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ation

검색결과 10,168건 처리시간 0.06초

고추의 산화성(酸化性)에 대한 Citric Acid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Citric Acid on Antioxidant Property of Red Pepper)

  • 양기선;유주현;황적인;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93-198
    • /
    • 1974
  • 고추분말(粉末),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 알코올추출물(抽出物)과 유기산(有機酸)을 기질(基質)인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에 첨가(添加)하여 암소저장(暗所貯藏) 조건하(條件下)$(45.0{\pm}0.5^{\circ}C$$55.0{\pm}0.5^{\circ}C)$에서 과산화물형성(過酸化物形成) 억제효과를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추, 후추, 계피분말(粉末)은 모두 어느정도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들 간(間)의 항산화효과는 거의 비슷하였다. 2) 고추피(皮)와 고추씨분말(粉末)은 모두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고추피(皮)는 고추씨 분말(粉末)보다 강(强)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다. 3)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강(强)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잔사(殘渣)는 거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4)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효과는 알코올추출물(抽出物)의 농도가 짙을수록 거의 비례(比例)해서 강(强)하게 나타났다. 5)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과 유기산(有機酸)의 병용효과는 구연산이 매우 강(强)하게, Vitamin C (ascorbic acid)는 강(强)하게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나, 인산의 경우 오히려 촉진(促進)되었다. 6) 고추피(皮)의 알코올추출물(抽出物) 0.1%와 구연산의 농도(濃度)에 따른 병용효과는 구연산의 농도(濃度)가 0.04%일때 가장 강(强)하게 나타냈다.

  • PDF

저염 굴비 제조 시 열풍건조 온도에 따른 화학적 특성 변화 (Chemical Changes of Low Salt Gulbi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during Hot-air Drying with Different Temperatures)

  • 곽현정;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7-154
    • /
    • 2010
  • 열풍건조 온도를 달리한 생조기와 냉동조기의 내장의 유무에 따른 각각의 처리구별로 건조 온도를 달리하여(30, 35, $40^{\circ}C$) 건조기간 동안 화학적 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산도, pH, 염농도, 휘발성 염기질소, TBARS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전통굴비의 염도는 22-23%정도를 나타내는데 본 연구에서 30, $35^{\circ}C$에서 건조하여 제조한 굴비의 염도는 17-20% 정도로 염도가 더 낮아 저염 굴비의 제조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35^{\circ}C$ 건조 처리구의 염도가 $40^{\circ}C$ 건조 처리구에 비해 2-4% 이상 낮은 염도를 나타내어 저염 굴비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온도로 결정 할 수 있었다. VBN 함량에서는 30, 35, $40^{\circ}C$ 건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건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VBN의 수치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굴비의 건조중 변패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그 외 TBARS 함량 역시 건조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제품의 내장 유무에 대한 산패도 측정결과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굴비 제조 방법에 비해 $35^{\circ}C$에서 15일 동안 건조 하는 것이 품질이 우수한 저염굴비를 빠르게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물리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회분식 및 반연속식 특이적 카르복실화 반응에 의한 ${\beta}$-1,3-glucan의 기능성 향상 (Enhancement of ${\beta}$-1,3-Glucan Functionality by Batch and Semi-continuous Typed Specific Carboxylation)

  • 정석윤;김상우;이용환;이재환;장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6-151
    • /
    • 2008
  • 불용성 ${\beta}$-1,3-glucan의 물에 대한 수용성과 젤 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회분식 혹은 반연속식 반응과 촉매로서 NaBr 첨가 및 무첨가 조건을 연구하였다. NaBr 무첨가 반응의 경우 회분식 및 반연속식에서 NaBr 첨가반응에 비해 반응종결시간이 각각 100, 150%씩 늦어졌으나 물에 대한 용해도, 젤 형성능 등의 이화학적 성질은 NaBr 첨가 조건과 동일하게 향상 되었다. 반응시간의 차이는 나타나지만 회분식 반응에서 NaBr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0.5 N NaOH 20 mL를 소비하여 ${\beta}$-1,3-glucan의 특이적 산화 전환의 이론적 수준인 100% 수율을 보였으나 회수된 산화물은 NaBr 무첨가 반응의 수율이 NaBr 첨가 반응보다 약 7-8% 낮았다. 높은 산화수율을 보인 ${\beta}$-1,3-glucan의 반연속식 공정 연구를 통해 산화반응물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천연 소재, 기능성식품, 음료 및 주류 등의 산업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NaBr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특이적인 산화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된 산화 ${\beta}$-1,3-glucan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ropolis를 이용한 육류양념소스 개발 (Development of Meat Seasoning Sauce Using Propolis)

