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yster Industry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3초

화이트소스를 첨가한 굴(Crassostrea gigas) 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nned Oyster Crassostrea gigas in White Sauce)

  • 차장우;이수광;박선영;강상인;강영미;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91-498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canned oyster Crassotrea gigas in white sauce (CO-WS).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O-WS was 74.1% water, 10.4% crude protein, 4.9% crude lipid, and 3.1% ash. The energy converted based on these percentages was 112.2 kcal/100 g, while the salinity was 1.1 g/100 g. In a taste-intensity test using an electronic tongue, the CO-WS showed higher umami taste intensity than the control (canned oyster in commercial white sauce), whereas the intensities of the other tastes (salty, sour, bitter, and sweet) were lower. Because the odor intensity was low, CO-WS was considered to have a relatively weak odor and showed no difference in hardness compared to the control. Sensory evaluation of CO-WS by a panel yielded higher scores for appearance, taste, and texture, and a lower score for flavor compared to the control.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CO-WS was 8.91 g/100 g, and its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leucine. With respect to mineral content, CO-WS had higher calcium and lower zinc contents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WS has excellent nutritional value.

해양 교란생물로 인한 굴과 우렁쉥이 양식장의 피해 현황 조사 (Monitoring and Impact of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on an Oyster and Sea Squirt Farm)

  • 박주언;이택준;김동현;김필재;김동건;신숙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77-683
    • /
    • 2017
  • The Korean aquaculture industry was generally began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increased. Now, the number of households is about 7,068 and the scale of an aquaculture farm is about 248,014 ha; the value of all production in the industry is estimated to be about 1602.2 billion won. The aquaculture industry is very valuable and important for future food resources. However, the aquaculture industry was damaged by several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The Ascdiella aspersa colonized on the shell of scallop and then scallops were detached from rope. The patterns of damage in the aquacultures were observed in Tongyeong (oyster), Geojedo (oyster), and Gangneung (sea squirt) in June, 2017, as well as in Tongyeong (oyster) in November, 2017 by SCUBA divers. The species Halichondria bowerbanki, Bugula neritina, Mytilus galloprovincialis, Balanus amphitrite, Ascidiella aspersa, Ciona intestinalis, Didemnum sp, Styela plicata in Tongyeong, M. galloprovincialis, A. aspersa, C. intestinalis, D. vexillum, S. plicata in Geojedo, and M. galloprovincialis in Gangneung were all usually found in their farms. The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 causing organisms gave rise to a reduced number of aquaculture products.

Studie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Oyster Farms in Pukman Bay, Korea: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from Food Availability

  • Jeong, Woo-Geon;Cho, Sang-Man;Lee, Sang-J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118-129
    • /
    • 2009
  • To develop a sustainable management model for oyster farming in Pukman Bay, Korea, we estimated the carrying capacity for oyster farming using food availability data. Optimal culture densities were calculated to be 124-133 individuals per unit flux area ($m^2$) and 310-330 individuals per string. The present annual production is approximately 1,038 tons/year, which is 87% of the estimated maximum yield of 1,193 tons/year. Therefore, considering annual fluctuations and a critical buffer to reduce ecological impacts, the current level is within optimal conditions. During periods of increased water temperature, energy demand was largely met by high primary production. The food supply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harvest season approached, and 10 out of 21 oyster farms had a deficient food supply for at least 1 month. Therefore, these farms (39% of the farms within the bay) exceeded optimal densities.

사천만 양식 굴의 유통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d Oyster Marketing in Sacheon Bay)

  • 박봉룡;강종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53권4호
    • /
    • pp.069-078
    • /
    • 2022
  • This study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d oyster marketing in Sacheon B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ULDAE aquaculture is a unique production method of Sacheon Bay. Second, oysters in Sacheon Bay were low in production, but the price was more than 70% higher than in other producing areas. Third, profit is 12.5% higher and rate of return was 179.8%. Fourth, there were more out-of-market sales than other than other producing areas, and it is a bidding method. Fifth, the marketing cost was higher than the longline hanging aquaculture; however, the advantage of price offseted this point. Although the Sacheon Bay Oyster aquaculture is small,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producing area with high profitability and a unique marketing form from other regions. Although the Sacheon Bay Oyster culture is small,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a producing area with high profitability and shows a unique distribution form.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Semi-Dried Oyster)

