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잡균오염을, 배양적 특성 및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종균의 잡균오염율은 저온저장은 90일까지 0%였으며 상온저장은 60일에 6.3%였으며 120일에는 86.5%로 증가하였다. 저장 종균을 병재배용 배지에 접종하여 병재배 하였던 바, 균사 배양일수는 상온저장 종균은 $21{\sim}26$일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길었으며, 저온 저장종균은 $21{\sim}22$일로 별 차이가 없었다. 저장 종균의 초발이 소요일수는 저장 기간이 길수록 길었으며, 저온저장 종균이 상온 저장 종균보다 $1{\sim}2$일 늦었다. 저장 종균 접종 후 수확까지의 재배기간은 상온저장종균이 $34{\sim}376$일, 저온저장종균이 $32{\sim}33$일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자실체 생중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으나 상온저장 종균은 120일 처리에서 높았다. 배양율과 잡균오염율은 상온, 저온저장 모두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이를 감안한 버섯 생산성은 저온저장 종균이 상온저장 종균보다 많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 PDF

피부노화 억제활성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 신지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68-572
    • /
    • 2001
  • 항산화 및 미백효과가 있는 생약재을 탐색하기 위해 생약재 70% 에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효과,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 및 tyrosinase 억제효과를 검색하였다. 70% 에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 효과는 10$\mu\textrm{g}$/m1의 농도에서는 연교>홍화씨 >오미자>운지, 감초 순으로 나타났고 100$\mu\textrm{g}$/m1의 농도에서는 연교>운지 >감초>오미자>상지 >홍화씨 순으로서 연교의 전자공여효과가 가장크게 나타났다. 또한 l$\mu\textrm{g}$/ml에서 연교는 37%, 홍화씨는 31% 정도로서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상당한 전자공여효과를 나타냈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쑥>감초>생지황>상지 순으로서 쑥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tyrosinase 활성의 저해효과는 상지> 쑥> 느타리버섯 순으로서 상지가 가장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악 수 있었다. 위의 결과는 연교, 쑥 그리고 상지 등이 피부노화 억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신선 농산물의 마스터 포장 시스템 (Master Packaging System of Fresh Produce)

  • 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14
  • 신선 농산물의 필름포장은 적정의 저온저장 시에는 적정 변형기체조건 유지로 품질유지가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판매유통단계에서는 적정조건의 유지가 어려워 품질손실이 발생한다. 저온저장과 판매유통단계에서 농산물 주위에 적정 변형기체(modified atmosphere, MA)조성을 유지하는 개별(1차)포장/2차 포장의 결합 및 해체 개념을 설계한 마스터 포장 시스템이 최근에 제안되고, 단감, 큰느타리 버섯, 밤, 딸기에 대해서 적용된 바 있다. 온도에 따라 다른 농산물의 호흡과 포장의 기체이동 현상의 상호관계를 이용한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개념을 체계화하고, 적정 MA 유지를 위한 설계변수의 조합을 살펴보았다. 바람직한 포장기체조성을 형성 유지할 수 있는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수학적 모델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이점과 함께 적용을 위한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적용 확대를 위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역잡록"의 조리가공에 대한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Cooking in 'The Ryuk-Jab-Rok')

  • 김성미;이성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2-17
    • /
    • 1993
  • This book is named 'The Ryuk-Jab-Rok' because it was written in the last page of 1820's almanac. This book is written purely in Korean and has not been published yet. This book comprises twenty eight items, among which there are eight items of vegetable preserving method, ten items of Jook preparation methods(a kind of cereal soup), nine items of Pyun-Myun methods(a kind of rice cakes and noodles) and Yak-Bab(a kind of spiced rice). In vegetable preserving method, the eggplant, the cucumber and a songi mushroom were preserved with the drying method., A radish, a sorojangii, and the root of white cabbage were used with the cold temperature preservation. A garlic was dried after salting. The sprouts of DooRub, which were coming in the hot room, were used. In the Jook preparations, there were five animal materials which were lamb, chick, crudian, oyster and abalone. In nine Pyun-Myun methods, Jap-Gua-Sil was illegible because the letters were not clear. Among eight items, the stick rice was used in four cases, the regular rice in two cases. The ground pine nuts, honey and the Chinese date were used most ofter. And the sesame salt and the chestnut were next. The analysis of the terms I this book revealed that 26 items were used for cooking processes. And it also showed us that there were seven kind of cutting procedure and eight kinds of heating procedure. The shapes and size of foods were revealed at only three places in all items. The one-chi(chi ; abut three cm) and three-Ja(Ja ; about thirty cm) which the terms represent the length were revealed twice and once respectively in this book. In the taste description, 'the good', the most common word, was used in seven times, and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introduce case. The measuring unit is hard to revive since the measurements were taken by the container, which were Jong-Ja, Sabal and Tang-gii, then in use. Fifteen kinds of containers and cookers were used for preparing foods. And all of them are now I use.

