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ative stability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31초

상이한 조건에서 저장한 버터로부터 생성된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양적변화 (Quantitative Changes of Cholesterol Oxides Formed in Butter under Varied Storage Conditions)

  • 장영상;양주홍;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67-773
    • /
    • 1990
  • 버터 중 콜레스테롤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저장조건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버터를 포장한 것과 포장하지 않은 것을 저온과 상온에서 암소와 광원(형광등 및 자외선등)으로 조사하면서 각각 일정기간 저장하는 동안 생성되는 콜레스테롤 산화물을 GC-MS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포장한 버터를 상온과 저온의 암소에서 같은 조건에서 형광등과 자외선등으로 조사하면서, 각각 8주간 저장하였을 경우 콜레스테롤 산화물은 생성되지 않았다. 포장하지 않은 버터를 상온에서 자외선등으로 조사하였을 때는 저장 2, 4, 6, 8주에 다같이 $7{\alpha}-hydroxycholesterol,\;7{\beta}-hydroxycholesterol$, cholesterol ${\beta}-epoxide$, cholesterol ${\alpha}-epoxide$, cholestane-triol이 분리되었다. 이들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초기생성량은 서로 상이하였고, 저장 2주째 이들 산화물의 양은 각각 34.2, 14.0, 12.1, 1.3, 0.5 ppm이었던 것이 저장 8주 후에는 각각 68.1, 29.1, 56.3, 8.5, 4.0 ppm으로 증가하였고, 3.5-cholestadien-7-one은 다만 8주 후에는 혼적량이 검출되었다. 같은 조건에서 형광등으로 조사하였을 때는 자외선 조사 때 보다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생성량이 적었다.

  • PDF

요소 이용 포화도 저감을 통한 동.식물성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 개선 (Improvement of Low-temperature Fluidity of Biodiesel from Vegetable Oils and Animal Fats Using Urea for Reduction of Total Saturated FAME)

  • 이영화;김광수;장영석;신정아;이기택;최인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119
    • /
    • 2014
  •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과 산화안정성은 주로 녹는점이 높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함량에 의해 좌우된다. 본 연구는 동물성 유지인 우지 유래 바이오디젤에 요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함량을 저감시켜 동물성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 개선과 포화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함량이 저감된 동물성 바이오디젤을 식물성 바이오디젤에 혼합함으로써 식물성 바이오디젤(유채유, 폐식용유, 대두유 및 동백유)의 저온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연구결과, 동물성 바이오디젤의 포화도 저감을 통해 저온필터막힘점을 최대 $-15^{\circ}C$까지 낮추었고, 포화도가 저감된 동물성 바이오디젤을 식물성 바이오디젤과 혼합함으로서 식물성 바이오디젤의 저온필터막힘점을 $-10{\sim}-18^{\circ}C$까지 낮출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 식물성 유지 유래 바이오디젤의 저온특성을 개선함으로써 국내 겨울철 환경조건에서 연료유로 적용 가능성을 증대할 것으로 기대한다.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붉나무 추출물의 몇가지 synergist 첨가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 장영상;최웅;신동화;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53
    • /
    • 1992
  • 항산화 효과가 화인된 붉나무 에탄올 조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에 ascorbic acid, citric acid, tocopherol, phosphoric acid, lecithin, phytic acid 등을 혼합, 괌유, 돈지, 대두유에 넣어 산화방지 효과를 Rancimat test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팜유에 붉나무 조추출물과 인산을 각각 200ppm 첨가시, 유도기간은 무첨가구에 비해 2.89배 증가했으며. 붉나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 200ppm과 인산 200ppm을 첨가했을 때 유도기간은 4.18배, 같은 조건에서 chloroform 분획물은 2.48배의 유도기간 연장 효과가 있었다. 돈지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 600 ppm과 ${\delta}-Tocopherol\;200ppm$을 첨가한 경우 13.41배의 산화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붉나무 분획물과 synergist를 팜유와 돈지에 각각 200ppm색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연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한 결과, 팜유의 경우 저장 27일후 무첨가구의 과산화물가는 98.3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인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8.9meq/kg, 9.14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 하였으며, 이에따라 산가와 TBA 가도 무첨가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돈지에서의 과산화물가는 무첨가구가 161.1 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tocopherol을 첨가한 처리구는 각각 20.0meq/kg, 10.7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산가나 TBA 가도 무첨가구보다 훨씬 낮아 팜유에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말쥐치 스테이크가공조건(加工條件) 및 동결저장중(凍結貯藏中)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of Filefish Steak during Frozen Storage)