  • 한귀정;신동선;김진숙;조용식;정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88-89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돼지고기와 잘 어울리는 한약재와 각종 화학성분 및 flavonoid 화합물 등과 같은 천연 유기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propolis를 이용하여 기능성 및 천연 보존제로서 저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육류용 양념소스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양념소스 제조는 기존 양념소스(formula A), 한약재 추출조건 및 특성에 따라 표준화된 양념소스로 propolis를 첨가한 것(formula B), 표준화된 양념소스로 서 propolis를 첨가하지 않는 것(formula C), 표준화된 양념소스로 0.9 kg/$cm^{2}$ Gauge에서 60분 동안 2회 가압 추출한 것(formula D)으로 하였다. 양념소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formula별 pH, 적정산도, 염도 및 당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색도에 있어서는 육류양념소스를 60일 동안 냉장($4^{\circ}C\;{\pm}2$) 저장하여도 외관적 품질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pH의 변화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formula B가 약간 우수하였으며 각 formula간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별 품질을 평가하는데 pH 보다는 총균수의 변화가 보다 예민한 지표로서 작용하였다. 시판제품과 시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이화학적 특성은 각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관능적 특성에서는 시제품이 시판제품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물리적 연육 처리 및 강화약쑥 첨가에 따른 계육 너비아니의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chanical Processing and Ganghwa Mugwort on Stability of Chicken Neobiahni during Storage)

  • 황고은;김현욱;송동헌;김천제;전기홍;김영붕;최윤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1-26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chanical processing (tumbler, tenderizer, injector) and Ganghwa mugwort extracts (GM) on the stability of chicken Neobiahni during storage for 10 days at $4^{\circ}C$. Six treatments of chicken Neobiahni were manufactured with the following conditions: CON (tumbler), CON-A (tumbler + 0.2% GM), T1(tenderizer) T1-A (tenderizer + 0.2% GM), T2 (injector), T2-A (injector + 0.2% GM). Methods: The pH, POV, TBA,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Neobiahni during storage for 10 days at $4^{\circ}C$ were measured in triplicate. Results: The pH of chicken Neobiahni was in the range of 6.00-6.37, with the highest values in the treatments containing GM (CON-A, T1-A, T2-A). Mechanical processing had no significant effects during storage. The color values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ll chicken Neobiahni samples, whereas storage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p<0.05). The mechanical processing combined with GM appear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POV and TBA levels of chicken samples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In addition, sensory evaluation ratings (color, juiciness, flavor,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improved by the mechanical processing and the addition of G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mechanical processing and Ganghwa mugwort extracts is a useful technique for retarding lipid oxidation in chicken Neobiahni.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ngissimus Muscle as a Function of the Ultimate pH

  • Cho, Byung-Wook;Oliveros, Maria Cynthia;Park, Kyoung-Mi;Do, Kyoung-Tag;Lee, Ki-Hwan;Seo, Kang-Seok;Choi, Jae-Gwan;Lee, Moon-Jun;Cho, In-Kyung;Choi, Byoung-Chul;Ryu, Kyeong-Seo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5-694
    • /
    • 2009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tion in ultimate pH of commercial populations of pure-breed (Landrace, Duroc and Yorkshire) pig's longissimus muscles and their effect on objective meat quality trai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ifty boars were sampled from 184 pigs, which were reared at three breeding farms and slaughtered at a commercial abattoir. The selection was determined based on ultimate pH, and animals were segregated into three groups: low pH (pH $\leq$ 5.5, n=13), medium pH (pH 5.5 to 5.6, n=18) and high pH (pH $\geq$ 5.6, n=16). The breeds had no significant effects; however, pigs with a higher ultimate pH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 lower level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ower level of lipid oxidation and higher eating quality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ultimate pH. As the ultimate pH increased, the relative proportion of C14:0, C16:0 and C18:1 increased while C18:2n6 and C20:4n6 decreas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conomic value of pig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ultimate pH and/or intramuscular fat content. However, these results do not necessarily indicate that a high ultimate pH directly corresponds to high intramuscular fat content and vice versa.

가공 및 저장 방법이 다른 오리 가슴육의 기계적 판별 (Possibility of Instrumental Differentiation of Duck Breast Meat with Different Processing and Storage Conditions)

  • 성상현;배영식;오석환;이재청;김현주;조철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6-102
    • /
    • 2013
  • 본 연구는 오리 신선육과 냉동 후 해동육의 구별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오리육의 처리형태별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드립감량, 관능검사 등 품질변화를 연구하여 기계적 방법(토리미터)을 이용한 신선도 측정 시 객관적인 등급판정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오리가슴육 중 냉동 후 해동육 껍질(skin)색에서 신선육이나 토치육에 비해 명도가 낮아지고, 적색도가 증가하였으며, 드립감량은 냉동 후 해동육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일반 호기성 미생물은 1일차에서 토치육이 신선육에 비해 낮았으나 3 및 7일차에는 모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BARS값은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관능검사결과 냉동 후 해동육이 관능검사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토리미터 값은 오리 가슴 껍질(skin)과 육(meat) 모두에서 냉동 후 해동육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오리육의 토리미터값과 품질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육색을 제외한 일반호기성미생물, 지질산패도, 드립감량 및 저장기간과의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냉동 후 해동된 오리 가슴육은 신선육이나 토치육에 비해 육색의 변화나 드립 감량 증가가 빠르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토리미터 값의 측정은 냉동 후 해동육을 신선육이나 토치육으로부터 구별하는 신속한 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돈육 소시지에 첨가한 키토산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ubstitution Effect of Chitosan against Sodium Nitrite in Pork Sausage)