  • PDF

느타리버섯균의 핵의 동태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균사분화중의 성상체 미세소관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Aspects of Nuclear Behaviors of Pleurotus ostreatus - Behaviors of Astral Microtubules During Hyphal Development -)

  • 윤권상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1-7
    • /
    • 1996
  • 느타리버섯균의 이핵체 체세포 균사에서 분열전 및 분열후의 핵과 분열중의 핵을 화학고정방법과 동결교체방법을 이용하여 균사분화과정중의 성상체 미세소관의 미세구조적 동태를 조사하였다. 많은 수의 성상체 미세소관들이 이동중인 분열전의 핵들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분열전의 핵이 이동하는 시기에 SPB의 분리가 진행됨이 발전되었다. 분열전 이동중의 핵과는 대조적으로 SPB의 분리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분열중의 이거나 분열이 끝난 핵에서는 성상체미세소관이 덜 발달되어 있었다. 활발히 이동할 것으로 추측되는 분열후의 핵에서 핵과 연관된 성상체미세소관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음은 특이한 점이다. 분열중의 모든 핵에서 성상체미세소관이 SPB에서 뻗어나오며 인은 핵막에 남아있다. 핵의 분열과 핵의 이동 및 SPB의 분리와 관련된 성상체미세소관의 기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Fruitbody Morphology on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n Pleurotus ostreatus

  • Jang, Kab-Yeul;Jhune, Chang-Sung;Park, Jeong-Sik;Cho, Soo-Muk;Weon, Hang-Yeon;Cheong, Jong-Chun;Choi, Sun-Gyu;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45-150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P. ostreatus grown in the artifi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humidity, temperature, ventilation, and watering. Oyster mushroom, which was cultivated on artificial environmental condition, was shown to have different morphology of fruitbodies. The optimum $CO_2$ concentration for good morphology of P.ostreatus was 0.3%. But most fruitbody showed the morphologically low qualities in more than 0.5% of $CO_2$ concentration. In the humidity in excess of 80% at $13{\sim}16^{\circ}C$, the best morphology of P. ostreatus was investigated. The growth of fruitbodies of P. ostreatus in the ventilation system was good at the wind velocity ranging from $0.2{\sim}0.5$ fpms and expouring type. In other conditions, P. ostreatus generally showed the morphology closing to malformation.

가돌리니움 이온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의 농도의존적 억제 (Dose-dependent suppression of tolaasin-induced hemolysis by gadolinium ion)

  • 허정훈;윤영배;김영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69-374
    • /
    • 2021
  • 느타리버섯의 갈반병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생성된 톨라신 및 이의 유사 펩티드 독소에 의해 발생한다. 톨라신 펩티드들은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고 버섯의 자실체 구조를 파괴한다. 적혈구가 파괴되는 용혈은 톨라신의 세포독성에 의해 일어난다. 톨라신의 용혈활성은 Zn2+ 및 Ni2+과 같은 금속 이온에 의해 저해된다. 가돌리니움 이온을 첨가하였을 때, 톨라신에 의한 용혈작용에서 1 mM 이하의 농도에서는 용혈작용이 증가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저해되는 이중 효과가 나타났다. 가돌리니움 이온에 의한 톨라신 활성저해 기작은 다른 양이온들에 의한 저해기작과 다른 것으로 보인다. 가돌리니움 이온은 음전하를 갖는 막지질들에 결합하여 지질막의 측압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톨라신 이온통로의 여닫힘에 직접 작용하기 보다는 막 구조의 단단함을 증가시켜 막에 대한 톨라신 이온통로의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 샤브샤브 밀키트의 원료별 미생물 오염도 분석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the Raw Materials of Home Meal Replacement Shabu-Shabu Meal Kit Distributed in Markets)