  • 전중균;정수열;하재호;박향숙;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7-132
    • /
    • 1984
  • 우리나라 연근해(沿近海)에서 많이 어획되고 있는 말쥐치. Navodon modestus를 이용하여 새로운 식품소재(食品素材)로 개발(開發)하기 위해 말쥐치 스테이크의 가공조건(加工條件)을 구명하고 동결저장중(凍結貯藏中) 제품품질(製品品質)에 미치는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첨가효과(添加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말쥐치 냉동(檢討) 스테이크를 가공(加工)하기 위해서는 말쥐치육(肉)에 대해 탄산수소나트름 0.5%, 식염 1%, 중합인산염 0.2%. 글루탐산나트륨 0.2%, 설탕2.0%및 향신료로서 고추가루, 마늘가루 및 nutmeg을 각각 0.2%, 후추가루 0.4%를 첨가(添加)하여 고기갈이한 다음 $-3{\sim}-5{\cric}C$에서 2일간(日間) 저장(貯藏)하였다가 바로 동결저장(凍結貯藏)($-35^{\circ}C$)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또한, 제품(製品)에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을 첨가(添加)함으로서 색조개선(色調改善), 유리드립 생성절제(生成切制), 지방산패억제(脂肪酸敗抑制) 및 텍스쳐 개선(改善) 등 품질개선효과(品質改善效果)를 얻을 수 있었으며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 첨가량(添加量)은 어육(魚肉)에 대하여 5%가 적합하였다. 관능검사(官能檢査) 결과(結果)로도 말쥐치냉동(冷凍)스테이크의 품질(品質)은 동결저장중(凍結貯藏中)(90일(日)) 안전(安定)하게 유지되었다.

  • PDF

정어리 스테이크의 가공 및 동결저장 중의 품질 안정성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of Sardine Steak during Frozen Storage)

  • 오광수;조순영;차용준;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8
    • /
    • 1984
  • 정어리냉동스테이크의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아울러 대두단백질과 옥수수녹말의 첨가가 정어리스테이크의 품질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어리스테이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정어리육에 대해 탄산수소나트륨 0.5%, 식염 1.5%, 축합인산염 0.2%, 설탕 2%, 글루탐산나트륨 0.2%, 향신료로서는 후추가루, 마늘가루 및 nutmeg을 각각 0.2%씩 첨가하여 고기갈이를 한 다음 $-3{\sim}-5^{\circ}C$에서 36시간 저장하여 텍스쳐를 개선시킨 후 동결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대두단백질을 3 %첨가한 제품이 유리드립, 가압드립, 색조변화, 단백질변성 지방산패억제 및 텍스쳐 개선효과 면에서 가장 우수했으며 관능검사결과 정어리스테이크는 동결저장 90일동안 품질이 안전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생물학적 황산염 환원에 의한 토양 내 비소와 구리의 원위치 침전 (In-situ Precipitation of Arsenic and Copper in Soil by Microbiological Sulfate Reduction)

  • 장해영;전효택;이종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5호
    • /
    • pp.445-455
    • /
    • 2009
  • 미생물학적 황산염 환원은 황산염을 전자수용체로 이용하는 황산염 환원 박테리아에 의해 황산염이 황화이온으로 변환되는 과정이다. 형성된 황화이온은 주변의 용존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용해도가 낮은 금속 황화물로 침전된다. 이 연구에서는 비소와 중금속으로 오염된 송천 금은광산 일대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 토착 박테리아에 의한 황산염 환원을 유도함으로써 독성 원소의 원위치 고정화 기술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왕수 분해 결과, 대상 토양 내 비소, 구리, 납의 함량은 각각 1,311 mg/kg, 146 mg/kg, 294 mg/kg 등으로 나타나 특히 비소의 오염이 심각한 상태였다. 회분식 실험 결과, 미생물학적 황산염 환원에 의하여 pH 증가, 산화환원전위 감소, 황산염 함량 감소, 비소와 구리 함량 감소 등이 관찰되었다. 이 때 가장 높은 중금속 침전 효율을 유도하는 탄소원과 황산염의 농도 범위는 각각 0.2~0.5%, 100~200 mg/L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황화물 침전을 유도하게 고안된 컬럼 실험 수행 결과, 비소와 구리는 두 컬럼에서 모두 98% 이상 제거되었다. 그러나 산소를 다량 포함한 용액을 주입한 후, 화학적으로 황화물 침전을 유도한 컬럼에서는 즉각적인 비소와 구리의 재용출 현상이 나타났으나, 미생물학적 황산염 환원을 유도한 컬럼에서는 침전물이 30일 이상 장기간 안정성을 보였다. 미생물학적 컬럼 내에 형성된 검은색 침전물을 분석한 결과 FeS와 CuS로 나타났으며 비소는 대부분 철 황화물에 흡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마디풀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Nano-emulsion Containing Polygonum aviculare Extract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 임명선;박민아;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3권2호
    • /
    • pp.222-2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고, 이 나노에멀젼의 피부 흡수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나노에멀젼은 균질기(homogenizer) 처리 후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한 고에너지법으로 제조하였다.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와 포집효율을 측정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는 238 nm이었으며 포집 효율은 98%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노에멀젼은 단분산의 입도 분포를 나타냈으며 고압 유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일반 에멀젼보다도 더 안정함을 보여주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피부 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함유 나노에멀젼은 대조군인 1,3-butylene glycol 용액에서 보다 피부 흡수 및 투과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이 큰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안정성 및 피부 투과력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Comparative Efficacy of Synthetic and Natural Tenderizer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Spent Hen Meat Slices (RSHS)