  • 김혜숙;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75-1483
    • /
    • 2006
  • 현재 남해안 일대에서 과량 생산되고 있는 양식산 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영양과 건강 기능성을 함유하면서 신세대의 기호에 맞는 굴 조미 건제품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저장성 있는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의 제조를 위하여 동결 굴을 해동한 다음 굴 특유의 비린내를 차폐하기 위하여 무즙($5{\pm}3^{\circ}C$, 2시간)에 침지, 수세 및 탈수하고 5분동안 증자하였다. 이어서 탈수(10분) 및 가열$(105^{\circ}C)$한 다음 조미액(간장 33.6, 밀가루 7.2, 물 40.5, 솔비톨 8.8, 미림 9.9)에서 5분 동안 침지한 후 열풍건조기($45^{\circ}C$, 6시간)에서 건조처리 하였다. 그리고 1% sodium alginate 용액에 침지, 건조($45^{\circ}C$, 1시간)한 다음 레토르트 파우치 필름에 충전, 밀봉한 후 저장성 부여를 위하여 $F_0$ value가 5.4분이 되도록 살균하여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된 코팅 및 조미처리 굴 가공품은 대조 제품(무코팅 및 무조미 건조 굴 가공품)에 비하여 수분 및 조회분이 약간 높았고, 조지방 및 조단백질은 낮았으며, 색조는 어두우면서 경도는 높았다. 코팅 처리 조미 반건조 굴제품은 또한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으면서 곡류 제한 아미노산인 lysine과 n-3계 지방산의 조성비가 높았다.

굴 효소 가수분해물과 분자량 분획물의 섬유아세포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s of Enzymatic Oyster Hydrolysate and Its Fractions on Human Fibroblasts)

  • 김현아;박시향;이수선;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45-1652
    • /
    • 2015
  • 해양생물 유래 피부건강 기능성의 소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굴 단백질을 Protamex와 Neutrase로 가수분해 한 후 생성된 굴 가수분해물 펩타이드의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굴 가수분해물은 약 7.9%의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하며 urea, taurine, alanine, glycine 등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은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피부세포인 CCD986sk에 대한 독성은 없었다. 분획물의 수율은 1,000 Da 미만이 40%였으며, 5,000 Da 미만이 60.4%를 차지하였다. 1,000~3,000 Da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procollagen의 생성능 및 MMP-1 효소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과 5,000 Da 미만의 분획물은 주름 개선을 위한 피부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화장품 등의 제품에 응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양식산 굴 첨가가 된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d Oyster Powder on Food Quality of Soybean Pastes)

  • 김진수;허민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08-215
    • /
    • 2004
  • 양식산 굴을 동결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한 다음 된장에 첨가하여 양식산 굴 첨가 된장의 제조를 시도하였으며, 아울러 이의 특성에 대하여 살려보고자 하였다. 시판 된장에 굴 분말을 첨가하는 경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굴 첨가 된장의 수분은 감소를 하였고, 조단백질 및 아미노질소 함량은 증가를 하였으며, 염도 및 산도는 거의 변화 없었다. 또한 굴 분말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굴 첨가 된장의 색조는 짙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와 관능검사로 미루어 굴 첨가 된장의 제조를 위한 최적 굴 첨가량은 시판 된장에 대하여 9%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한 굴 첨가 된장은 시판 된장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약 2% 정도 많았고, 무기질의 경우 칼슘과 인의 비율이 1:2-2:1의 범위로 개선되었으며, 건강 기능성 지방산으로 대표되는 EPA 및 DHA이 검출되었다. 한편 굴 첨가 된장의 맛을 지배하는 유리아미노산 중 대표되는 맛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시판 된장에 굴 분말을 9%정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경우 된장의 영양성 단백질 및 건강 기능성 지질의 강화, 뿐만 아니라 다소의 맛 개선으로 된장 이외에 엑스분의 추출을 위해 별도의 굴과 같은 해산물을 첨가하기 위한 노력을 단축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굴 세척액을 이용한 인스턴트 분말 수프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of Instant Powdered Soup Using Oyster Wash Water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34-539
    • /
    • 2001
  •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인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굴세척액을 이용한 인스턴트 분말수프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대조구인 굴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는 열수추출물 분말에 식염, 분말크림, 유대체 분말, 밀가루, 대두분말, 전분, 글루코스, 양파가루의 일정량씩을 각각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굴세척액 분말수프는 열수추출물 분말 대신에 세척액 분말을 첨가하고, 기타 첨가물의 경우 굴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와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분말 수프인 세척수 분말 수프는 탄수화물이 71.1%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조단백질(10.8%), 조회분(8.1%) 및 조지방(3.5%)의 순이었으며, 대조구인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와 차이가 없었다. 굴세척액 분말 수프는 휘발성염기질소, 생균수, 대장균군 및 수분활성이 각각 29.4 mg/100g, $4.6{\times}10^4\;CFU/g$, <18 MPN/100 g 및 0.246으로 위생적으로 안전한 인스턴트 식품이었다. 굴통조림 가공부산물 유래 분말수프의 주요 지방산은 16 : 0(31.5%), 18 : 0(10.4%) 및 18 : 1n-9(27.4%) 등이었고, 단백질의 화학가는 59.4%이었으며, 주요 무기질은 철이었다. 관능평가 결과 대조구인 열수추출물 분말 수프에 대하여 세척수 분말 수프의 경우 점도, 색조, 향 및 맛과 같은 모든 항목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검사 결과로 미루어 보아 굴통조림 가공부산물인 세척수는 분말화하여 배합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우수한 인스턴트 분말 수프의 소재로 이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기름담금 염장발효 굴의 가공을 위한 최적 염장발효조건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ocessing of the Salt-Fermented Oysters in Olive Oil)