  • 전은비;김지윤;최만석;최승호;방현조;박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75-38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중인 가정간편식 샤브샤브 밀키트를 원료별(쇠고기, 숙주, 쌈추, 새송이버섯, 배추, 단호박)로 구분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세균수(total aerobic bacteria), 대장균군(coliform)/대장균(E. coli), 효모 및 진균류(fungi),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및 바실러스세레우스(B. cereus)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살모넬라(Salmonella spp.)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 monocytogenes)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샤브샤브 밀키트 원료의 일반세균수(총균수)는 3.98-6.50 log CFU/g로 검출되었다. 특히, 쇠고기의 경우 6 log CFU/g 이상의 균이 검출되었으며 숙주, 단호박, 배추의 경우 5 log CFU/g 이상의 균이 검출되었다. 진균류 (곰팡이/효모)의 오염도는 2.78-3.52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일반세균수와 마찬가지로 쇠고기에서 3.28 log CFU/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기타 신선야채류의 경우 2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6가지 원료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S. aureus는 쇠고기와 쌈추를 제외한 숙주, 배추, 새송이버섯, 단호박에서 1.33-1.71 log CFU/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쌈추를 제외한 모든 원료에서 1.15-2.01 log CFU/g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L. monocytogenes는 새송이버섯을 제외하곤 모든 원료에서 25-50%의 양성검출을 보였고 Salmonella는 모든 원료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종합적 분석시, 쇠고기 원료에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기준치를 초과하였고 황색포도상구균과 바실러스세레우스는 대부분의 원료에서 식품안전을 위협할 만한 위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검출되었고 저온성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 역시 일부 원료에서 양성을 보였기 때문에 본 제품의 원료별 생산단계에서의 살균·소독의 적절한 공정과 섭취시 충분한 열처리를 통해 잔존미생물을 사멸하는 것이 긴요하다. 또한 조리기구 및 조리 종사원 손에 의해 최종 식품을 공정하면서 미생물이 전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종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염된 접촉면에 의한 교차오염을 최소화하며, 개인위생수준의 개선, 조리기기의 분리사용과 세척 및 소독을 통한 조리기기의 청결유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의 미생물오염수준 자료는 가정간편식밀키트의 미생물위해평가(Microbial Risk Assessment)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조리법에 따른 버섯류의 엽산 리텐션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folate retention in selected mushrooms)

  • 박수진;박선혜;정혜정;이준수;현태선;천지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03-1112
    • /
    • 2017
  • 엽산은 체내에서 아미노산과 핵산의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이며, 세포 분열과 성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유아기, 성장기, 임신기 및 수유기에 높게 요구되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버섯류는 다양한 영양 및 생리활성 성분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국내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실제로 섭취하게 되는 조리된 버섯류의 엽산 성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4가지 표준조리법(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에 따른 6종 버섯(백만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목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의 엽산 함량 변화를 분석하고 조리 전 후의 중량 변화를 고려한 가공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엽산 잔존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의 국가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로의 활용을 위하여 엽산 분석에 사용된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을 검증하고 내 외부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생버섯 6종의 엽산 함량은 버섯의 종류에 따라 $6.04-64.82{\mu}g/100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느타리버섯 > 팽이버섯 > 표고버섯 > 양송이버섯 > 백만송이버섯 > 목이버섯) 이는 조리법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목이, 표고, 및 느타리버섯은 네 가지 모든 조리법에서 엽산 함량이 각각 22-48, 2-31, 17-56%로 감소된 반면, 백만송이 버섯은 모든 조리법에서 17-90% 증가되었다. 한편, 양송이 버섯과 팽이버섯의 경우, 삶기에서는 생버섯에 비하여 엽산 함량이 각각 16%와 34% 감소한 반면, 튀기기에서는 각각 24%와 465%의 증가를 나타냈다. 조리 전후의 버섯의 중량 차이는 조리수를 이용한 삶기에서 가장 적었으며 고온에서 조리되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리법에 따른 무게 변화를 고려한 가공계수를 고려하여 엽산 잔존율을 계산한 결과, 백만송이버섯을 제외한 5종 버섯에서는 대부분의 조리법에서 100% 이하의 잔존율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삶는 조리법에서 엽산 잔존율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튀기는 조리법에서는 비교적 잔존율이 높게 유지되었다.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을 검증한 결과 우수한 정확성과(회수율 100.4%) 정밀성(CV 3% 이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가 진행되는 전 기간 동안 품질관리시료를 분석한 결과가 QC chart 관리수준 범위($172.58-188.20{\mu}g/100g$) 이내에 들어가 모든 분석이 관리하에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FAPAS PT 시험에서 trienzyme extraction-L. casei 분석법이 z-score=-0.5를 얻어 분석 숙련도의 우수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 결과는 본 연구에서 생산된 생버섯 및 조리 버섯의 엽산 분석 데이터의 신뢰도가 우수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는 국가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