  • Kantale, Rushikesh Ambadasrao;Kumar, Pavan;Mehta, Nitin;Chatli, Manish Kumar;Malav, Om Prakash;Kaur, Amanpreet;Wagh, Rajesh Vishwanath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21-138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comparative efficacy of natural as well as synthetic tenderiz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spent hen meat slices (RSHS) was studied. Four different batches of RSHS viz. Control (without any tenderizer), T1 (1.25% calcium chloride replacing salt in formulation), T2 and T3 (1.5% each of pineapple rind and fig powder, replacing binder in the formulation) were developed in pre-standardized formulation. Vacuum tumbling was performed for 2.5 h and cooked product (RSHS) was assayed for quality attributes. Samples were packaged in aerobic conditions, stored for 21 days under refrigeration ($4{\pm}1^{\circ}C$) and were evaluated for pH, oxidative and microbial quality parameters at regular interval of 7 days. Water holding capacity of T2 was recorded the highest and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all other samples. The textural attributes of T2 were comparable to T1 but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C and T3. The colour attributes ($L^*$, $a^*$, and $b^*$ value) of T2 and T3 were improved due to use of natural tenderizers. During sensory evaluation, tenderness scores for T2 samples were recorded the highest. Throughout storage perio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ree fatty acids (FFA) and peroxide value (PV) followed an increasing trend for control as well as treated products; however, T2 showed a significantly (p<0.05) lower value than control and other treated samples. It can be concluded that good quality RSHS with better storage stability could be prepared by utilizing 1.5% pineapple rind powder as natural tenderizer.

Interaction effects of glycine equivalent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le threonine in low protein diets for broiler grower chickens

  • Paschal Chukwudi Aguihe;Amanda Barroso Castelani;Camilo Ivan Ospina-Rojas;Eustace Ayemere Iyayi;Paulo Cesar Pozza;Alice Eiko Murakami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053-1064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effect of a glycine equivalent (Glyequi)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le threonine (SID Thr) levels in low crude protein diets on performance, blood biochemistry, pectoral muscular creatine content and oxidative stability of meat in broiler chickens from 21 to 42 days. Methods: A total of 1,500, twenty-one-day-old Cobb-Vantress male broiler chickens were distribu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5×3 factorial arrangement of Glyequi×SID Thr with five replicates of 20 birds each. Fifteen dietary treatments of 16.5% CP were formulated to contain five levels of total Glyequi (1.16%, 1.26%, 1.36%, 1.46%, and 1.56%) and three levels of SID Thr (0.58%; 0.68% and 0.78%). Results: Interaction effects (p<0.05) of Glyequi and SID Thr levels were observed for weight gain, carcass yield, pectoral muscular creatine content and serum uric acid. Higher levels of Glyequi increased (p = 0.040) weight gain in 0.58% and 0.68% SID Thr diets compare to the 0.78% SID Thr diet. The SID Thr level at 0.68% improved (p = 0.040) feed conversion compared to other SID Thr diets. Levels of Glyequi equal to or above 1.26% in diets with 0.78% SID Thr resulted in birds with higher (p = 0.033) pectoral muscular creatine content. The breast meat yield observed in the 0.68% SID Thr diet was higher (p = 0.05) compared to the 0.58% SID Thr diet. There was a quadratic effect of Glyequi levels for pectoral pectoral muscular creatine content (p = 0.008), breast meat yield (p = 0.030), and serum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p = 0.040), and the optimal levels were estimated to be 1.47%, 1.35%, and 1.40% Glyequi, respectively. The lowest (p = 0.050)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 in the breast meat was found in 0.68% SID Thr diets at 1.36% Glyequi. Conclusion: The minimum dietary level of Glyequi needed to improve performance in low crude protein diets is 1.26% with adequate SID Thr levels for broiler chickens.