  • 김석무;강수태;김영아;최동진;남기호;오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90-1397
    • /
    • 2004
  • 우리나라 전통수산발효식품 중의 하나인 굴 젓갈을 소재로 하여 장기간 상온저장이 가능하며, 생굴의 풍미를 지닌 기름담금 염장발효 굴 제품을 가공하기 위한 최적 염장발효 조건과 염장발효 중의 성분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염장발효 중 식염의 침투는 염장 초기에 완료되었으며, 아미노질소량은 저온숙성 20일째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일정한 함량을 유지하였고, 굴 자숙농축액을 첨가한 시료가 아미노질소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염장발효 굴의 경도는 숙성 10일째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육 조직의 일부가 가수분해됨에 따라 점차 육질이 연화되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장직후의 생균수는 무염배지 및 2.5% 가염배지에서 각각 1.0∼1.1${\times}$$10^2$CFU/g, 6.7${\times}$$10^2$CFU/g이었고, 저온숙성 중 무염배지에서는 생균수가 전반적으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2.5% 가염배지에서는 숙성 15일째까지 생균수가 뚜렷이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장발효 굴은 맛과 냄새 및 종합적 기호도 면에서 저온숙성 15∼20일째에 가장 좋았으며, 굴 자숙농축액을 첨가하여 염장발효시킨 시료가 특히 맛과 향기 면에서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기름담금 염장발효 굴 제품을 가공하기 위한 최적 염장발효 조건은 탈각한 생굴을 3% 식염수로서 수세하여 물 빼기를 한 다음, 포화식염수와 굴 자숙농축액의 2:1 혼합용액에 대해 1% sodium erythorbate와 0.2% polyphosphate를 각각 첨가한 염장액으로 물간하여 5$\pm$1$^{\circ}C$에서 15일간 발효 숙성시키는 것이 가장 좋았다.

한국산 및 일본산 참굴 종패의 양식과정 중 일반성분의 변화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Oysters (Crassostrea gigas) Cultured with Korean and Japanese Spats)

  • 정보영;문수경;정우건;이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63-567
    • /
    • 1999
  • 한국산 및 일본산 참굴 종패의 성장과정 중 영양 기능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들 양자를 동일 양식장에서 수하기부터 수확기까지 월별로 그들의 일반성분 조성과 a-Toc 함량을 정량하였으며, 그리고 육중량 증가량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함량 (건량기준)은 산란기로 알려진 8월과 9월에 약 $70\~72\%$ (한국산), $75\~76\%$ (일본산)로서 양식과정 중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탄수화물 함량 (건량기준)은 단백질의 함량과 반대로 이 시기에 최저치를 나타냈으며, 수확기 (11월 이후)에 풍부하였다. 따라서 양자간에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r=-0.94, p<0.01). 지질 함량은 한국산 및 일본산 모두에서 산란기인 8월에 약 $1.4\~1.5\%$로서 최저치를 나타냈으나, 전자는 10월에 지질 함량 및 육중량이 또 한차례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산란의 영향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일본산의 경우는 8월 이후 지질 함량 및 육중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수확기에 개체당 육중량은 한국산의 경우 4.2$\~$4.8g 이었으나, 일본산의 경우는 7.5$\~$8.3 g으로 전자가 후자에 비하여 약 2배의 육중량을 나타내었다. 개체당 육중량과 지질 함량 사에에는 $y=0,2081e^{1.5696x}$ (r=0.8856, p<0.001)로서 지수함수적으로 비례하였다. 따라서 참굴 개체당 모든 영양성분 함량은 일본산의 경우가 한국산에 비하여 약 2배나 많이 함유하므로, 전자가 우수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