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izer

검색결과 612건 처리시간 0.032초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nitrifying biofilms by 16S rRNA targeted probe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 한동우;김동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2-285
    • /
    • 2001
  • 질산화 생물여과 시스템 내 생물막 안에 존재하는 ammonia oxidizers 및 nitrite oxidizers의 군집 구조 및 공간적 분포를 조사하였다. FISH 분석 결과 생물막 내 숫적으로 우점종을 이루는 미생물은 ammonia oxidizer인 Nitrosomonas spp.로 나타났으며 nitrite oxidizer 인 Nilrospira spp.에 비해 3 ${\sim}$ 5 정도 더 많이 존재하였다. 이는 실협 기간동안 완전한 질산화를 보였지만 반응기가 2 년 이상 nitrite 축적을 위해 높은 free ammonia 농도 빛 낮은 용존 산소 상태에서 운선되어 nitrite oxidizers에 저해를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FISH와 결합된 CLSM 관찰 결과 생물막 전체에 걸쳐 ammonia oxidizer가 분포하는 반면 안쪽으로 갈수록 nitrite oxidizers가 분포함을 보였다. 이는 폐수의 ammonium 을 생물막 내 ammon ia oxidizer가 먼저 nitrite로 산화시키고 이를 nitrite oxidizers가 곧바로 nitrate로 산화시키기 때문이다.

  • PDF

발사체 산화제 터널형 배관 성능시험 (Performance Test of an Oxidizer Tunnel-Type Pipe for Launch Vehicle)

  • 길경섭;한상엽;고현석;신동순;조인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73-277
    • /
    • 2009
  •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발사체용 산화제 터널형 배관은 액체산소를 터보펌프까지 전달하는 장치로 산화제 탱크 하부에 설치된 연료탱크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터널형 배관은 연료탱크를 우회하여 설치되는 우회 배관에 비해 무게가 절감되나 열전달 표면적이 커져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의 온도를 변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형 배관의 극저온 성능시험을 통하여 배관 특성 및 연료 탱크로의 열전달 현상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발사체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순 산소 연소기 개발을 위한 노즐직경변화에 따른 화염길이 특성 (Flame Length Characteristic for Varying Nozzle Diameter to Develop Oxy-Fuel Combustor)

  • 김호근;김용모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9권7호
    • /
    • pp.861-867
    • /
    • 2005
  • In order to develop oxy-fuel combustor, the Flame length characteristic of $CH_4$ with oxidizer of air and oxygen has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for tile nozzle diameters of 1.6mm, 2.7mm, 4.4mm and 7.7mm. The structure of $CH_4$ flame with oxidizer of oxygen was sharp in contrast with the $CH_4$ flame with oxidizer of air. The stability of $CH_4$ flame with oxidizer of oxygen was higher than $CH_4$ flame with oxidizer of air. In all $CH_4$ flames with oxidizer of air and oxygen, the flame length were dependent on the flowrate in laminar flame regime, and in turbulent flame dependent on the initial jet diameter. Using correlation equation of Delichatsios, the flame length has been expected exactly for $CH_4$ flame with oxidizer of air, but underestimated for $CH_4$ flame with oxidizer of oxygen. This paper proposed correlation equation of $CH_4$ flame with oxidizer of oxygen.

압력용기시험에 의한 EVA분진의 혼촉 위험성 평가 (Risk evaluation of EVA dust with oxidizer by a pressure vessel)

  • 이창우;김정환;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12
    • /
    • 1999
  • 석유 화학플랜트에서 다량 부산되는 가연성 고체인 EVA(ethyl vinyl acetate) 분진의 열적특성 및 산화제와의 혼촉 위험성을 조사하였다.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및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발열개시온도 및 중량감소를 조사하였고, EVA 분진의 위험성을 살펴보고자 몇 가지 대표적인 산화제와 혼합하여 무게비에 따른 압력용기 내에서의 혼촉 위험성을 조사하였다. DSC 분석 결과 EVA 분진의 열분해에 따른 발열 peak가 220~$250^{\circ}$ 부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TGA 분석결과 EVA 분진의 분해온도는 250~$500^{\circ}$ 범위이다. 압력 용기 시험에 의한 산화제와 EVA 분진의 혼촉 위험성은 오리피스 직경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며,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또한 승온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시료의 분해온도와 산화제의 분해온도가 비슷한 경우 혼촉 위험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승온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시료 및 산화제의 분해온도보다는 분자 내에 산소의 함유량이 높은 산화제가 혼촉 위험성이 크게 나타났다.

  • PDF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제어를 위한 산화제 유량제어 연구 (Oxidizer Flow Rate Throttling for Thrust Control of Hybrid Rocket)

  • 김계환;문근환;김진곤;문희장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3-98
    • /
    • 2014
  • In this study, control of oxidizer mass flow rate and verification of control system were performed for hybrid rocket thrust control application. Oxidizer flow control system consists of ball valve and stepping motor where gaseous oxygen was used for oxidizer at feeding pressure of 10, 20 and 30 bar.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the oxidizer mass flow rate showed a relatively linear increment as ball valve open angle increases regardless of feeding pressure.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oxidizer flow rate was kept almost constant at each sequence of flow control with ball valve during the 20 seconds of operation.