  • 윤선경;박선미;김연주;안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51-559
    • /
    • 2001
  • 키토산을 돈육소시지에 첨가함으로서 축육가공제품에 필연적으로 첨가되고 있는 아질산염의 대체효과에 대해 조사했다.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보존효과는 분자량 약 30kDa이상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분자량 약 30kDa의 키토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보존효과는 키토산을 0.20% 첨가하였을 경우 아질산염을 30ppm, chitosan을 0.35% 첨가한 경우 아질산염을 15 ppm, chitosan을 0.50%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아질산염을 7.5ppm으로 감량하여도 저장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분자량 약 30kDa의 키토산을 0.20%, 0.35%, 0.50%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경우, 아질산염의 첨가량이 15ppm에서 저장성이 유지되는 키토산의 농도는 0.35%이상이었다. 소시지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한 키토산의 생육억제효과는 분자량 약 30kDa은 0.35%이상, 분자량 약 120kDa의 키토산은 0.20%이상의 농도일 때 모든 균이 70%이상의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소시지의 색은 키토산을 첨가한 소시지의 경우 아질산염만 첨가한 소시지의 경우보다 적색도가 높았으며, 저장기간 동안 안정하여 키토산의 첨가로 인한 소시지의 색에 있어서도 적색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아질산염의 첨가량을 15ppm까지 절감 할 수 있었다. 또한 키토산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소시지내 아질산염의 잔류량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키토산의 분자량이 크고 키토산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그 감소정도는 크게 나타났다. 키토산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의존성이 강하여 pH 1.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키토산의 분자량이 클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키토산을 첨가함으로써 소시지의 저장성이나 색에 있어 영향을 주지 않고 아질산염의 첨가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으며, 키토산의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U937을 이용한 활성산소 유도와 염증관련 아라키돈산 유리에 있어 은행잎 엑스의 억제 효과 (Effect of Inhibitions of Ginkgo biloba Extracts on In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Release of Inflammation Mediator Arachidonic Acid from U937)

  • 강상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98-1205
    • /
    • 2000
  • 은행잎 엑스 3종류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와 염중관련 아라키돈산 유리의 억제능을 보았다. 은행잎 엑스, Ginkgolide A, Ginkgolide B의 3종류 모두 pyrogallol 자동산화에서는 항산화능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나, DPPH법의 전자공여능에서는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10 ${\mu}M$ 과산화수소($IC_{50}=10\;{\mu}M$)로 U937의 지질과산화 유도 시 은행잎 엑스 3종류 모두 400 ${\mu}g/mL$이상에서는 보호하였으나, 은행잎 엑스가 가장 좋았다. 단백질 분해실험에서는 Ginkgolide A만이 효과가 좋아 50 ${\mu}g/mL$에서도 거의 억제하였다. TPA와 calcimycin을 U937에 첨가하여 염중 유도의 중요 물질인 아라키돈산 유리를 유도하였다. 이 아라키돈산 유리 유도 시 은행잎 엑스 3종류 모두 10 ${\mu}g/mL$에서도 뛰어난 억제능을 보였으며, 특히 Ginkgolide B는 유도 시에 비하여 11배 억제하였으며, 비유도시인 대조군보다도 약 4배의 억제능을 보였다. 따라서 은행잎 엑스가 항산화능에 의해 아라키돈산 유리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아라키돈산 유리의 전 단계의 어느 부분을 강하게 억제하여 아라키돈산 유리가 저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열산화 대두유의 돌연변이원성 (Mutagenicity of Thermally Oxidized Soybean Oil)

  • 이진영;안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13-1220
    • /
    • 2000
  • 가열산화된 유지의 산패도와 돌연변이원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두유를 $180{\pm}3^{\circ}C$에서 48시간 동안 가열산화시키면서 0, 8, 16, 24, 32, 40, 48시간 후의 유지시료와 여기서 분획한 산화물 및 비산화물을 대상으로 Salmonella typimurium 변이균주 중 구조이동형(frame shift) 변이균주인 TA98, TA1537과 염기치환형(base-pair substituent) 변이균주인 TA100, TA1535 및 TA102를 사용하여 Ames test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80{\pm}3^{\circ}C$에서 48시간 가열산화된 대두유의 가열시간에 따른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했을 때 직접법 [-S9] 및 대사활성화법 [+S9] 모두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180{\pm}3^{\circ}C$에서 가열산화된 대두유를 산화물 및 비산화물로 분리하여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한 결과 가열 16시간 및 24시간 후의 산화 물질에서 돌연변이 활성이 나타났다.

  • PDF