인삼제품(人蔘製品)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 1. 동결(凍結) 및 분무정분(噴霧精粉)의 품질특성(品質特性) - (Studies on Stability for the Quality of Ginseng Products -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eze and Spray Dried Red Ginseng Extract Powders -)

  • 최진호;변대석;박길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7-63
    • /
    • 1984
  • 홍삼제품(紅蓼製品)중에서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유지(維持)가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동결(凍結) 및 분무건조정분(噴霧乾燥精粉)의 품질특성(品質特性)을 비교실험(比較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동결(凍結) 및 분무건조정분(噴霧乾燥精粉)의 조지방(粗脂肪), 조단백(粗蛋白), 회분(灰分), 섬유질(纖維質) 및 총(總)사포닌함량(含量) 사이에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인정할 수 없었다. 2. 학대조건(虐待條件)($37^{\circ}C$, 75 % RH)에서 6개월간 장기저장(長期貯藏)에 따른 주성분(主成分)사포닌함량(含量)의 안정성(安定性)을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 동결(凍結) 및 분무건조정분(噴霧乾燥精粉)은 $5.4{\sim}6.7$의 감소량(減少量)을 나타내므로 유동성분(有勳成分)의 안정성(安定性)이 높음을 알수 있었다. 3. 현행(現行) Al-foil laminate 지(紙)(Al-foil; $9\mu\textrm{m}$)를 내연지(內撚紙)로 하여 완포장(完包裝)한 완제품(完製品)을 학대조건(虐待條件)($37^{\circ}C$, 75% RH)하에서 6개월간(個月間) 장기저장(長期貯藏)하였을 때 동결건조정분(凍結乾燥精粉)은 $42{\sim}82%$의 높은 혼합율(吸濕率)을 나타낸 반면 분무건조정분(噴疇乾燥精粉)은 $8{\sim}16%$ 만의 혼합율(吸濕率)을 나타냈으므로 분문건조정분(噴霧乾燥精粉)이 동결건조정분(凍結乾燥精粉)보다 유통과정(流通過程)중의 안정성(安定性)이 훨씬 높았다. 4. 학대조건(虐待僚件)($37^{\circ}C$, 86% RH)하에서 장기저장중(長期貯藏中)에 일어나는 색상변화(色相變化)를 보면 갈색색소대(褐色色素帶)($400{\sim}490nm$)는 분무건조정분(噴霧乾燥精粉)이 높은 데 반해 향기성분(香氣成分)인 pyrazine(278 nm) 및 갈변전구물질(褐變前驅物質)인 HMF, furfural(283 nm) 등은 동결건조정분(凍結乾燥精粉)이 더 높았다. 따라서 향기성분(香氣成分)의 유지(維持)를 위해서는 동결건조방법(凍結乾燥方法)이 바람직하다. 5. 향기성분(香氣成分)의 유지(維持)가 가능(可能)한 동결건조정분(凍結乾燥精粉)은 유통과정(流通適程)중의 흡습(吸濕)에 의한 품질저하(品質低下)가 예상되므로 포장재질(包裝材質)의 차선(次善)이나 정분자체(精紛自體)의 물성(物性)을 개선(改善)할 필요가 있다. 6. 홍삼정분(紅蓼精粉)에는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電子供輿能)이 현저하여 강한 항산화활성(抗酸化活性)이 있음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동결(凍結) 및 분무건조정분(噴霧乾燥精粉) 사이에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를 인정할 수 없었다. 7. 홍삼정분(紅蓼精粉)에는 미생물(微生物)에 대한 생육제어효과(生育抑制效果)가 인정되었는 데 45% 이하의 수분함량(水分合量)에서는 미생물(微生物)의 생육(生育)이 불가능(不可能)하여 항균성(抗菌性)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