대용량 우라늄디옥사이드 펠릿 산화를 위한 공기산화로의 설계 고려사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onsiderations of Vol-Oxidizer for High-Capacity Uranium Dioxide Pellets)

  • 정재후;이효직;박병석;윤지섭;김영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1권4호
    • /
    • pp.472-482
    • /
    • 2007
  • This study deals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s for a high-capacity vol-oxidizer that can convert Uranium Dioxide pellets to $U_3O_8$ powder for up to several tens of kg HM/batch. We developed two versions of the $1^{st}$ vol-oxidizer and the $2^{nd}$ vol-oxidizer. Through an experiment with the $1^{st}$ vol-oxidizer, we deduced some problems concerning the design considerations such as the recovery rate of $U_3O_8$, the oxidation time of the Uranium Dioxide pellets, the exothermic reaction, and the powder dispersion. From the analyses of the drawbacks of the $1^{st}$ vol-oxidizer, we devised some novel items such as a folding type mesh, vibrators, and mixing blades. Also, we used the Stokes and Density ratio Eq. to determine the most reasonable flux for preventing a powder dispersio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1^{st}$ vol-oxidizer, we showed that both the permeability of the $U_3O_8$ powders and the oxidation rate of the Uranium Dioxide pellets of the $2^{nd}$ vol-oxidizer were remarkably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controlled well in spite of an exothermic reaction. Also, the powder was not entirely dispersed through the outlet of the voloxidizer.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work can help in the design of a novel and efficient vol-oxidizer with a higher capacity.

PE/$N_2O$ 하이브리드 로켓에서의 산화제 상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with the Variation of Oxidizer phase in Hybrid Rocket Motor using PE/$N_2O$)

  • 이정표;김기훈;김수종;김학철;문희장;성홍계;김진곤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6-5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추진 연소에서 산화제의 상(Phase)에 따른 연소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산화제는 $GN_2O$$LN_2O$를 사용하고 고체연료는 HDPE(High Density PolyEthlene)를 적용하여 연소실험을 수행하였고, 상에 따른 고체연료의 후퇴율과 압력선도, 연소효율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LN_2O$를 적용할 경우 액체 산화제의 기화에 필요한 잠열이 화염에서 발생되는 연소에너지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아 $GN_2O$를 산화제로 사용했을 때의 고체연료 후퇴율과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추진 성능효율이 낮아짐을 확인하였고, 액체 산화제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산화제의 기화에 필요한 열전달 증가로 인 해 연소 불안정성이 커짐을 확인하였다.

산화제 과잉 예연소기 인젝터의 분무 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Spray Characteristics for an Oxidizer-rich Preburner Injector)

  • 소윤석;양준호;한영민;최성만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8-64
    • /
    • 2007
  •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the oxidizer-rich preburner are investigated. This system is generally operated at an oxidizerfuel mixture ratio of 50. The spray quality and mixing performance are very important for safe combustion. To know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the oxidizer-rich preburner, we have designed various swirl injectors and measured droplet velocity and size by the PDPA system. The flow discharge coefficient of the fuel orifice is $0.12{\sim}0.21$, oxidizer orifice discharge coefficient is $0.16{\sim}0.28$. From the spray visualization, fuel nozzle spray angle is $15^{\circ}{\sim}25^{\circ}$, oxidizer nozzle spray angle is $65^{\circ}{\sim}85^{\circ}$ and combined spray angle is reduced $2^{\circ}{\sim}5^{\circ}$ compared to the oxidizer nozzle only case. From the PDPA measurement, droplet SMD is $175\;{\mu}m$ at 50 mm and $190\;{\mu}m$ at 100 mm of variant 1 combined case. The number concentration measurement revealed the reason of the droplet diameter increasement with distance. That is due to drop coalescence results from collision of drops which is occurred in dense sprays at a long distance from nozzle orifice exit.

  • PDF

Oxidizer modify에 의한 Metal CMP 특성 (Metal CMP Characteristics by Oxidizer Modification)

  • 박성우;김철복;김상용;이우선;장의구;서용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7
    • /
    • pp.727-730
    • /
    • 2004
  • In this paper, so 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xidizer for each metal film using the alumina-based slurry, we have peformed the W/Ti metal-CMP process by adding $H_2O_2$ as a representative oxidizer from 1 wt% to 9 wt%, respectively. As an experimental result, for the case of 5 wt% oxidizer added, the removal rates were improved and polishing selectivity of 1.4 : 1 was obtained. Also, we compared the effects of oxidizer or W-CMP process with three different kind of oxidizers with 5 wt% hydrogen peroxide such as $Fe(NO_3)_3$, $H_2O_2$, and $KIO_3$. Finally, atomic force microscope (AFM)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surface morphology and root mean square (RMS) roughness after CMP Process.

  • PDF

하이브리드 로켓의 산화제 종류에 따른 고체연료 연소특성 비교 (Comparison of Combustion Characteristic with GN2O and GOX as Oxidizer in Hybrid Rocket)

  • 이정표;조성봉;김수종;윤상규;박수향;김진곤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23-227
    • /
    • 2006
  •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에서의 산화제 종류에 따른 연소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제는 $GN_2O$와 GOX를 사용하고, 고체연료는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해 연소시험을 하였다. 산화제 종류에 따른 연소특성은 O/F 비에 따른 화염온도로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GN_2O$가 GOX보다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산화제로 효율이 좋음을 확인하였다 산화제의 유량은 직경이 다른 여러 개의 쵸킹 오리피스로 제어했고, 산화제 공급 유량범위는 $0.0138{\sim}0.0427kg/sec$ 이었다. 산화제 종류에 따른 연소특성을 표현하는 실험식은 고체연료의 질량유속으로 나타냈고, 이는 물질전달 수와 산화제의 질량유속으로 얻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